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995Y1 -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 Google Patents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95Y1
KR200162995Y1 KR2019970044269U KR19970044269U KR200162995Y1 KR 200162995 Y1 KR200162995 Y1 KR 200162995Y1 KR 2019970044269 U KR2019970044269 U KR 2019970044269U KR 19970044269 U KR19970044269 U KR 19970044269U KR 200162995 Y1 KR200162995 Y1 KR 200162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motor
rail
central processing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935U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19970044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95Y1/ko
Publication of KR980000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안 시간제한과 다수의 장애물을 설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이동수단에 안착시킨다음 운행되어 일정한 시간내의 운행과 다수의 장애물을 피해 상품을 얻는 것으로써 다변화된 사의의 레저중 하나인 오락장치를 통해 상품을 얻는 동시에 게임도 즐길 수 있어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계층을 한정하지 않고 넓은 계층 즉 청소년부터 장년층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인출용 오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본 고안은 상품인출용 오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시간제한과 다수의 장애물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품이 안착된 이동수단을 운행하여 일징한 시간내의 운행과 다수의 장애물을 피해 상품을 얻는 것으로써 다변화된 사회의 레저중 하나인 오락장치를 퉁해 상품을 얻는 동시에 게임도 즐길 수 있는 상품인출용 오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레저문화 향상에 의해 오락문화 또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오락기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복잡과 어려움으로 오락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을 뿐더러 사용자의 계층 즉 10대에서 20대의 연령으로 한정되어 있고 상품인출이 아닌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어진 해당점수를 얻는 것이었다.
한편, 종래의 상품인출 오락장치에는 집게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서 원하는 상품으로 이동하여 집어야 되는데 원하는 상품이 각이진 상태이면 잡기가 곤란할뿐더러 게임기능이 아닌 막연한 상품인출의 역할을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에서 드러난 여러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일정한 시간제한과 다수의 장애물을 설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이동수단에 안착시킨다음 운행되어 일정한 시간내의 운행과 다수의 장애물을 피해 상품을 얻는 것으로써 다변화된 사회의 레저중 하나인 오락장치를 통해 상품을 얻는 동시에 게임도 즐길 수 있어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계층을 한정하지 않고 넓은 계층 즉 청소년부터 장년층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나타내주는 플루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조명부
30 : 트랜스포머 40 : AC/DC 변환부
50 : 중앙처리부 60:스피커
70 : 위치센서부 80 : 선택스위치부
90 : 동전감지부 100 : 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블록구성도를 살펴보면 AC 220V가 인가되고 과전원을 보호하는 휴지 및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기기내에 장착된 형광등이 점등되어지기 위한 조명부(2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인가된 전원의 전압을 기기에 알맞는 전압으로 변성하기 위한 트랜스포머(30)와, 이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된 고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AC/DC 변환부(40)와, 이 AC/DC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원이 인가되고 각종 데이터의 기억 및 연산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50)와, 이 중앙처리부의 신호에 의해 증폭기를 통해 소리음이 출력되어지는 스피커(6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에 상품이동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하기 위한 위치센서부(7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에 입출력하기 위해 상품을 선택하는 스위치, 상품이 안착된 이동수단을 구동하도록 하는 시작스위치, 이동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레버를 이루어진 선택스위치부(80)와, 동전투입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부(50)에 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전감지부(9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고 장애물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며 설정된 시간을 카운터하는 구동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00)는 상품이 안찰되는 이동수단을 움직이게 하는 레일모터(M1)와, 상품을 상하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모터(M2)와, 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모터(M3)와, 장애물 건널목모터(M5)와, 장애물이 돌발되도록 작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S1,S2)와, 상품이 배출이 되도록 작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S2,S3,S4,S5)와,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되어지는 카운터(C1)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로써, 상품인출 오락기(1)의 정면중앙부에 상기 선택스위치부(80)가 설치되어져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상품이 선택되어지면 이동수단을 구동하도록 하는 시작스위치 및 이동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스위치부(80)의 하부에는 원하는 상품이 배출되는 배출구(2)와 동전이 투입되어지는 투입구(3)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선택스위치부(80)의 상부에는 상품을 얻기 위해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동부(100)와 상품이 진열되어져 있는 표시창(4)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부(100)에는 이동수단이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레일(8)이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원형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움직이도록 모터(M1)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8)의 외측 일정간격으로 돌발(5), 풍차(6) 및 건널목차단바(7)와 같은 장애물이 설치되고 상기 돌발장애물(5)은 상기 레일(8)방향으로 돌발이 되도록 솔레노이드(S1,S2)가 설치되며 상기 풍차장애물(6)은 풍차가 회전되어지도록 회전모터(M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건널목차단바(7)는 차단바가 상하로 이동되어지도록 상하모터(M5)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8)의 내측 바닥 내부에는 상기 장애물(5, 6, 7) 에 의해 떨어진 상품이 복귀되어지도록 복귀라인이 형성되고 레일(8) 일측에는 상품이 이동수단으로 이동되고 상품적재함으로 복귀되도록 유리관통(9, 10)이 설치되며 이 유리관통 내부에는 상품이 이동되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체인(11)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품표시창(4)에서 상기 유리관통(9) 사이에는 선택된 상품이 이동되도록 이동라인(12)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유리관통(9)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출발되어지는 출발점이 설정되고 상기 출발점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정지 또는 감지되어지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형성되어져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루챠트로써, 초기화단계(S100)에서 스텝 S101로 이동하여 동전투입기에 동전이 투입되는지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스텝 102로 이동하여 레일모터를 온시킨다음 소리음이 출력되는 스피커를 온시키고(S103) YES인 경우에는 오락이 시작되는 단계(S104)와 중앙처리부에 동전투입이 확인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05)로 이동하고 상기 스텝 104가 확인되면 이동수단인 기차 등의 정위치확인 단계(S106)에서 NO인 경우에는 레일모터(S107)을 구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상품선택스위치(S108)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텝 108에 의해 상품스위치가 선택되는가(S109, S110, S111)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중앙처리부에 있는 제한시간을 카운터(S112)하고 YES인 경우에는 스텝 113으로 이동하여 상품배출 솔레노이드와 장애물 돌발 솔레노이드를 작동하여 스텝 114로 이동한 다음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되는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중앙처리부에서 계속적으로 시간을 카운터(S115)하여 상기 스텝 108로 이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제1상품이 배출되도록 구동한 다음(S116) 스텝 117로 이동하여 시작스위치가 구동되는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스텝 S118로 이동하여 시간을 계속적으로 카운터하고 YES인 경우에는 스텝 119로 이동하여 게임과 오락을 실시할 수 있는 모터와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도록 하고 스텝 120으로 이동하여 제안된 시간의 카운터가 "0"인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117로 이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중앙처리부에서 해당된 액수만큼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출력(S121)하여 스텝 122로 이동시켜 이동수단인 기차레일의 위치를 판별하여 기차위치가 시작위치에 있지 않은 NO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106으로 이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100의 초기화로 이동하여 한 번의 게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게임을 즐기기 위한 이용자가 동전투입구에 동전을 투입하면 이동수단인 기차가 출발점으로 이동하여 멈추고 상품선택 스위치가 점등되면 이용자는 원하는 상품의 스위치를 온시키되 선택된 스위치에 상품이 없을 경우에는 몇초후에 다른 선택스위치가 다시 점멸하여 이용자가 선택된 상품이 기차위에 적재되면 시작스위치가 점등되어지고 이용자가 시작스위치를 온시키면 정해진 시간이 주어지고 카운터가 시작됩니다.
상기 이동되어지는 기차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레버로 조절하여 가속에 의한 상품의 떨어짐과 장애물을 피하는데 이용되어지며 운행중 여러 장애물울 통과하여 종점에 도착하면 상품하차용 차단물에 의해 상품이 상품배출구를 통해 나오면 게임이 끝나고 만약 시간이 초과되면 기차가 역방향으로 자동운행하여 초기상태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이용자가 어느 한 계층에 적용되지 않고 넓은 계층에서 게임과 오락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자가 임으로 속도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초보자가 운행하더라도 손쉽게 상품을 얻는 효과와 오락장치의 구성상 복잡하지도 않으면서 다양하게 설치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넓은 장소가 아닌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 설치되어지는 장애물은 설치운영하는 운영자가 임으로 장애물을 많이 또는 적게 설치할 수 있는 것과 이동수단을 기차, 자동차 등 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주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3)

  1. 상품이 안착되는 이동수단을 움직이게 하는 레일모터(M1)와, 상품을 상하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모터(M2)와, 상품을 배출하기 위한 모터(M3)와, 장애물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모터(M4)와, 장애물 건널목 모터(M5)와, 장애물이 돌발되도록 작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S1, S2)와, 상품이 배출이 되도록 작동되어지는 솔레노이드(S3, S4, S5)와, 카운터(C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되어지도록 구동부(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에는 이동수단이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레일(8)이 바닥면 중앙을 중심으로 원형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8)이 움직이도록 모터(M1)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8)의 외측일정간격으로 돌발(5), 풍차(6) 및 건널목차단바(7)와 같은 장애물이 설치되고 상기 돌발장애물(5)은 상기 레일(8) 방향으로 돌발이 되도록 솔레노이드(S1, S2)가 설치되며 상기 풍차장애물(6)은 풍차가 회전되어지도록 회전모터(M4)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건널목차단바(7)는 차단바가 상하로 이동되어지도록 상하모터(M5)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8)의 내측 바닥 내부에는 상기 장애물(5, 6, 7)에 의해 떨어진 상품이 복귀되어지도록 복귀라인이 형성되고 레일(8) 일측에는 상품이 이동수단으로 이동되고 상품적재함으로 복귀되도록 유리관통(9, 10)이 설치되며 이 유리관통 내부에는 상품이 이동되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체인(11)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품표시창(4)에서 상기 유리관통(9) 사이에는 선택된 사움이 이동되도록 이동라인(12)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유리관통(9)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출발되어지는 출발점이 설정되고 상기 출발점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정지 또는 감지되어지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형성되어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에는 중앙처리부(50)의 출력신호에 의해 모터들이 작동되고 장애물 솔레노이드가 작동되며 설정된 시간을 카운터(C1)하고, 각종 데이터의 기억 및 연산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50)와, 이 중앙처리부의 신호에 의해 증폭기를 통해 소리음이 출력되어지는 스피커(6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에 상품이동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하기 위한 위치센서부(70)와, 상기 중앙처리부(50)에 입출력하기 위해 상품을 선택하는 스위치, 상품이 안착된 이동수단을 구동하도록 하는 시작스위치, 이동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레버로 이루어진 선택스위치부(80)와, 동전투입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부(50)에 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전감지부(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KR2019970044269U 1997-12-31 1997-12-31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KR200162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69U KR200162995Y1 (ko) 1997-12-31 1997-12-31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269U KR200162995Y1 (ko) 1997-12-31 1997-12-31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35U KR980000935U (ko) 1998-03-30
KR200162995Y1 true KR200162995Y1 (ko) 1999-12-15

Family

ID=1952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269U KR200162995Y1 (ko) 1997-12-31 1997-12-31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35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7560B2 (ja) 遊技機
CN100522296C (zh) 轮盘台及控制该轮盘台的方法
JP4204631B1 (ja) スロットマシン
US20070265056A1 (en) Roulette gaming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lottery areas and playing method thereof
JP2009261780A (ja) 遊技機
JP6882070B2 (ja) 遊技機
JP4995338B1 (ja) 遊技機
JP4963395B2 (ja) 遊技機
KR200162995Y1 (ko) 상품인출용 오락장치
CN1739831B (zh) 轮盘游戏设备
JP2004081441A (ja) 遊技機
JPH0623334Y2 (ja) スロットマシン
JPH0663225A (ja) 弾球遊技機の可変入賞球装置
WO1984002281A1 (en) Racing betting game
JP3335596B2 (ja) 弾球遊技機
JP2781546B2 (ja) 弾球遊技機
JP2010094140A (ja) 弾球遊技機
JPH08112411A (ja) パチンコ遊技機の入賞制御装置
JP2001079192A (ja) パチンコ機
JP6933501B2 (ja) 遊技機
KR200279017Y1 (ko) 로봇을 이용한 축구 게임기
JP6624188B2 (ja) 遊技機
JP2772918B2 (ja) 弾球遊技機の制御方法
JPH063653Y2 (ja) パチンコ遊技機の変動入賞装置
JP2001095994A (ja) パチン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