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939Y1 -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 Google Patents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939Y1
KR200163939Y1 KR2019970028153U KR19970028153U KR200163939Y1 KR 200163939 Y1 KR200163939 Y1 KR 200163939Y1 KR 2019970028153 U KR2019970028153 U KR 2019970028153U KR 19970028153 U KR19970028153 U KR 19970028153U KR 200163939 Y1 KR200163939 Y1 KR 200163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lever
handle
fixed
movab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983U (ko
Inventor
임정재
Original Assignee
임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재 filed Critical 임정재
Priority to KR2019970028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9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부에는 가동형 칼날부재(3)를 움직이기 위한 레버(4)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고정형 칼날부재(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씽의 핀(8)이 끼워지는 삽입공(11)이 천공된 관통형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에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칼날부재(2)와;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고정부(21)상에 축지되어 작업자에 의해 레버가 당겨졌을시 회동되어 작물이 물려지도록 하는 가동형 칼날부재(3)와; 상기 손잡이(1)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편(7)에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레비(4)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레버가 잡혀져 회동될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가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 후방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와이어(5)와, 작업자가 상기 레버(4)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와 와이어(5) 및 레버(4)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으로 구성하여 장시간 작업을 실시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오는등의 농부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 또는 갈고리형 농기구를 이용하여 뽑을시 보다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며, 특히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의 크기만 적절히 선택하면 되므로 남녀노소 그 누구라도 쉽게 밭작물의 대를 뽑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본 고안은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정길이를 갖는 손잡이의 단부에 갈고리 형성을 갖는 고정형 칼날부재와 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가동형 칼날부재를 설치하여 고추대나 콩대, 가지대, 토마토, 팥대, 옥수수대 및 담배대 등과 같이 외대에서 작물의 수확이 완료된 후 각각의 작물에 대한 대(또는 나무)들을 땅에서 뽐아내고자할 때 적은 노동력으로 보다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뽑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콩, 가지 토마토, 팥, 옥수수 및 담배등과 같이 비교적 딱딱한 대를 갖는 밭작물의 수확을 완료한 후에는 그 대(또는 나무)들을 뽑아내어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와같은 작물들을 손쉽게 뽑을 수 있는 농기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농부들이 각각의 대들을 손으로 직접 잡고 일일히 뽑거나 쾡이 또는 쇠스랑등으로 땅을 파는 동작을 통해 흙으로 부터 뽑아내야만 되었다.
이와같이 각종 직물의 수확이 완료된 밭작물의 대들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장시간 동안 뽑게 되면 허리에 통증이 오게 되는 등의 농부병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특히 노약자들은 밭작물의 대를 뽑아내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상기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갈고리형 농기구를 개발한 바 있는데, 이는 한군데에 각각의 작물이 적어도 2대 이하로 심어졌을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다수개가 한군데에 심어졌을 경우 그 중 일부가 칼날부위에 닿지 않아 뽑히지 않게 되므로 반복해서 작물을 뽑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군데에 여러대가 심어진 각종 밭작물의 외대들을 한번에 뽑을 수 있도록 하여 직업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동안 작업을 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오는 등의 농부병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 노약자들도 적은 힘으로 쉽게 뽑을 수 있으며, 작업자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의 크기만 조절하면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소정지름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되어 그 일단부에는 가동형 칼날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고정형 칼날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핀이 끼워지는 삽입공이 천공된 관통형 손잡이와, "∠"형상의 걸림부와 판상의 고정부로 구성되어 걸림부의 내측과 고정부의 저부에는 일측방부로 경사진 칼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핀이 통과되는 통과공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손잡이에 고정 설치된 고정형 칼날부재와 직사각 판체의 저부를 경사지게 한 형상을 갖고 그 내측부에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의 칼날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칼날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의 고정부상에 축지되어 작업자에 의해 레버가 당겨졌을시 회동되어 작물이 물려지도록 하는 가동형 칼날부재의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잡혀지는 레버와,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의 상단부와 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레버가 잡혀져 회동될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가 고정형 칼날부재의 칼날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상기 레버의 축상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레버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와 와이어 및 레버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추나 콩, 가지, 토마토, 팥, 옥수수 및 담배등과 같은 작물을 수확한 후 그 대(또는 나무)들을 뽑아내고자할시 손잡이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형 칼날부재를 각 밭작물의 외대 또는 2이상의 대 하방부에 걸고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의 칼날과 가동형 칼날부재의 칼날 사이에 작물의 대들이 끼워져 조이게 되므로 칼날들의 일부가 대들의 일부에 각각 박혀진 상태로 당겨지게 되어 각각의 대들이 손쉽게 뽑히게 되므로 장시간 작업을 실시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농부병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 그 만큼 힘이 덜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 또는 갈고리형 농기구를 이용하는 작업 보다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의 크기만 적절히 선택하면 되므로 남녀노소 그 누구라도 쉽게 밭작물의 대를 뽑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칼날부재 부분 요부 확대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농기구 중 손잡이와 레버부분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고정형 칼날부재
3 : 가동형 칼날부재 4 : 레버
5 : 와이어 6 : 리턴스프링
7 : 힌지편 8 : 핀
11 : 삽입공 21 : 고정부
22 : 걸림부 23, 31 : 칼날
211 : 통과공
제1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칼날부재 부분 요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제3도는 본 고안 농기구 중 손잡이와 레버부분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 농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소정지름과 길이를 갖도륵 절단되어 그 일단부에는 가동형 칼날부재(3)를 움직이기 위한 레버(4)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고정형 칼날부재(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핀(8)이 끼워지는 삽입공(11)이 천공된 관통형 손잡이(1)와 "∠"형상의 걸림부(22)와 판상의 고정부(21)로 구성되어 걸림부(22)의 내측과 고정부(21)의 저부에는 각각 일측방부로 경사진 칼날(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1)에는 핀(8)이 통과되는 통과공(211)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손잡이(1)에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칼날부재(2)와, 직사각 판체의 저부를 경사지게 한 형상을 갖고 그 내측부에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칼날(23)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칼날(3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고정부(21)상에 축지되이 작업자에 의해 레버가 당겨졌을시 회동되어 작물이 물려지도록 하는 가동형 칼날부재(3)와; 상기 손잡이(1)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편(7)에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잡혀질시 회동되는 레버(1)와;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의 상단부와 레버(4)의 후방부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시에 의해 상기 레버(4)가 잡혀져 회동될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가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 후방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와이어(5)와 상기 힌지편(7)의 축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손잡이(1)와 레버(4)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4)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와 와이어(5) 및 레버(4)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농기구 중 손잡이(1)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즉, 손 및 키의 크기 등)에 맞는 지름과 길이를 갖도록 성형한 플라스틱봉 또는 금속봉으로 제작하면 되는데, 작업성과 중량 및 강도등을 감안하여 볼때 알루미늄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손잡이(1)의 일단부에는 가동형 칼날부재(3)를 움직이기 위한 레버(4)를 설치하고 타단부는 타격하여 타원형으로 만들고 이 부분에 고정형 칼날부재(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핀(8)이 끼워시는 삽입공(11)을 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손잡이(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각종 밭작물의 대들을 뽑을시 칼날(23)의 일부가 작물의 대 일부에 박혀지는 고정형 칼날부재(2)를 형성할시에는 상기 손잡이(1)의 타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각종 농작물의 대들에 걸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를 당길시 칼날(23)의 일부가 박혀져 땅으로 부터 뿌리가 손쉽게 뽑혀지도록 하는 걸림부(22)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1)는 사각판체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넓이는 상기 손잡이(1)의 지름 보다 약간 작도록 하고, 또 그 일단부측에는 손잡이(1)에 형성시킨삽입공(11)과 마찬가지로 고정용 핀(8)들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211)을 각각 천공시켜 주므로써, 차후 상기 손잡이(1)에 고정형 칼날부재(2)를 설치할시 상기 삽입공(11)과 통과공(211)에 끼워진 한쌍의 핀(8)에 의해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가 손잡이(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고정부(21)상에는 작업자에 의해 레버(4)가 당겨졌을시 회동되어 작물이 고정형 칼날부재(2)와 자체 사이에 물리도록 하는 가동형 칼날부재(3)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가동형 칼날부재(3)는 직사각 판체의 저부를 경사지네 한 형상을 갖도록 하되 그 내측부에는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칼날(23)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칼날(31)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작업자에 의해 레버(4)가 당겨졌을시 회동될시 고정형 칼날부재(2)의 칼날(23)과 가동형 칼날부재(3)의 칼날(31)이 마치 가위날이 얻갈리듯 상호 얻갈리며 밭작물의 대들에 칼날(23)(31)들이 약간씩 박혀지게 된다.
따라서, 한자리에서 여러대가 한군데에 심어진 각종 밭작물인 경우에도 상기고정형 칼날부재(2)와 가동형 칼날부재(3) 사이에서 조여진 상태에서 각각에 형성된 칼날(23)(31)에 의해 일부분들이 찍혀지게 되므로 다수대의 대들을 한번에 뽑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4)는 손잡이(1)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편(7)에 축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힌지편(7)의 축상에는 비틀림형 리턴스프링(6)을 설치히여 일측단부는 손잡이(1)의 저부에 걸려지고 티측 단부는 레버(4)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레버(4)는 제3도의 실선과 같이 통상시 손잡이(1)에 대해 항상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4)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잡혀질시 힌시편(7)의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의 상단부와 레버(4)의 후방부 사이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레버(4)가 잡혀져 회동될 때 그 회전력을 가동형 칼날부재(3)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와이어(5)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4)를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당기면 그 회동 거리만큼 와이어(5)가 후진하게 되므로 통상시 리턴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제2도의 실선과 같이 고정형 칼날부재(2)의 고정부(21)측으로 숨겨진 상태에 있던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가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측으로 회동되어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각종 작물의 대들이 제4도와 같이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 회동각 또는 고정형 칼날부재(2)와 가동형 칼날부재(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크기는 현재 고정형 칼날부재(2)에 의해 걸려진 체 가동형 칼날부재(3)에 의해 조여지는 직물들의 외대 숫자와 그 지름 및 부피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같은 농기구를 사용하여 각종 밭직물의 대들을 뽑고자할시에는 상기 손잡이(1)의 상단부를 잡고 허리를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를 제4도와 같이 밭직물 대들의 하방부에 걸은 다음, 레버(4)를 꼭 쥐고 손잡이(1)를 대각선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와이어(5)를 통해 레버(4)의 회저력을 전달받은 가동형 칼날부재(3)가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이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측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에 걸려져 있는 직물의 대들이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에 의해 압박되므로 이들에 형성된 칼날(23)(31)들이 수개의 외대들에 약간씩이라도 박혀지게 되어 농기구가 각 밭작물의 대들로 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대들가 농기구와 함께 상방으로 당겨져 땅에서 뽑혀지게 된다.
따라서, 한군데에 여러대의 밭작물들이 심어진 경우라 할지라도 적은 힘으로한번에 쉽게 뽑아낼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은 물론 장시간 작업을 실시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오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추나 콩, 가지, 토마토, 팥, 옥수수 및 담배등과 같은 밭작물을 수확한 후 그 대(또는 나무)들을 뽑아내고자할시 손잡이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형 칼날부재를 각 밭작물의 외대 또는 2이상의 대 하방부에 걸고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당기기만 히면 고정형 칼날부재의 칼날과 가동형 칼날부재의 칼날 사이에 작물의 대들이 끼워져 조여지는 상태에서 칼날들의 일부가 대들의 일부에 각각 박혀진 상태로 당겨지게 되어 각각의 대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일제히 뽑히게 되므로 장시간 작업을 실시하여도 허리에 통증이 오는 등의 농부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 또는 갈고리형 농기구를 이용하여 뽑을시 보다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며, 특히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손잡이의 크기만 적절히 선택하면 되므로 남녀노소 그 누구라도 쉽게 밭작물의 대를 뽑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소정지름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되어 그 일단부에는 가동형 칼날부재(3)를 움직이기 위한 레버(4)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고정형 칼날부재(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씽의 핀(8)이 끼워지는 삽입공(11)이 천공된 관통형 손잡이(1)와, "∠"형상의 걸림부(22)와 판상의 고정부(21)로 구성되어 걸림부(22)의 내측과 고정부(21)의 저부에는 각각 일측방부로 경사진 칼날(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1)에는 핀(8)이 통과되는 통과공(211)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손잡이(1)에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칼날부재(2)와, 직사각 판체의 저부를 경사지게 한 형상을 갖고 그 내측부에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칼날(23)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칼날(3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2)의 고정부(21)상에 축지되어 작업자에 의해 레버가 당겨졌을시 회동되어 작물이 물려지도록 하는 가동형 칼날부재(3)와, 상기 손잡이(1)의 일단부에 설치된 힌지편(7)에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잡혀질시 회동되는 레버(4)와,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의 상단부와 레버(4)의 후방부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레버(4)가 잡혀져 회동될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가 고정형 칼날부재(2)의 걸림부(22) 후방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와이어(5)와, 상기 힌지편(7)의 축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손잡이(1)와 레버(4)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4)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가동형 칼날부재(3)와 와이어(5) 및 레버(4)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KR2019970028153U 1997-10-10 1997-10-10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KR200163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153U KR200163939Y1 (ko) 1997-10-10 1997-10-10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153U KR200163939Y1 (ko) 1997-10-10 1997-10-10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83U KR19990014983U (ko) 1999-05-15
KR200163939Y1 true KR200163939Y1 (ko) 2000-01-15

Family

ID=1951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153U KR200163939Y1 (ko) 1997-10-10 1997-10-10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9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83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833A (en) Tool for weeding
KR101805787B1 (ko) 모종기
KR200163939Y1 (ko)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US5244241A (en) Weeding and picking implement
CA1068971A (en) Garden weeding tool
US20150060095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US5327977A (en) Weeder with hollow tines
KR101032808B1 (ko) 유선형의 호미
KR20190063297A (ko) 농작물 수확기
US20030159841A1 (en) Weed extraction home gardening tool
US20150129258A1 (en) Hoe for facilitating working on at least two sides of a plant simultaneously
US7083001B1 (en) Multipurpose, hand held, weed extracting, garden tool
US9661796B1 (en) Bulb, plant, and seedling digging tool
Moor et al. Effect of imidacloprid and acephate for tobacco thrips (Thysonaptera: Thripidae) management on flumioxazin injured peanut
JP2504808B2 (ja) 草取り器
GB1600826A (en) Weed or vegetation uprooting tool
US1758555A (en) Bean harvester
KR19990014982U (ko)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KR102368287B1 (ko) 풀뿌리 이중 제거기능을 갖는 갈퀴형 호미
US20130105184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JP6983413B2 (ja) 添え木兼用シート押え具
KR20240044690A (ko)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US5370191A (en) Semi-automatic, adjustable picking and weeding implement
EP1568263A1 (en) Weed eliminating or sod cut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