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10Y1 - 당구대 - Google Patents
당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3210Y1 KR200163210Y1 KR2019990012761U KR19990012761U KR200163210Y1 KR 200163210 Y1 KR200163210 Y1 KR 200163210Y1 KR 2019990012761 U KR2019990012761 U KR 2019990012761U KR 19990012761 U KR19990012761 U KR 19990012761U KR 200163210 Y1 KR200163210 Y1 KR 2001632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area
- ball
- billiard table
- rectangul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2—Billiard tables adapted to rest on ordinary tabl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타구로부터 목표구가 보이지 않는 영역(사각지대)을 형성하여 당구게임의 난이도를 높임으로써 고득점자에게는 새로운 또는 고난이도의 타법 및 경로를 개발하거나 그 기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저득점자에게도 통상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흥미를 갖게 하는 당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사각형상의 제 1 영역(A)과, 상기 제 1 영역(A)의 어느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2 영역(B)과, 상기 제 2 영역(B)과는 직각이 되는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3 영역(C)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C)이 서로 접하지 않는 바깥쪽 변에는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구(打球: 통상 백색공) 및 목표구(目標球: 통상 적색공)의 위치에 따라 타구로부터 목표구가 보이지 않는 영역(사각지대)을 형성하여 당구게임의 난이도를 높임으로써 고득점자에게는 새로운 또는 고난이도의 타법 및 경로를 개발하거나 그 기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저득점자에게도 통상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흥미를 갖게 하는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당구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장변(a)과 단변(b)으로 이루어진 4변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당구게임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2개의 백색공(타구)(1)과 2개의 적색공(목표구)(2)으로 게임을 하는 4구가 일반인들에게 가장 보편화되어 있다.
4구 게임은, 4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틀(3)내에서 여러가지 타법과 경로를 설정하여 1개의 타구로 2개의 목표구를 맞추는 것으로, 타구 및 목표구가 놓인 위치에 따라, 예를들면 제 1 목표구를 맞춘 후 제 2 목표구를 직접 맞출 수도 있고, 제 1 목표구를 맞춘후 어느 1변 또는 그 이상의 변에 반사시켜 제 2 목표구를 맞출 수도 있으며, 먼저 1변 또는 그 이상의 변에 반사시킨 후 제 1 및 제 2 목표구를 동시에 맞출 수도 있는 등의 여러 가지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4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단순한 형태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많은 타구의 경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고득점자에게는 새로운 경로를 개발하거나 고난이도의 기술을 발휘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저득점자에게도 단조로운 경로로 인해 흥미를 저하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당구대의 형상을 변화시켜 타구의 경로를 더욱 다양하게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즉,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4-11978 호 및 95-8226 호에는, 당구대를 다각형상 즉, 오각형, 육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타구의 경로에 변화를 줌으로써 새로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당구대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서는, 기존의 직사각형에 비하여 타구의 경로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타구가 반사면에 부딪쳐 반사될 때의 반사각 변화 외에는 기존의 경로와 그다지 차이가 없고, 모든 당구공이 기존의 당구대와 마찬가지로 가시범위내에 있기 때문에 고득점자들에게는 새로운 또는 고난이도의 타구 경로를 개발하거나 발휘하고자 하는 욕구는 충족시킬 수 없으며, 저득점자들에게도 흥미를 지속하여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타구의 경로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형성하여 타구의 경로를 더욱 다양하게 함과 동시에 타구 및 목표구의 위치에 따라 타구로부터 목표구가 보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타구의 경로에 대한 정밀도 및 난이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써 고득점자들에게는 새로운 타구의 경로를 개발할 수 있음은 물론 고난이도의 기술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으며, 저득점자들에게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느낌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고난이도용 당구대를 제공하는 데 있
다.
상기의 목적은, 당구공이 소정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소정의 영역을 반사테두리면으로 둘러싸도록 된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사각형상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어느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과는 직각이 되는 제 1 영역의 다른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3 영역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이 서로 접하지 않는 바깥쪽 변에는 반사테두리면으로 둘러싸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당구대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구 2 : 목표구
10 : 당구대 11 : 반사테두리면
12 : 경사테두리면 13 : 포켓
A∼E : 제 1 내지 제 5 영역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당구대(10)는 제 1 내지 제 3 영역(A∼C)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영역(A)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영역(B)은 상기 제 1 영역(A)의 한 쪽 변에 연이어 형성되며, 제 3 영역(C)은 상기 제 2 영역(B)과는 직각으로 위치하는 제 1 영역(A)의 다른 쪽 변에 연이어 형성된다.
제 2 영역(B)과 제 3 영역(C)은, 제 1 영역(A)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대략 제 1 영역(A)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영역(A)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C)은 서로 접하지 않는 바깥쪽 변에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여 당구공이 제 1 내지 제 3 영역(A∼C)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반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제 2 영역(B)과 제 3 영역(C)이 제 1 영역(A)에 대하여 서로 직각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둘러싸는 반사테두리면 (11)에 의해 제 2 영역(B)과 제 3 영역(C)의 일부가 차단되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영역(C)에 타구가 위치하는 경우, 반사테두리면(11)에 의해 제 2 영역(B)의 일부가 가리게 되므로 직선라인(L)을 중심으로 가시영역과 사각영역(빗금친 부분)이 형성되고, 목표구(2)가 제 2 영역(B)의 사각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타구(1)로 목표구(2)를 직접 맞출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사각영역의 면적은, 제 2 영역(B)과 제 3 영역(C)이 만나는 꼭지점 (0)을 중심으로 하여, 타구(1)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지게 되며, 더욱이 제 2 영역(B) 및 제 3 영역(C)에 의해 타구(1)의 경로가 기존과는 다르게 변화되므로 경로를 설정하는 난이도가 높아지고, 정밀도를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당구대(10)는, 제 2 영역(B)과 제 3 영역(C)이 만나는 반사테두리면(11)에 경사테두리면(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경사테두리면(12)을 적절히 이용하게 되면, 타구(1)의 경로를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영역(C)과 대향하고 제 2 영역(B)과는 직각인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에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인 제 4 영역(D)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4 영역(D)이 더 구비됨으로써 타구의 위치에 따라 표적구가 보이지 않는 사각영역이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증가됨과 동시에 타구의 경로 변화도 증가되므로 타구의 경로 설정에 대한 난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영역(B)과 대향하고 제 3 영역(C) 및 제 4 영역(D)과는 직각인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에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인 제 5 영역(E)을 형성한 것 외에는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5 영역(E)이 더 구비됨으로써 타구의 위치에 따라 표적구가 보이지 않는 사각영역이 제 2 실시예의 경우보다 증가됨과 동시에 타구의 경로 변화도 증가되므로 타구의 경로 설정에 대한 난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내지 제 5 영역(B∼E)의 바깥 모서리부에 포켓(13)을 각각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에 경사테두리면(12)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제 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및 제 2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테두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켓볼에서도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타구의 경로 설정에 대한 난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새로운 영역에 의해 타구의 경로 설정폭이 넓어지게 되고, 목표구의 위치에 따라 타구로부터 목표구가 보이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므로 타구의 경로 설정에 대한 난이도가 더욱 높아짐과 동시에 정밀도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고득점자들에게는 새로운 경로를 개발하거나 고난이도의 기술을 발휘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저득점자들에게는 흥미를 가지고 당구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당구공이 소정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소정의 영역을 반사테두리면으로 둘러싸도록 된 당구대에 있어서,상기 영역을, 사각형상의 제 1 영역(A)과, 상기 제 1 영역(A)의 어느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2 영역(B)과, 상기 제 2 영역(B)과는 직각이 되는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을 연장하여 형성한 사각형상의 제 3 영역(C)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C)이 서로 접하지 않는 바깥쪽 변에는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C)과 대향하고 제 2 영역(B)과는 직각인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에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인 제 4 영역(D)을 더욱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B)과 대향하고 제 3 영역(C) 및 제 4 영역(D)과는 직각인 제 1 영역(A)의 다른 한 변에 반사테두리면(11)으로 둘러싸인 제 5 영역(E)을 더욱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내지 제 5 영역(E)의 바깥 모서리부에 포켓(13)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영역이 만나는 반사테두리면(11)의 모서리부에 경사테두리면(1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6942 | 1998-09-0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6942 Division | 1998-09-07 | 1998-09-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3210Y1 true KR200163210Y1 (ko) | 2000-02-15 |
Family
ID=1953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2761U KR200163210Y1 (ko) | 1998-09-07 | 1999-07-01 | 당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3210Y1 (ko) |
-
1999
- 1999-07-01 KR KR2019990012761U patent/KR20016321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90980A1 (en) | Games and puzzles | |
MXPA06013306A (es) | Juego de mesa. | |
US7314420B2 (en) | Bag tossing game | |
US4772018A (en) | Corner table tennis | |
US4613134A (en) | Method of playing a board game utilizing a board with different zones | |
KR200163210Y1 (ko) | 당구대 | |
US7114720B1 (en) | Game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 |
US4998729A (en) | Game board | |
US5601289A (en) | Chess piece for a three-dimensional vertical stacking chess game | |
KR20070114078A (ko) | 신형 당구대 | |
US5893560A (en) | Games, puzzles and the like | |
KR200427960Y1 (ko) | 신형 당구대 | |
US20030020236A1 (en) | Spherical chess board | |
US20040173961A1 (en) | Table game | |
KR200271322Y1 (ko) | 다기능 교육용 놀이 학습기구 | |
JPS61119285A (ja) | ゲ−ム器 | |
US5342060A (en) | Board game playing piece and method of play | |
JP4363578B1 (ja) | ゲーム盤用調整板 | |
US4371170A (en) | Alignment game with cross shaped playing field | |
KR200283469Y1 (ko) | 덤프 완구 | |
JP2724992B2 (ja) | ビリヤード・セット | |
WO2001051140A1 (en) | A playing field for soccer and other sportive games and processes of manufacturing such playing fields | |
KR200242717Y1 (ko) | 표면을 다각면으로 형성한 구기용 공 | |
KR20030042075A (ko) | 축구장기 | |
KR200287071Y1 (ko) | 골프용 놀이셋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0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