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977Y1 -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77Y1
KR200162977Y1 KR2019940017783U KR19940017783U KR200162977Y1 KR 200162977 Y1 KR200162977 Y1 KR 200162977Y1 KR 2019940017783 U KR2019940017783 U KR 2019940017783U KR 19940017783 U KR19940017783 U KR 19940017783U KR 200162977 Y1 KR200162977 Y1 KR 200162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ircuit board
fire detector
wire
chu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066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940017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77Y1/ko
Publication of KR960005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재 감지기에서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점 접촉을 선 접촉으로 개선하여 전도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열 감지 캡의 스위칭 플레이트에 설치된 현가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을 베이스의 수납부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그 상측에 커버 부재를 배치하여 고정하고, 이 회로기판에 접속됨과 동시에 외부 전원 및 경보장치로 연결된 전선을 척킹하는 배선 결속 수단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도시한 전체 도사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을 전단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의 화재 감지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배선 단자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결합수단 23 : 회로기판
26 : 통공 28 : 가아드 판넬
30 : 배선 결속 수단 31 : 척킹부재
32 : 홀딩부재 33 : 체결부재
34 : 단자부 36 : 텐션부
38 : 터널부 40 : 커버부재
42 : 분리 버튼 44 : 고정부
45 : 가이드 홈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열 감지 캡의 스위칭 신호를 경보장치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열 감지 캡을 지지하여 건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장착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건물등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천정 또는 벽면에 부착하는 화재 감지기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캡과, 상기한 열 감지 캡에서 감지한 온도 변화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열 감지 캡과 베이스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감지 캡(50)의 저면에 현가 부재(5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현가 부재(51)와 결합되도록 베이스(52)의 전원 입출력부(53) 양측에 압착판(54)과 걸림판(55)이 겹쳐진 상태로 베이스(52)에 고정된 체결 수단이 설치되어 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전원 입출력부(53)에는 베이스(52)에 일체로 형성된 분리 버튼(56)과, 상기한 분리 버튼(56)에 접촉되어 있는 체크 플레이트(57)와, 상기한 체크 플레이트(57)와의 사이에 전선(W)이 삽입되어 이를 고정시키는 프로텍터(58)로 구성된 배선 결속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결합 수단은 상기 현가 부재(51)가 압착판(54)과 걸림판(55)의 사이로 회전되면서 삽탈됨으로써 열 감지 캡(50)과 베이스(52)를 일체를 결합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걸림판(55)과 압착판(54)의 사이에는 전달 부재(59)가 삽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걸림판(55)과 현가 부재(51)는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열 감지 캡(50)에서 전달되는 신호가 베이스(52)로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전달 부재(59)는 전원 입출력부(53)로 연결됨으로써 베이스(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60)를 발광시킴과 아울러 도시되지 않은 부저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체크 플레이트(57)와 프로텍터(58)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2)의 전원 입출력부(53)에 적층된 상태로 고정되어 지는 바, 상기한 체크 플레이트(57)와 프로텍터(58)의 사이로 전선(W)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한 체크 플레이트(57)는 베이스(52)에 고정되는 고정부(61)와, 상기한 고정부(61)에 연장되어 전선(W)를 압착하는 압착편(6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프로텍터(58)는 전선(W)이 삽입될 때 피복된 부분이 걸리도록 형성한 걸림편(63)과, 상기한 걸림편(63)에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52)에 고정되는 수직 연부(6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텍터(58)와 체크 플레이트(57)는 회로기판(6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의 동작은 분리 버튼(56)으로 체크 플레이트(57)를 누른 상태에서 전선(W)을 체크 플레이트(57)와 프로텍터(58)의 사이에 삽입한 후 분리 버튼(56)를 놓아 체크 플레이트(57)가 전선(W)를 압착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재 감지기의 동작은 열 감지 캡(50)에서 실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신호가 결합 수단을 통해 전달됨과 아울러 상기한 신호는 전달 부재(59)를 통해 회로 기판(66)으로 전달되고 부저 및 발광 다이오드(60)를 점등시킴으로써 화재 경보를 발하게 되는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그러나, 전술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는 전선(W)을 지지하는 배선 결속 수단 즉, 체크 플레이트(57)와 프로텍터(58)가 점 접촉되어 지는 바, 이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전도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즉, 상기한 전선(W)은 체크 플레이트(57)의 압착편(62)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프로텍터(58)와의 사이에 지지되어 지는바, 이때 상기 전선(W)은 상기 압착편(62)에 의해 가압되는 일점 부위에서만 접속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은 전도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어 화재 감지기를 오동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 결속 수단의 점 접촉을 선 접촉으로 개선하여 전도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열 감지 캡의 스위칭 플레이트에 설치된 현가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을 베이스의 수납부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그 상측에 커버부재를 배치하여 고정하고, 이 회로기판에 접속됨과 동시에 외부 전원 및 경보장치로 연결된 전선을 척킹하는 배선 결속 수단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은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부재에 형성된 분리 버튼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가압 및 척킹하게 되는 척킹부재를 포함하고, 이 척킹부재와 함께 체결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통과시켜 그 전선과 선 접촉되는 홀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척킹부재는 소정의 탄력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전원 입력부와의 사이에서 전선을 가압 및 지지하게 되는 텐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선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비한정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부 배선 결속 수단과 회로기판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20은 베이스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베이스(20)에는 온도 상승에 따라 열 팽창되는 공지의 다이어프램(도시생략)과 스위칭 접점을 갖는 열 감지 캡(50; 제4도 참조)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열 감지 캡(50)의 현가부재(51)와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21)에 의해, 일체로 된 화재 감지기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결합수단(21)은 리이드부재(22)를 개재하여 회로기판(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로기판(23)에는 다시 배선 결속수단(30)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배선 결속 수단(3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입되고 경보 장치로 연결되는 전선(W)이 연결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한 회로기판(23)은 수납부(27)에 안착되어 지는 바, 상기 수납부(27)에는 상기 회로기판(23)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턱(29)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23)에는 리이드부재(22)가 접속되어 지는 바, 이는 체결부재(24)를 개재하여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다. 또, 상기한 회로기판(23)에는 발광 다이오드(11)가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회로기판(23)의 상측에는 커버부재(40)가 배치되어 지는 바, 이는 체결부재(41)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기판(23)을 수납함과 동시에 베이스에 일체로 고정되어 진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 결속 수단(30)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리버튼(42)을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30)은 별도의 체결부재(35)를 개재하여 상기 회로기판(23)에 접속되는 척킹부재(31)와, 이 척킹부재(31)와의 사이에서 전선(W)에 접속되는 홀딩부재(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척킹부재(31)와 홀딩부재(32)는 체결부재(33)를 개재하여 베이스의 너트 보스(25)에 고정 설치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척킹부재(31)와 홀딩부재(32)를 순차적으로 너트 보스(25)에 안착하고, 이를 체결부재(33)로서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한 척킹부재(31)는 회로기판(23)에 접촉되는 단자부(34)를 구비하여, 체결부재(35)로서 상기 회로기판(23)에 함께 베이스에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한 척킹부재(31)는 절개 및 밴딩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텐션부(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 텐션부(36)는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4)의 저면으로 삽입 및 탄지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척킹부재(31)의 텐션부(36)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W)을 상기 고정부(44)와의 사이에서 지지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한 분리 버튼(42)을 압착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전선(W)을 삽입하게 된다. 또, 상기 분리 버튼(42)의 상측면에는 조작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척킹부재(31)는 단자부(34)에 대향하는 선단에 하측으로 밴딩 형성되는 안내부(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는 외부 전선(W)의 인입시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척킹부재(31)의 상측에 안착되는 홀딩부재(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 원통상으로 형성되는 터널부(3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나선(W1)이 삽입되어, 터널부(38)의 내측면과 선 접촉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선 결속 수단(30)의 전방에는 전선(W)을 지지하기 위한 통공(26)을 보유하는 가이드 판넬(28)이 설치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전선(W)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또, 상기 가아드 판넬(28)의 전면에는 적어도 4개의 가이드 홈(45)이 마련되어 지는데, 이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W)의 안내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30)은 회로기판(23)을 거쳐 결합수단(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열 감지 캡(50)의 현가부재(51)와 접속되는 한편, 상기 분리 버튼(42)을눌러 상기 척킹부재(31)의 텐션부(36)와 고정부(44)와의 사이에서 전선(W)을 압착 지지하게 됨으로써, 전원 및 화재 경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의한 베이스(20)에는 배선 결속 수단(30) 즉, 척킹부재(31)와 홀딩부재(32)가 체결부재(33)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척킹부재(31)와 홀딩부재(32)의 터널부(38) 사이에는 터널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지는 바, 여기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나선(W1)이 삽입되어, 상기 척킹부재(31) 및 홀딩부재(32)와 선 접촉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나선(W1)은 척킹부재(31)의 텐션부(36)에 의해 압착 지지되어지는 바, 이러한 구조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한 나선(W1)은 홀딩부재(32)의 터널부(38)을 통과하여 회로기판(23)쪽으로 돌출되어 지는 바, 그 선단은 척킹부재(31)의 텐션부(36)와 베이스의 고정부(4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텐션부(3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외부 전선(W)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지는 배선 결속 수단(30)은 다시 회로기판(23)에 연결되어 지는 바, 이는 척킹부재(31)에서 연장 형성되는 단자부(34)를 체결부재(35)로서 상기 회로기판(23)에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회로기판(23)에는 발광 다이오드(11)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로기판(23)의 상측에는 커버부재(40)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재 감지기의 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다. 즉, 열 감지 캡(50)에서 열을 감지하여 다이어프램이 팽창하게 되면, 스위칭 접점은 온 상태로 되고, 다시 이 신호는 현가부재(51)와 결합수단(21) 및 리이드부재(22)를 통해 회로기판(23)으로 전달되고, 발광 다이오드(11)를 점등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스위칭 신호는 회로기판(23)에 접속된 척킹부재(31)로 연결되며, 이는 다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W)과 선 접촉됨으로써, 전원 및 경보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경보를 발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에 외부 전선과의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배선 결속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서, 종래의 점 접촉에 의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극복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배선 결속 수단의 척킹부재는 베이스의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전선을 지지함과 동시에, 홀딩부재의 터널부와 척킹 부재의 사이에서 전선을 선 접촉하게 됨으로써, 도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한 가아드 판넬은 인입되는 전선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전선의 이탈이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오동작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천정에 부착되는 베이스면의 대향면 즉, 개방면에 회로기판을 장착하되, 이를 커버부재를 설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보수시 상기 커버부재만을 제거한 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의 차동식 화재 감지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온식 및 이온식, 광전식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로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4)

  1. 열에 의해 팽창되는 다이어프램과 이에 따라 온 상태로 되는 열 감지 캡의 스위칭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열 감지 캡을 지지하는 결합수단(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23)과, 이 회로기판(23)에 접속되고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척킹하는 배선 결속 수단(30)과, 상기 회로기판(23)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분리 버튼(42)을 보유하는 커버부재(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배선 결속 수단(30)은 회로기판(23)에 연결되는 단자부(34)와, 고정부(44)와의 사이에서 전선을 압착 지지하는 텐션부(38)를 보유하는 척킹부재(31)와 ; 이 척킹부재(31)와 함께 체결부재(33)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감싸는 터널부(38)를 보유한 홀딩부재(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전선은 통공(26)을 보유하는 가아드 판넬(28)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전선은 가이드 홈(45)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KR2019940017783U 1994-07-18 1994-07-18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KR200162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783U KR200162977Y1 (ko) 1994-07-18 1994-07-18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783U KR200162977Y1 (ko) 1994-07-18 1994-07-18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66U KR960005066U (ko) 1996-02-16
KR200162977Y1 true KR200162977Y1 (ko) 1999-12-15

Family

ID=1938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783U KR200162977Y1 (ko) 1994-07-18 1994-07-18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66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623A (en) Heat deactivated illumination device
KR200162977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JP3328823B2 (ja) 火災感知器
HU218123B (hu) Csavarkötésmentes villamos csatlakozóeszköz
KR200162973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JP4869026B2 (ja) 加熱調理器
KR200162870Y1 (ko) 화재감지기
KR100328321B1 (ko) 콤프레서용 급전 장치
CN109805752B (zh) 电水壶
CN109820415B (zh) 一种电水壶
KR970000421Y1 (ko) 차동식 화재 감지기
KR970000420Y1 (ko) 차동식 화재 감지기
KR200162971Y1 (ko) 화재발신기의 배선단자
KR970000245Y1 (ko) 정온식 화재 감지기
KR960000250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CN215379547U (zh) 蚊香器的电路板装配结构
CN217215375U (zh) 一种具有过热保护功能的插头
CN219760172U (zh) 插座
CN214580904U (zh) 灯壳组件及灯具
CN212137942U (zh) 一种发热模块用的安装连接部件
CN214595736U (zh) 雷达座、雷达组件及扫地机器人
KR20010073514A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KR101825098B1 (ko) 풋스위치
KR200219919Y1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KR200173407Y1 (ko) 화재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