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532Y1 -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532Y1
KR200160532Y1 KR2019970004204U KR19970004204U KR200160532Y1 KR 200160532 Y1 KR200160532 Y1 KR 200160532Y1 KR 2019970004204 U KR2019970004204 U KR 2019970004204U KR 19970004204 U KR19970004204 U KR 19970004204U KR 200160532 Y1 KR200160532 Y1 KR 200160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current
transistor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184U (ko
Inventor
김은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4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532Y1/ko
Priority to US09/036,790 priority patent/US6026001A/en
Publication of KR19980060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06F1/305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 1차측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PWM IC로부터 출력되는 PWM 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전류를 유도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류를 별도로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삽입한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와,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제 2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 따라 인가 받아 전압을 드랍(Drop)하는 파워 트랜지스터부와, 노말(Normal)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에 삽입된 코일로부터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여 파워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정류기로 구성하여, 메인 파워 트랜스에서 노말 동작시에는 별도의 코일을 통해 유도하여 파워 1차측 전원으로 사용하고,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시에는 파워 트랜지스터부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전압 드랍(Drop)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서 전압 드랍(Drop)으로 인한 방열 문제 및 열적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본 고안은 파워 1차측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PMS 모드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 회로에서 전압 강하로 인한 트랜지스터의 열적 손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및 전자 기술 분야의 발달과 함께 많은 전기 및 전자 제품이 보급되고 있다. 이 러한 전기 및 전자 제품의 보급과 함께 전기 및 전자 제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하고 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약칭함)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가시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PC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고전압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전압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기 VESA 규정등을 적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니터 제작자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VESA 규정이 적용된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C(100)는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동기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C(100)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디스플레이 모니터(200)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아 해상도를 판별하는 마이콤(210)과, 디스플레이 모니터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아 증폭하여 표시하는 비디오 회로부(240)와, 상기 마이콤(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40)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모니터(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C(100)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각종 화면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마이콤(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인가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 인가하게 된다.
수직 펄스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Drive) 회로(230-2)는 일반적으로 1단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이러한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출력 회로(230-3)는 V-DY(230-4)를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를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는 수평 출력 회로(230-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6)는 드라이브단이 온일 때 출력단도 온이 되는 동위상(동극성) 방식과, 현재 많이 사용되는 드라이브단이 온일 때 출력단은 오프 되는 역위상(역극성) 방식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0-6)는 H-DY(230-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0-4)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230-9)를 통해 귀선 콜렉터를 이용하고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0-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을 발생하여 CRT(240-4)의 애노드(Anode) 단자(240-4-1)에 인가하게 되다.
고압을 인가 받은 애노드(Anode) 단자(240-4-1)는 인가된 고압에 의해 애노드(Anode)면에 고압을 형성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2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 때, 영상 신호 처리부(240)는 마이콤(210)에서 화면 제어에 따른 OSD 데이터를 OSD부(240-1)에서 인가 받아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OSD부(240-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는 비디오 프리 앰프(240-2)에서 인가 받는다. OSD 이득 신호와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 피크 대 피크 전압(Peak to peak voltage; 이하 VPP로 표시함) 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출력 앰프(240-3)는 40 ∼ 60VPP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0-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전자빔으로 변환되어 화면을 통해 영상신호(R,G,B)에 따른 상을 표시한다.
또한, OS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프리 앰프(240-2)에서 OSD가 선택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최종 증폭되어 CRT(240-4)의 화면에 OSD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CRT(240-4)에 표시되는 OSD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니터(20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모니터(200)의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니터 화면을 통해 영상 신호(R,G,B)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 입력단(250-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 입력단(250-1)을 통해 공급되는 AC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0-2)은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예를 들어, 디가우징 코일(250-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AC를 가하면, 디스플레이 모니터(200)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DC 성분의 자계를 흩트리게 된다.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DC 성분의 자계를 흩트리게 됨으로써, 전자빔의 편향 동작시 DC 성분의 자계로 인해 형광체에 정확하게 편향동작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색상 번짐을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정류기(250-3)를 통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 트랜스(250-4)로 인가된다.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250-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레귤레이터(Regulator)(250-5)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 IC(250-6)는 스위칭 트랜스(250-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한편, 마이콤(210)은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감지 여부에 따라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 및 서스팬드(Suspend)모드 등의 VESA 규격에 따른 디스플레이 파워 관리 신호(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ling; 이하 DPMS라 약칭함) 모드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모니터(200)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니터(200)에서 DPMS 모드가 적용된 전원 회로는 일반적으로 메인(Main) 전원과 보조 전원을 사용하여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과, 메인 파워(Main power)에서 PWM 펄스의 듀티(Duty)를 최대한으로 줄여 1차측으로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 메인 파워(Main power)에서 PWM 펄스의 듀티(Duty)를 최대한으로 줄여 공급하는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 입력단(250-1; 도 1에 도시됨)을 통해서 상용전원인 AC를 단자(IN1, IN2)를 통해서 입력 받는다. 단자(IN1, IN2)를 통해 공급된 AC는 노이즈(Noise) 필터(도시 않음)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정류기(250-3)인 브리지(Bridge) 다이오드(250-3a)를 통해서 AC를 정류된다. 브리지 다이오드(250-3a)를 통해서 정류된 전류는 평활용 캐패시터(C1)를 통해서 평활되어 저항(R1)에서 D C 전원을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발생된 DC 전원은
으로 산출되고 산출된 DC 전원은 노드(Node)(a)를 통해서 PWM IC(250-6; 도 1에 도시됨)로 공급된다. 노드(a)를 통해서 DC 전원을 인가 받은 PWM IC(250-6)는 인가된 DC 전원에 따라 스위칭 트랜스(250-4)인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T1)를 스타트(Start)시키게 된다.
즉, PWM IC(250-6)를 통해서 인가된 PWM 펄스는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T1)의 1차측 코일(L1)에 전류의 흐름을 온/오프하여 2차측 코일(L2)에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T1)의 2차측 코일(L2)에 유도된 전류를 다이오드(D1) 및 캐패시터(C2)를 통해서 정류되어 DC 전원을 발생하여 1차측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Q1)를 통해서 전압을 드랍(Drop)하여 1차측에서 필요로 하는 DC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전원 회로에서 DPMS 모드에 따른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를 실행하게 되면 VESA 규격인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시 소비전력은 5W로 하고, 서스팬드(Suspend) 모드시에는 15 W를 만족해야 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PWM IC(250-6)를 통해서 출력되는 PWM 펄스의 온 듀티(On duty)를 최대한 줄여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전원 회로 설계가 잘못되면 PWM 펄스의 온 듀티(On duty)를 최대한 줄인다 하더라도 DPMS의 규격을 만족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즉, PWM 펄스의 듀티를 최대한 줄여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서 5W이하가 될 때 b 지점의 전원은 적어도 c 지점의 전위(파워 1차측 전원)보다는 높아야만 파워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정상 동작일 때, c 지점의 전압이 12V이면 b 지점의 전압은 80V가 되야 한다. 또한, 파워 오프 모드 일 때, c 지점의 전압이 12V이면 b 지점의 전압은 14V가 되야 한다. 따라서, 노말(Normal) 모드에서는 b 지점의 전위는 c 지점의 전위보다 상당히 높은 전압을 갖도록 트랜스(T1)의 2차측 코일(L2) 권선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b 지점의 전위는 높은 전압이 요구되어 이 전압을 1차측의 필요한 전압만큼 공급하기 위해서는 큰 전압을 드랍(Drop)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큰 전압을 드랍(Drop)시키는 트랜지스터(Q1)는 드랍(Drop)된 전압만큼 열로써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Q1)에 큰 방열판을 사용해야 하며 또한, 트랜지스터(Q1)가 발생된 열로 인해 파손되어 사용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말(Normal) 동작시 메인 파워 트랜스에 권선비가 낮은 코일과 정류기를 삽입하여 별도로 1차측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파워 트랜지스터의 방열판 및 열적 손상을 방지하는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PWM IC로부터 출력되는 PWM 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전류를 유도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류를 별도로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삽입한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와,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제 2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 따라 인가 받아 전압을 드랍(Drop)하는 파워 트랜지스터부와, 노말(Normal)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에 삽입된 코일로부터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여 파워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정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회로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를 입력받아 정류하는 제 1 정류기(11)와, 상기 제 1 정류기(11)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동작되어 PWM 펄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PWM IC(도시 않음)와, 상기 정류기(11)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상기 PWM IC로부터 출력되는 PWM 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전류를 유도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류를 별도로 공급하기 위한 코일(L7)을 삽입한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와, DPMS 모드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제 2 정류기(13)와, 상기 제 2 정류기(13)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파워 오프(Power off) 모에 따라 인가 받아 전압을 드랍(Drop)하는 파워 트랜지스터부(14)와,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부(14)로부터 전압 이 드랍(Drop)된 전원을 인가 받아 평활하여 파워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캐패시터(C7)와, 노말(Normal)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에 삽입된 코일(L7)로부터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여 파워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정류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중에 상기 제 1 정류기(11)는 브리지(Bridge)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정류기(13)는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 내의 2차측 코일(L6)에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해 정류된 전류를 인가 받아 평활하는 캐패시터(C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부(14)는, 상기 캐패시터(C5)로부터 평활되어 출력되는 DC 전압을 콜렉터단으로 인가 받고, 제너 다이오(ZD2)로부터 기준전압을 베이스단으로 인가 받아 인가되는 DC 전압을 드랍(Drop)하여 에미터단으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정류기(15)는,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 내에 삽입되어 노말(Normal) 동작시 전류를 유도 받는 코일(L7)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 상기 다이오드(D3)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인가 받아 평활하는 캐패시터(C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 내에 장착되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실행된 결과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처리하는 비디오 카드(도시 않음)가 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비디오 카드로부터 정상적인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도시 않음) 내는 정상적인 노말(Normal)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노말(Normal) 동작을 실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내의 전원 회로는 제 1 정류기(11)를 구성하는 브리지(Bridge) 다이오드를 통해서 전원 입력 단자(t1, t2)를 통해서 AC를 인가 받아 정류하게 된다. 정류기(11)를 구성하는 브리지(Bridge) 다이오드를 통해서 정류된 전류를 캐패시터(C4)를 통해서 평활되어 저항(R4)을 통해서 유기하게 된다. 저항(R4)을 통해서 유기된 DC 전원은 노드(A) 지점에 인출되어 PWM IC를 구동하게 된다.
저항(R4)을 통해서 유기된 DC 전원을 노드(b) 지점에서 인가 받아 구동하는 PWM IC는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를 구동하여 전원을 1차측에 공급하게 된다. 즉,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는 PWM IC를 통해서 출력되는 PWM 펄스의 폭에 따라 1차측의 코일(L4)에 인가되는 전류를 온/오프 드라이브(Drive)시키게 된다.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의 단자(t3)를 통해서 입력된 전류를 단자(t4)를 흐르는 전류를 PWM 펄스의 주기에 따라 1차측의 코일(L4)로 온/오프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WM 펄스의 주기에서 오프(Off) 듀티 동안에는 1차측 코일(L4)에 흐르는 전류를 축적하게 된다. 반대로, PWM 펄스의 주기에서 온(On) 듀티 동안에는 1차측 코일(L4)에 역기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의 1차측 코일(L4)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2차측 코일(L5, L6, L7)에는 유도 현상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2차측 코일(L6)에 흐르는 전류는 제 2 정류기(13)의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되고 캐패시터(C5)에 의해 평활되어 파워 트랜지스터부(13)의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으로 인가하게 된다.
콜렉터단으로 제 2 정류기(13)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2)는 제너 다이오드(ZD2)를 통해서 베이스단으로 일정한 전압을 인가 받게 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Q2)의 동작 조건은 파워 트랜지스터부(14)의 제너 다이오드(ZD2)의 전위는 B 지점의 전위보다 낮아야 된다. 즉,
제너 다이오드(ZD2)의 전위 < B 지점의 전위
라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면 파워 트랜지스터부(14)의 트랜지스터(Q2)는 에미터단의 전위는 베이스단보다 전위가 높게 걸리므로 오프 상태가 되어 전류를 파워 1차측으로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다이오드(D4)는 노말(Normal) 동작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으로 미세하게 흐르는 전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노말(Normal) 동작시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됨으로 인해서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의 2차측으로 유도된 전류를 코일(L7)에 유도된다. 코일(L7)에 유도된 전류를 제 3 정류기(15)의 다이오드(D3)를 통해서 정류되고, 캐패시터(C6)를 통해서 평활되어 DC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DC 전류는 캐패시터(C7)를 통해서 평활되어 파워 1차측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PC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에서 VESA 규정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디스프레이 모니터의 전원 회로는 DPMS 모드의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PWM IC는 인가된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 따라 출력되는 PWM 펄스의 주기에서 온(On) 듀티를 최대한 줄게 된다.
PWM IC에서 발생된 PWM 펄스의 주기에서 온(On) 듀티가 급격히 줄게되어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를 통해서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는 낮아지게 된다. 이 때,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12)의 2차측 코일(L6)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권선비를 갖는 코일(L7)을 통해서는 전류가 유도되지 않아 제 3 정류기(15)를 통해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코일(L7)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권선비를 갖는 코일(L6)을 통해서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코일(L6)을 통해서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는 제 3 정류기(13)를 통해서 정류되고 평활되어 파워 트랜지스터부(14)로 인가하게 된다. 제 2 정류기(13)에서 정류되어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은 파워 트랜지스터부(14)는 인가된 DC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으로 인가 받는다. 콜렉터단으로 제 2 정류기(13)로부터 정류되어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제너 다이오드(ZD2)를 통해서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제너 다이오드(ZD2)를 통해서 일정 전압을 베이스단으로 인가 받은 트랜지스터(Q2)는 온이되어 전압을 일정 레벨로 드랍(Drop)하여 에미터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은 캐패시터(C7)를 통해서 평활되어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 따라 파워 1차측 전원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노말(Normal) 동작시에는 코일(L7)을 통해서 전류를 유도하여 파워 1차측 전원으로 사용하고 DPMS 모드인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시에는 코일(L6)을 통해서 전류를 유도하여 노말 동작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트랜지스터(Q2)로 인가함으로 인해서 고압의 드랍(Drop)에 따른 방열 문제 및 열적 손상를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파워 트랜스에서 노말 동작시에는 별도의 코일을 통해 유도하여 파워 1차측 전원으로 사용하고,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시에는 파워 트랜지스터부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전압 드랍(Drop)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서 전압 드랍(Drop)으로 인한 방열 문제 및 열적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를 인가 받아 PWM IC로부터 출력되는 PWM 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전류를 유도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전류를 별도로 공급하기 위한 코일(L7)을 삽입한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와,DPMS 모드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제 2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에 따라 인가 받아 전압을 드랍(Drop)하는 파워 트랜지스터부와,노말(Normal) 동작시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에 삽입된 코일(L7)로부터 유도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여 파워 1차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정류기를 포함하는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부는, 노말(Normal) 동작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전위는 에미터단의 전위보다 낮게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제 3 정류기는, 상기 메인 파워(Main power) 트랜스 내에 삽입되어 노말(Normal) 동작시 전류를 유도 받는 코일(L7)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인가 받아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상기 다이오드(D3)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인가 받아 평활하는 캐패시터(C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KR2019970004204U 1997-03-08 1997-03-08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KR200160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204U KR200160532Y1 (ko) 1997-03-08 1997-03-08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US09/036,790 US6026001A (en) 1997-03-08 1998-03-09 Power supplying device in primary side of power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204U KR200160532Y1 (ko) 1997-03-08 1997-03-08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84U KR19980060184U (ko) 1998-11-05
KR200160532Y1 true KR200160532Y1 (ko) 1999-11-15

Family

ID=1949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204U KR200160532Y1 (ko) 1997-03-08 1997-03-08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26001A (ko)
KR (1) KR2001605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727B1 (ko) * 1997-04-14 2001-02-01 윤종용 노이즈 필터 회로
KR20020008667A (ko) * 2000-07-25 2002-01-31 김홍기 스위칭모드형 전원공급장치에서의 오프모드시 전원제어아이 씨의 전원공급회로
KR100474636B1 (ko) * 2002-11-15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공급 장치
US20100001699A1 (en) * 2008-07-02 2010-01-07 Murata Power Solutions Output voltage control circuit for modular power suppl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1641A (en) * 1954-08-02 1958-07-01 Hazeltine Research Inc Image-reproducing apparatus
US2905491A (en) * 1958-01-02 1959-09-22 Gen Dynamics Corp Turnbuckle
US5453921A (en) * 1993-03-31 1995-09-2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Feedback limited duty cycle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5812383A (en) * 1997-07-31 1998-09-22 Philips Electronics North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power stand-by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84U (ko) 1998-11-05
US6026001A (en)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572B1 (ko) Os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표시 방법
KR100265164B1 (ko)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자동 휘도 조정 회로 및 방법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KR200204874Y1 (ko) 과도전압 안정화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US6091397A (en) Automatic screen brightness compens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160532Y1 (ko)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KR100288580B1 (ko) Osd를이용한디스플레이모드표시방법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KR19980015197A (ko) 모니터의 자동전원 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monitor)
KR100242842B1 (ko) 복수의 fet를 이용한 수평편향 드라이브 회로
KR100247391B1 (ko) 영상신호의 패스 스로우(pass through)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42839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상조정 회로
KR100419715B1 (ko) Pfc에 부합하는 노이즈 필터
US5952787A (en) Degaussing circuit employing filter for improved performance
KR19980051598A (ko) 듀티(Duty)변경 회로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200155998Y1 (ko) 동기신호의 판별에 의한 오버 레이지 제한 회로
KR19980060005U (ko) 모니터 냉각 장치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KR200142869Y1 (ko) 음극선관의 히터전압 공급장치
KR100281382B1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200150478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pwm 듀티를 제어하는 수평출력 보호회로
KR19980085723A (ko) 초절전형 모니터의 전원회로
KR100242837B1 (ko) 수직 편향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