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95Y1 - 붙박이형가습기 - Google Patents

붙박이형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95Y1
KR200163195Y1 KR2019990012739U KR19990012739U KR200163195Y1 KR 200163195 Y1 KR200163195 Y1 KR 200163195Y1 KR 2019990012739 U KR2019990012739 U KR 2019990012739U KR 19990012739 U KR19990012739 U KR 19990012739U KR 200163195 Y1 KR200163195 Y1 KR 200163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supply pipe
water supply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광
Original Assignee
홍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광 filed Critical 홍승광
Priority to KR2019990012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실내의 벽내부에 설치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가습기의 진동소자가 위치하는 수조부의 수면 상부에는 6 내지 10㎜의 급수관이 실내에 유입되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위치하고, 수도급수관과 가습기의 수조부 사이에는 콕크밸브가 설치되고, 콕그 밸브로부터 수조부 방향으로 일자형 소켓에 의해 연결된 수조부 인입 급수관이 설치되고, 수조부 인입 급수관관 단부에는 물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와 프로트가 일체로 구성되어 프로트가 가습기의 수조부의 수위에 부유하도록 설치하여 가습기 수조부의 물의 수위가 일정량 수위 이하일때 물을 프로트와 플로트 밸브의 작동에 의해 물을 공급하게되고 일정 수위가 되면 물의 공급을 중단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물탱크가 필요없고 가습기가 가습하는 량의 물을 공급함으로서 신선한물을 계속공급함으로서 각종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고, 상기 가습기의 본체를 일정한 위치의 실내의 벽에 내장시킴으로서 실내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붙박이형 가습기{Humidified equipped within the wall}
본 고안은 실내벽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실내벽 내부에 가습기 수납부를 구비하여 가습기를 벽내면에 설치하고 가습기의 진동소자가 위치하는 수조부를 작게하여 벽내부로부터 급수관에 의해 물이 직접 유입되도록 하여 가습기의 가습량에 따라 부족되는 가습량의 물을 계속 공급하여 일정한 수위의 물이 유지되는 가습기가 벽과 일체로된 구조를 같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기의 구성은 이동 가능한 가습기내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된 물탱크내의 저장수가 공급관 또는 공급통로를 통해 보조수조에 유입되고, 그 보조수조의 상측으로부터 소정량의 물이 가습되는 가습조를 구비하여 가습조내에는 진동소자방식에 의해 가습하는 구성으로된 가습기로서 가습에 따라 보조수조내에 저장된 저장수가 기화되고 점차적으로 기화되고, 기화된 수증기를 안내하는 덕트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팬이 작동되면 소정의 풍력으로 기화된 수증기를 실내로 분출하여 습도를 조절하여 왔다.
그런데 이와같은 설치구조로된 가습기는 가습에 의해 물이 없거나 물탱크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세균의 번식등 유려가 있어 물탱크의 물을 일정시간이 지난후 또는 물탱크의 물이 부족시 물을 사람이 직접 넣어야 되는 불편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상기 가습기의 수조부에 물의 공급하고 그 수조부 물의양은 가습기의 기화에 따라 줄어드는 양을 감안하여 자동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특정한 위치의 실내벽에 내장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실내의 공간을 넓게하기 활용할 수 있도록 실내벽과 일체로 하거나 필요에 따라 가습기를 벽내부로으로부터 분리 또는 삽입 설치하여 실내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로 유입되는 수도관의 지류로 6 내지 10㎜의 급수관을 실내벽 내부에 설치하고 급수관의 수압에 의해 물을 가습기의 수조부에 물을 저장하되 가습기를 작동하여 가습하는 경우 줄어드는 양만큼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급수관과 수조부 사이의 급수관에 글로우브 밸브 및 일자형 유니온 밸브을 구비하고 급수관 단부에 플로트 밸브 및 플로트를 구비하고, 가습기 본체를 실내벽에 내측에 삽입시켜 가습기의 수조부 상부에 상기 급수관 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가습기의 가습량에 해당하는 물을 연속 공급되도록 구성된 실내벽 내부와 가습기가 일체로된 구조를 갖도록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존의 가습기는 설치되는 공간을 갖음으로서, 실내의 활용면적을 적게할뿐만 아니라 물탱크의 물부족시 직접 물을 보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장시간 가습기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물탱크의 물에 각종 세균이 생겨 그 물을 그대로 가습시 사람에게 해로운 경향이 있고 가습 작동중 물 부족시 새로운 물을 계속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습기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실내벽 내부에 내장되어 실내벽과 일체로된 붙박 이형 가습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습기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붙박이형 가습기의 평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 12 : 가습기 수납부
14 : 가습기 16 : 수조부
18 : 플로트 20 : 급수관
21 : 개폐문 22 : 글로우브 밸브
24 : 유니온 밸브 26 : 플로트 밸브
28 : 닥트 30 : 가습조
일면에 있어서, 본 고안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16)와 진동소자에 의해 의해 물을 기화시키고 가습량을 닥트(28)를 통해 유출하도록 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성된 가습량이 유출되는 닥트(28)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실내벽(10) 내부에 가습기 본체(14)가 수납되는 수납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벽 내부에 실내유입 급수관으로부터 분류된 6 내지 8㎜의 급수관(20)이 수납부까지 급수관이 연결되고 가습기 수납부(20)의 급수관의 일정위치에는 글로우브 밸브(22)가 설치되고, 글로우브 밸브로부터 가습기 수조부의 수면 상부까지 연결되는 급수관(20)은 가습기를 필요에 따라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유니온 밸브(24)가 결합되며 가습기의 수조부 수면 상부에 위치하는 급수관 단부에는 플로트 밸브(26)가 수면에 부유하는 플로트(18)와 일체로 구성되어, 가습기의 가습이 작동되어 수조부의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플로트 밸브(26)가 개방되어 물이 공급되고 물이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플로트 밸브가 닫히게되어 물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붙박이형 가습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습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의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형 가습기는 실내로 유입되는 수도관의 분류로부터 실내벽 내부에 6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의 급수관(20)이 가습기의 수납부(12)까지 내장되고, 수납부는 실내벽(10)의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실내벽의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는 가습기는 수조부(16), 진동소자가 위치하고 송풍팬을 포함하는 가습조(30)와 닥트(28)로 구성하도록 하여 물의 저장용량을 적게하여도 가습에 따라 소모되는 일정량의 물을 계속 공급하도록 급수관(20)과 가습기의 수조부(16) 사이에는 글로우브 밸브(22), 유니온 밸브(24), 프로트(18)와 일체로된 플로트 밸브(26)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습기 수납부내 급수관의 일정한 위치에 가습기를 벽면으로부터 분리시 물을 단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글로우브 밸브(22)를 설치하고, 글로우브 밸브로부터 가습기의 수조부 방향으로의 급수관은 가습기를 벽면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유니온 밸브(2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습기를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시 개폐문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의 단부가 가습기의 수조부(16) 수면상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는 플로트 밸브(26)가 구비되는데 플로트 밸브는 수조부의 수면위에 부유하는 프로트(18)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트 밸브(26)는 가습기 수조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될때는 플로트(18)의 위치가 낮게되어 개방되고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플로트(18) 위치가 물이 공급된 량 만큼 높게되므로 밀폐되어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라, 병원이나 겨울에 일반가정에서 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실내에 가습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서 생활공간을 넓게할 수 있으며, 가습기내의 물탱크와 보조수조부를 없애고 저수량의 저수조를 사용함으로 가습기 본체 부피를 보다 작게할 수 있으며, 기습기내의 수조부와 급수관이 직결되어 물의 공급을 간편하고 항상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일정한 일정량의 물이 물의 사용량에 따라 계속 공급되므로 각종 세균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16), 물을 기화하고 생성된 가습량을 유출 닥트를 통해 유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가습조(30), 상기 생성된 가습량이 유출시키는 닥트(28)로 이루어진 가습기에 있어서, 실내벽(10) 내부에 가습기 본체(14)가 수납되는 가습기 수납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벽(10) 내부에 유입되는 급수관(20)으로부터 수납부(12)까지 급수관이 연결되고, 가습기 수납부(12)의 급수관(20)이 일정 위치에는 글로우브 밸브(22)가 설치되고, 글로우브 밸브(22)로부터 가습기 수조부(16)의 수면상부까지 연결되는 급수관은 가습기를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유니온 밸브(24)로 결합되며 가습기의 수조부의 수면상부에 위치하는 급수관 단부에는 플로트 밸브(26)가 수면에 부유하는 플로트(18)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붙박이형 가습기.
KR2019990012739U 1999-07-01 1999-07-01 붙박이형가습기 KR200163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39U KR200163195Y1 (ko) 1999-07-01 1999-07-01 붙박이형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39U KR200163195Y1 (ko) 1999-07-01 1999-07-01 붙박이형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195Y1 true KR200163195Y1 (ko) 2000-02-15

Family

ID=1957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739U KR200163195Y1 (ko) 1999-07-01 1999-07-01 붙박이형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1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077A1 (en) * 2007-02-13 2008-08-21 Deok Yong Kim Built-in humid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077A1 (en) * 2007-02-13 2008-08-21 Deok Yong Kim Built-in humidifier
KR100870903B1 (ko) 2007-02-13 2008-11-28 김덕용 빌트인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419B1 (en) Humidifier
US10436466B2 (en)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CN115751544A (zh) 具有降噪功能的双重结构加湿器
EP2389546B1 (en) Humidifier
KR100211160B1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CN111076285A (zh) 可靠的凝水静音加湿空调
KR200163195Y1 (ko) 붙박이형가습기
US2021521A (en)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05285220A (ja) 加湿器
US6550748B2 (en) Dry out mechanism for humidifier
CN217031325U (zh) 加湿组件及电暖器
JP2008025898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20130074164A (ko) 가습공기청정기
JPH05312363A (ja) 自然蒸発式加湿器の給水装置
JPH04320743A (ja) 自然蒸発式加湿器
JP2005147461A (ja) 加湿器
KR20210090833A (ko) 공기조화장치
CN213272916U (zh) 空气处理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698518B1 (ko) 기화식 가습장치
JP6782043B1 (ja) 気化式加湿器
CN220453843U (zh) 一种加湿机构及空气净化器
JP2001330283A (ja) 加湿器
KR200327554Y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0157837Y1 (ko) 공조유닛용 일체형 가습기
KR19980052882U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