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138Y1 - 꽃신 - Google Patents

꽃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138Y1
KR200161138Y1 KR2019970035690U KR19970035690U KR200161138Y1 KR 200161138 Y1 KR200161138 Y1 KR 200161138Y1 KR 2019970035690 U KR2019970035690 U KR 2019970035690U KR 19970035690 U KR19970035690 U KR 19970035690U KR 200161138 Y1 KR200161138 Y1 KR 200161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color
side body
outer she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274U (ko
Inventor
황진용
Original Assignee
황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진용 filed Critical 황진용
Priority to KR2019970035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138Y1/ko
Publication of KR980000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본체의 외피를 투톤 또는 투칼라로 면적구분한 새로운 꽃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측면본체(12)는 외피(14)로 피복된 꽃신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상하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 꽃신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전후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다.

Description

꽃신
본 고안은 투톤 또는 투칼라의 꽃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제품 디자인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꽃신 측면본체의 외피를 투톤 또는 투칼라로 면적구분한 새로운 꽃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무신을 대체하여 근래에는 방수천이나 본견 등의 외피와 합성수지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하고, 외피의 표면에는 다양한 꽃무늬나 기타의 문양을 수놓은 꽃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꽃신은 주로 명절이나 결혼식에서 여성들이 한복을 입는 경우에 주로 신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꽃신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꽃신(10)의 측면본체(12)는 소정 칼라의 외피(14)로 둘러싸이고, 측면본체(12)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꽃이나 기타 각종 화초문양의 꽃무늬(16)가 주로 수예기법에 의해서 부여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꽃신(10)의 전방 코부분(18)에는 측면본체(12)의 외피(14)의 색상과 다른 칼라의 천이 봉재처리되어 전체적인 꽃신디자인에서 엑센트로 작용하기도 한다. 제2도는 종래의 또다른 방식의 꽃신을 보여주는데, 신발의 코부분(18)과 후단 뒤축부(20)에 물결무늬(17)와 같이, 꽃이나 화초가 아닌 다른 종류의 무늬가 도입되기도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꽃신은 단일한 소정 색상의 외피(14)에 주로 여러 가지 종류의 꽃무늬를 도입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꽃무늬의 정형성을 탈피하기 위해 꽃무늬 이외의 디자인모티브를 적용하기도 하는데, 이와같이, 단일색상의 외피(14)에 꽃이나 화초 기타의 디자인모티브를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제품의 차별화나 디자인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다. 즉,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차별화되는 꽃이나 화초무늬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꽃무늬 또는 화초무늬에 변화를 주는 것만으로는 소비자들의 제품의 선택기회나 다양한 디자인이나 색상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켜주기에는 미흡하며, 꽃신제조업자의 입장에서도 디자인의 변화를 위해 주로 꽃무늬 모티브의 개발에 주력하지만 제품의 차별화와 다양화에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꽃신 디자인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비자들의 제품의 디자인이나 색상선택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꽃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꽃신의 외피를 시각적으로 눈에 띌 수 있도록 두부분으로 면적구분하여 각각 색상이나 칼라를 달리한 새로운 꽃신을 제공하게 된다.
제1도 내지 제2도는 종래의 꽃신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꽃신의 예시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꽃신 12 : 측면본체
14 : 외피 15 : 뒤굽
16 : 꽃무늬 17 : 물결무늬
18 : 코부분 20 : 뒤축부분
21 : 구획선 22 : 제1칼라부
24 : 제2칼라부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측면본체(12)는 외피(14)로 피복된 꽃신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신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측면본체(12)는 외피(14)로 피복된 꽃신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전후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신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꽃신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통적인 꽃신과 같은 형태로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뒤축(15)은 현대적인 감각에 맞추어서 하이힐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본체(12)는 본견이나 방수천 또는 레자나 기타 소재의 외피(14)로 피복된 합피 또는 합성수지시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피(14)는 대략 중간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에 의해 면적구분된다. 따라서, 꽃신(1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칼라를 나타내게 된다.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는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칼라로 처리되는데,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서로 다른 계통의 색상이나 동일계통의 색상으로서 채도나 명도만 다른 경우와 같이 톤만을 달리하는 색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는 두조각의 서로 다른 천을 봉재연결하거나, 동일한 천을 2도이상의 색상으로 날염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꽃신(10)의 측면본체(12)를 대략 크게 두부분으로 구분하여 꽃신의 바탕색상을 투톤 또는 투칼라로 처리함으로써 두가지 색상의 조합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별화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꽃신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이와같은 투톤 또는 투칼라 바탕위에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꽃무늬(16)가 수예 또는 날염기법에 의해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를 구분하는 구획선(21)이 사인곡선과 같은 곡선으로 처리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구획선은 직선에 국한되지 않고 곡선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를 구획하는 구획선(21)이 꽃신(10) 측면본체(12)의 수평방향의 중간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보여준다. 이와같이,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구획선(21)에 의해 꽃신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다른 칼라와 톤을 부여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이 꽃신(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곡선적으로 상승하여 꽃신의 전방에서는 코부분(18)을 이루고 꽃신의 후단에서는 보강대 형상의 뒤축(20)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측면본체(12)를 면적구분하는 구획선(21)은 전방과 후방에서 변화를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꽃신에서와 같이, 측면본체의 외피를 단일의 바탕색상으로 처리하고, 그 위에 꽃무늬나 기타 무늬의 디자인모티브를 액센트로 부가하던 패턴을 극복하고, 꽃신 외피의 바탕색상을 투톤 또는 투칼라의 색상으로 면적구분함으로써 그만큼 가능한 색상의 조합이 풍부해지므로 바탕색상의 조합에 따른 디자인의 차별화를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들의 색상과 디자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며, 제품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

  1.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측면본체(12)는 외피(14)로 피복된 꽃신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상하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신.
  2. 밑창(11)과 측면본체(12)로 이루어지고 측면본체(12)는 외피(14)로 피복된 꽃신에 있어서, 상기 측면본체(12)의 외피(14)는 전후방향의 중간부위에서 대략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선(21)에 의해 색상 또는 톤을 달리하는 제1칼라부(22)와 제2칼라부(24)로 면적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신.
KR2019970035690U 1997-12-05 1997-12-05 꽃신 KR200161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690U KR200161138Y1 (ko) 1997-12-05 1997-12-05 꽃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690U KR200161138Y1 (ko) 1997-12-05 1997-12-05 꽃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274U KR980000274U (ko) 1998-03-30
KR200161138Y1 true KR200161138Y1 (ko) 1999-11-15

Family

ID=1951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690U KR200161138Y1 (ko) 1997-12-05 1997-12-05 꽃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1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27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1313A (en) Injection molded boots
US5005219A (en) Garment decoration with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CN109310176A (zh) 越过缝线的印刷
CN1067566A (zh) 由织物面料制造鞋成型部分的方法及所制造的鞋成型部分
JPH06113905A (ja) シューズ用胛被材
GB2277706A (en) A multi part rubber sol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08120903A1 (en) Accessories for string of footwear
KR200161138Y1 (ko) 꽃신
US1956969A (en) Shoemaking
US3067532A (en) Slipper sole
TWM531760U (zh) 一種一體成型的高挺度多孔針織鞋面
WO1993003637A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zapatos y pisos para ellos
US2024180A (en) Ornamental material and shoe made therefrom
GB2053992A (en) A method for making pattern cutting lines on fur fabrics
CN1158022C (zh) 一种缝贴有电脑刺绣的中式服装
GB2063054A (en) Non-slip material, in particular for shoe soles
USD1020210S1 (en) Shoe
US2455459A (en) Slipper with chenille surfacing
JP3056284U (ja)
ITTO20010495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calzature, e calzature realizzate con tale metodo.
KR200167650Y1 (ko) 투명창이 구비된 다운쟈켓
CN102781267B (zh) 生产成衣的方法
KR200189608Y1 (ko) 목재돗자리
KR200201191Y1 (ko) 패션바지
US1935576A (en) Innersole fo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