KR200164506Y1 - 토오치 - Google Patents

토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506Y1
KR200164506Y1 KR2019970005891U KR19970005891U KR200164506Y1 KR 200164506 Y1 KR200164506 Y1 KR 200164506Y1 KR 2019970005891 U KR2019970005891 U KR 2019970005891U KR 19970005891 U KR19970005891 U KR 19970005891U KR 200164506 Y1 KR200164506 Y1 KR 200164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orch
induction pipe
auxiliar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631U (ko
Inventor
김관식
Original Assignee
김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식 filed Critical 김관식
Priority to KR2019970005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5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빙된 물건을 해빙시키거나 국부적으로 가열시키는데 사용되는 토오치(Torch)로, 특히, 화염을 한 곳으로 집중하여 분사하는 집중형으로 사용될 수 있고, 분사구 구경이 다른 보조유도관을 장착하므로써 화염을 방사하는 방사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토오치이다.
본 고안은, 가스저장부(1)의 가연성 가스를 토출시키는 본체(2)와, 본체(2)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유도관(3), 유도관(3) 선단에 설치되어 가스의 분사방향을 설정함과 아울러, 외주의 통기공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가스에 혼합되게 하므로써, 점화와 동시에 분사되는 가스를 연속적으로 연소되게 하여 화염을 형성시키는 분사노즐(4)을 포함하는 토오치에 있어서, 분사노즐(4) 대체하여 유도관(3)에 설치되어 다른 압력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보조유도관(6)과, 이 보조유도관(6) 선단에 설치되어 분사노즐(4)과 다른 형태의 화염을 형성시키는 보조분사노즐(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의 토오치에 의하면, 하나의 토오치로써 방사형 토오치나 집중형 토오치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집중형과 방사형의 토오치가 모두 필요한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

Description

토오치
본 고안은 결빙된 물건을 해빙시키거나 국부적으로 가열시키는데 사용되는 토오치(Torch)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염을 한 곳으로 집중하여 분사하는 집중형으로 사용될 수 있고, 분사구 구경이 다른 별도의 보조유도관을 부착하므로써 화염을 방사하는 방사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토오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가 간편한 편리성으로 인하여 부탄 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토오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토오치는 결빙된 물건을 해빙시키는 해빙용,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용접하는 용접용 또는 액체 사용하는 버너 등을 예열시키는 예열용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첨부된 도면의 제1a도와 제2a도는 이렇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종래의 토오치로서, 제1a도는 화염을 집중하여 분사하는 집중형 토오치이고, 제2a도는 화염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방사하는 방사형의 토오치이다.
제1a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탄 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토오치들은, 부탄 가스통(1)에 직접 장착되어 가스통(1)로부터 가스를 유도하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상부에서 가스를 유도하는 유도관(3), (3'), 그리고, 유도관(3), (3')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유도관(3), (3')이 유도한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여 화염을 형성시키는 방사형의 분사노즐(4) 등의 세가지 조립체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가스통(1)으로부터 유도관(3), (3')으로 가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종심방향으로 가스 유도로가 형성되어 가스통(1)의 가스를 유도관(2)으로 유도하는 원통형의 몸체(2a), 몸체(2a)의 하부에 설치되어 몸체(2a)를 가스통(1)에 결합시키는 장착판(2b), 그리고, 상기 몸체(2a)의 유도로에 설치된 가스량 조절밸브의 조작을 위하여 몸체(2a)의 외부에 설치된 손잡이(2c)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유도관(3), (3')은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본체(2)를 통하여 나온 가스를 원거리로 유도하는 관이다.
분사노즐(4), (4')은 외주의 일측에 외주를 따라 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원통체로서, 통기공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유도관(3), (3')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되는 분사가스에 혼합되게 함과 아울러 분사가스의 분사방향을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분사노즐(4), (4')은 유도관(3), (3')에서 가스가 분사됨과 동시에 통공(4a), (4'a)으로 외부의 공기 즉, 산소를 공급하여 가스가 연속적으로 연소되게 하고, 또, 가스의 분사 방향을 설정하므로써 화염의 형태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손잡이(2c)을 조작하여 분사노즐(4), (4')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되게 한 후, 이 가스를 인위적으로 점화하여 화염이 형성되게 하여 용접용 또는 가열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c)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화염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a도와 제2a도는 서로 다른 형태의 분사노즐을 장착하는 토오치로서, 제1a도는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을 넓은 곳에 확장하여 분사하는 방사형의 분사노즐(4)이 장착된 것이고, 제2a도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을 한 곳에 집중하는 집중형의 분사노즐(4')이 장착된 것이다. 따라서, 제1a도의 토오치는 물건을 가열하는 가열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제2b도는 금속재를 용접하는 용접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두 가지의 토오치에 있어서, 각 유도관(3), (3')의 선단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구가 형성되고 집진 폼재(3'c)를 내장하고 있는 캡(3a), (3'a)이 설치되는데, 이들(3a), (3'a)의 분사구(3b), (3'b)의 구경(口徑)은 분사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크기를 달리한다. 즉, 제1a도의 토오치 유도관(3)의 분사구(3b)는, 방사되는 가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방사형으로 분출될 수 있게 약간 큰 구경으로 형성되며, 제2a도의 토오치 유도관(3')의 분사구(3'b)는 가스가 높은 압으로 집중분사될 수 있게 작은 구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위에서 예로든 종래의 토오치들은 그 유도관(3), (3')의 분사구(3b), (3'b) 구경이 달라 분사노즐(4), (4')들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방사형과 집중형으로 각각 용도가 제한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제1a도의 화염을 넓게 분포시키는 방사형으로, 그리고, 제2a도의 토오치는 화염을 한 곳에만 집중 분사하는 집중형으로 그 용도가 각각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두 가지의 용도에 사용이 필요한 경우, 종래에는 이들 두 토오치를 각각 구입해야 하는 비용 부담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토오치는, 작업부위가 작업자에 비하여 낮은 곳에 위치하여 가스통(1)을 하향하는 방향으로 들고 작업하게 되는 경우, 가스통의 가스가 액압과 중력에 의하여 급속배출되어 기화되지 못한채로 분사되기 때문에, 더 이상 점화되지 못하여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특정한 구경의 분사구를 가지는 유도관과 분사노즐을 기본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유도관에 다른 구경의 분사구를 가지는 보조 유도관과 이에 대응되는 다른 형태의 분사노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따라서, 집중형 또는 방사형의 두 가지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오치를 제공하므로써, 집중형과 방사형의 토오치가 모두 필요한 사용자의 비용부담의 문제를 해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a도는 종래의 방사형 토오치의 사용상태도.
제1b도는 제1a도의 분사노즐 분해사시도.
제2a도는 종래의 집중형 토오치의 분해사시도.
제2b도는 제2a도의 분사노즐 분해사시도.
제2c도는 제2b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분해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의한 토오치의 분해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분해 단면도.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의한 토오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제4도는 방사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
제5도는 집중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탄가스통 2 : 본체
2a : 손잡이 3 : 유도관
4 : 분사노즐 5 : 보조분사노즐
6 : 보조유도관 7 : 레귤레이터 밸브
8 : 감속필터 9 : 와류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스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채로 가스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저장부에 저장된 가연성 가스를 토출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본체에서 토출된 가스를 유도, 타단의 분출구를 통하여 특정 압력으로 분사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 선단에 설치되어 이 유도관의 분출구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방향을 설정함과 아울러 외주의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유입하여 분사되는 가스에 혼합되게 하므로써, 점화와 동시에 분사되는 가스를 연속적으로 연소되게 하여 화염을 형성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토오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 대체하여 상기 유도관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의 분사구경과 다른 구경의 분사구로써 상기 유도관의 분사압력과는 다른 압력으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보조 유도관과, 이 보조유도관의 분사구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과는 다른 형태의 화염을 형성시키는 보조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오치는, 상기 유도관의 분사구 선단을 통하여 삽입되고, 종심방향으로는 가스유도로가 형성된 심봉 및 이 심봉의 끝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유도관의 분사구 내면에 밀착되어 가스가 급속히 분사되지 않게 하는 원판형의 감속판으로 이루어진 감속필터를 포함하여, 가스통이 하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가스 분사속도가 저감되게 하므로써 가스가 기화되지 않은 채 분사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가스유도로에 설치되어, 가스통이 하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가스 분사속도를 저감시켜 가스가 기화되지 않는 상태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조분사노즐의 토출구에 압입되어, 분사되는 가스가 외주에 형성된 홈으로 분사되게 하여 와류를 형성시키는 헬리컬 기어 형상의 와류편을 포함하면 더욱 효과가 증대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간단히 살펴보면, 제3a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오치의 분해사시도이고, 제3b도는 제3a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분해 단면도이다.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오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제4도는 방사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이고, 제5도는 집중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토오치는 휴대용 부탄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탄가스통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토오치는 부탄 가스통(1)에 직접 장착되어 가스통(1)로부터 가스를 유도하는 본체(2), 이 본체(2)의 상부에서 가스를 유도하는 유도관(3), 그리고, 유도관(3)의 선단에 나서 결합되어 유도관(3)이 유도한 가스를 외부로 방사하여 방사형 화염을 형성시키는 방사형 분사노즐(4) 및 상기 방사형 분사노즐(4)에 대체·설치되어 집중형 화염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종래의 집중형 분사노즐(4')과 같은 형태의 보조분사노즐(5) 등의 서두에서 인용된 두 종류의 종래 예의 토오치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 종래와 다른 본 실시예의 주요부로서, 상기 보조분사노즐(5)과 유도관(3)의 연결구인 보조유도관(6)가 추가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도관(3)은 제1a도의 종래 방사형 토오치의 유도관(3)과 동일한 것으로, 분사구(3b)의 구경(口徑)은 종래와 동일하고, 보조유도관(6)의 분사구(6a)는 제2a도의 유도관(3') 분사구(3'b)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방사형의 토오치가 필요한 경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3)에 방사형 분사노즐(4)을 직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집중형의 토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3)에 먼저 보조유도관(6)를 결합하여 가스 분출압이 상승되게 한 후, 이 보조유도관(6)에 선단에 보조분사노즐(5)을 결합하여 집중형 토오치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오치는 집중형 또는 방사형 토오치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업부위가 작업자보다 낮게 위치하여 가스통이 하향하게 되는 경우 가스 분출압을 저감하기 위한 감속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감속장치로는,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내에 내장되는 레귤레이터 밸브(7)나 유도관(3)의 선단내에 설치되는 감속필터(8)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7)는 압력을 일정크기 이하로 조정하는 통상의 레귤레이터 밸브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인 케이스(7a), 압력을 완충하는 압축스프링(7b), 이 압축스프링(7b)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감압판(7c), 그리고, 이들을 본체(2)내에 고정시키는 원주체인 고정편(7d)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속필터(8)는 고정구 역할을 하면서 종심방향으로는 가스의 유로를 좁게 만들어주는 유도로가 형성된 심봉(8a)과 유도관(3) 선단의 분사구(3b)에 밀착되어 분사구(3b)의 가스분출속도를 감속하는 원판형의 감속판(8b)이 일체화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부위가 낮은 곳에 위치하여 가스통을 하향하게 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고압의 분사압에 의하여 가스가 기화되지 않은채로 분출되어 가스가 연소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가능하였으나, 이와 같은 감속장치중의 어느 하나가 설치되므로써, 유도관(3)의 분사구(3b) 분출압이 낮아져 가스가 기화되지 않는 채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되기 때문에, 화염이 계속 유지되어 작업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조분사노즐(5)의 선단내에는 헬리컬 기어 형상의 와류편(9)이 설치된다. 이는 가스가 외주에 나선형으르 형성된 홈을 통과케 하므로써, 보조분사노즐(5)의 출구에서 와류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와류에 의하여 출구에 최근접한 곳에서는 화염이 형성되지 못하므로 보조분사노즐(5)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류편(9)은 보조분사노즐(5)이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 보조분사노즐(5)에 의하여 불의하게 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분사노즐(4), 보조유도관(6), 보조분사노즐(5) 등은, 가스통을 사용하는 부탄가스가 아닌 LPG와 같은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다른 형태의 일반적인 토오치에도 적용하여, 방사형 또는 집중형 토오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토오치로써 방사형 토오치나 집중형 토오치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집중형과 방사형의 토오치가 모두 필요한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사용중 가스통이 하향되는 경우에도 소화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부위를 작업대상으로 하는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집중형 토오치로 사용하는 경우 화염이 분사구로부터 이격되어 분사노즐이 가열되지 않게 됨에 따라 뜨거워진 분사노즐로 인한 불의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4)

  1. 가스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채로 가스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저장부에 저장된 가연성 가스를 토출시키는 본체(2), 상기 본체(2)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유도하여 타단의 분출구를 통해 압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출구에 그 일단이 연결된 유도관(3), 상기 유도관(3)에 의한 가스의 유도 분출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관(3)의 타단에 연장되는 보조 유도관(6), 외주의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스에 혼합하여 분출 및 착화시키도록, 상기 보조 유도관(6)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 상기 분사노즐(4)을 감싸는 상태로 분사노즐(4)과 중첩하여 보조유도관(6)에 설치된 보조분사노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토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도관(3)에는, 내부 유통 가스가 급속하게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감속필터(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4)에는, 가스가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밸브(7a∼7d)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조분사노즐(5)에는, 분출가스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헬리컬기어 형상의 와류편(9)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치.
KR2019970005891U 1997-03-27 1997-03-27 토오치 KR200164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91U KR200164506Y1 (ko) 1997-03-27 1997-03-27 토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91U KR200164506Y1 (ko) 1997-03-27 1997-03-27 토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31U KR19980061631U (ko) 1998-11-05
KR200164506Y1 true KR200164506Y1 (ko) 2000-01-15

Family

ID=1949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891U KR200164506Y1 (ko) 1997-03-27 1997-03-27 토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5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9Y1 (ko) 2009-11-20 2011-01-28 박민규 부탄가스 토치
KR102203537B1 (ko) * 2019-10-11 2021-01-14 이기영 휴대용 부탄가스통 전용 동 용접 토치
KR20220099635A (ko) * 2021-01-07 2022-07-14 이기영 병렬연결 휴대용 부탄가스통 전용 동 용접 토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49Y1 (ko) 2009-11-20 2011-01-28 박민규 부탄가스 토치
KR102203537B1 (ko) * 2019-10-11 2021-01-14 이기영 휴대용 부탄가스통 전용 동 용접 토치
KR20220099635A (ko) * 2021-01-07 2022-07-14 이기영 병렬연결 휴대용 부탄가스통 전용 동 용접 토치
KR102422418B1 (ko) * 2021-01-07 2022-07-19 이기영 병렬연결 휴대용 부탄가스통 전용 동 용접 토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31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6198C (zh) 带出口环的预混合引燃燃烧器
JP2004506167A (ja) 噴霧バーナー
JPH06241417A (ja) 復熱式放射管加熱装置
KR101063103B1 (ko) 가스연소기의 기화촉진장치
KR200164506Y1 (ko) 토오치
US4978293A (en) Nozzle mix, open power burner
KR100322315B1 (ko) 브라운가스연소용에어제트버너
WO2012072003A1 (zh) 气化油燃烧器和包括气化油燃烧器的内燃式燃烧器
CA1300486C (en) Burner for campstove
KR20110022862A (ko) Dpf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 dpf 시스템
US5507438A (en) Fuel gas and oxygen mixer for cutting torches
JPH09126419A (ja) 石油燃焼機器
JP2000106003A (ja) トーチ
KR200249581Y1 (ko) 토치용 화구
US5628628A (en) Combustion device of fan heater
KR200222619Y1 (ko) 토오치
KR100751048B1 (ko) 고화력 기화기가 구비된 토치
KR200262109Y1 (ko) 토치램프
EP4053453B1 (en) Torch apparatus
EP0879385B1 (en) Gas burner tool provided with ignition devices
WO2018078708A1 (ja) バーナー用触媒金具、操作方法、および熱風溶接機
RU2117216C1 (ru) Резак для кислородной резки стали на жидком горючем
KR200408940Y1 (ko) 고화력 기화기가 구비된 토치
KR200259477Y1 (ko) 안전밸브가 구비된 부탄가스용 토오치
CA2327148A1 (en) Burner for liquid fuel combustion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