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509Y1 -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509Y1
KR200161509Y1 KR2019940034104U KR19940034104U KR200161509Y1 KR 200161509 Y1 KR200161509 Y1 KR 200161509Y1 KR 2019940034104 U KR2019940034104 U KR 2019940034104U KR 19940034104 U KR19940034104 U KR 19940034104U KR 200161509 Y1 KR200161509 Y1 KR 20016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nbc
cbr
protection devic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76U (ko
Inventor
장진기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40034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509Y1/ko
Publication of KR960024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생방 경보 발생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보조 동력 장치 및 환경 제어 장치)를 가동시켜 화생방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최소화한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은 화생방 감지기가 오염 물질을 감지하여 경보 장치에 경보음을 울리도록 함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 조종 상자를 통하여 화생방 방호 장치를 자동으로 가동시킴으로써, 화생방 방호 장치 가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화생방 오염 물질로부터 승무원실의 승무원 및 장비를 보호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제3도는 조종 상자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생방 감지기 2 : 경보 장치
3 : 화생방 방호 장치 4 : 방호 장치 조종 상자
5, 5' : 화생방 감지기 출력신호 6 : 오염공기
7 : 여과, 정화된 공기 8 : 화생방 방호 장치 주 스위치
9 : 릴레이 31 : 보조 동력 장치
32 : 환경 제어 장치 81 : 제1주전원 스위치
82 : 제2주전원 스위치 91 : 제1릴레이
92 : 제2릴레이
본 고안은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생방 경보 발생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보조 동력 장치 및 환경 제어 장치)를 가동시켜 화생방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최소화한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화생방 감지기(1)에서 감지하여 경보 장치(2)에 경보 신호(5)를 전송하면 승무원이 경보음을 청각적으로 확인하고 방호 장치의 조종 상자(4)의 스위치를 온하여, 화생방 방호 장치(3)를 가동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생방 경보 및 방호장치는 화생방 오염시 경보음 확인 후, 방호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가동 소요시간 동안 화생방 오염 물질에 승무원 및 장비가 노출되어 인체 및 장비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화생방 경보 발생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를 가동시켜 화생방 오염 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승무원 및 장비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여 주는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에 오염 물질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정보 수단, 상기 오염된 물질로 부터 인명 및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화생방 방호 수단, 그리고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에 오염 물질이 감지되었을때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켜주는 조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은 보조 동력 수단과 환경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종 수단은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이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은 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은 각각 상기 보조 동력 수단을 개폐시키는 제1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제1릴레이 및 상기 환경 제어 수단을 개폐시키는 제2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제2릴레이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을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은 화생방 감지기(1)에서 오염 물질 감지 출력 신호(5, 5')를 화생방 정보 장치(2)와 화생방 방호 장치 조종 상자(4)에 병렬로 공급하여 화생방 경보 장치(2)에서 경보음 발생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3)의 스위치를 온시킬 수 있도록 출력 신호(5')를 조종 상자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이와 같은 화생방 방호 장치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조종 상자의 상세한 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다.
주전원 스위치(8) 및 이 주전원 스위치(8)와 병렬로 자동 개폐 가능한 릴레이(9)를 설치하여 릴레이 여자 전원을 화생방 감지기(1)의 출력 신호(5')에 연결하여, 화생방 감지기(1) 작동시 출력 신호(5')가 방호 장치의 조종 상자의 릴레이(자동 개폐 스위치; 9)에 여자하여 스위치를 온시킴으로써 즉각적으로 화생방 방호 장치가 가동하도록 하여 화생방 오염으로부터 승무원 및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화생방 방호 장치를 화생방 상황과 관계없이 수동으로 가동 및 작동할 수 있도록 방호장치 조종 상자의 릴레이(자동 개폐 스위치; 9)에 병렬로 수동 스위치(주전원 스위치; 8)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은 화생방 감지기가 오염 물질을 감지하여 경보 장치에 경보음을 울리도록 함과 동시에 화생방 방호 장치 조종 상자를 통하여 화생방 방호 장치를 자동으로 가동시킴으로써, 화생방 방호 장치 가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화생방 오염 물질로부터 승무원실의 승무원 및 장비를 보호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여 주는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에 오염 물질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경보 수단, 상기 오염된 물질로부터 인명 및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화생방 방호 수단, 그리고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에 오염 물질이 감지되었을때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켜주는 조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은 보조 동력 수단과 환경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수단은 상기 화생방 방호 수단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이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화생방 오염 물질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은 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자동 개폐 스위칭 수단은 각각 상기 보조 동력 수단을 개폐시키는 제1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제1릴레이 및 상기 환경 제어 수단을 개폐시키는 제2주전원 스위칭 수단과 제2릴레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의 자동 가동 시스템.
KR2019940034104U 1994-12-14 1994-12-14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KR20016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04U KR200161509Y1 (ko) 1994-12-14 1994-12-14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04U KR200161509Y1 (ko) 1994-12-14 1994-12-14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76U KR960024676U (ko) 1996-07-22
KR200161509Y1 true KR200161509Y1 (ko) 1999-12-01

Family

ID=1940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104U KR200161509Y1 (ko) 1994-12-14 1994-12-14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5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76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92191A (pt) Aparelho electrico de proteccao com disparador diferencial com circuito de teste e telecomando de abertura auto-protegida
EP0381017A3 (en) Power supply device in fire alarm systems
KR200161509Y1 (ko) 화생방 경보 및 방호 장치 자동 가동 시스템
US20080272903A1 (en) Safety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hazardous area defined by motor-driven components
US5469138A (en) Danger detector-type automatic control device
CA2193083A1 (en) Apparatus for sealing off an opening
ATE192253T1 (de) Vorrichtung zum scharfschalten einer funkalarmanlage
ES2108635A1 (es) Avisador de peligro.
KR100273873B1 (ko) 다목적 경보장치
CA2155159A1 (en) Reconfigurable fault control apparatus
KR200294542Y1 (ko)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US3749992A (en) Fan control panel
CA1076678A (en) Fire-extinguishing system
JPS6356600B2 (ko)
CN213958222U (zh) 一种用于气体保护房间的报警装置
GB2268298B (en) Detection system
GB1575484A (en) Coupled fire extinguishing and guarding systems
JPH1127812A (ja) 制御配電盤
KR200143874Y1 (ko) 드레인 홀을 구비한 아웃사이드 핸들
KR0132016Y1 (ko) 산업로보트 접근방지용 울타리 출입구의 안전장치
SE9402214D0 (sv) Överfallsalarm
SU11979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стренного выключени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лифта
KR20040018033A (ko)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70060690U (ko) 용접마스크의 보안경 개폐장치
SU9229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реле от ложных срабатыв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