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519Y1 -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519Y1
KR200159519Y1 KR2019950041032U KR19950041032U KR200159519Y1 KR 200159519 Y1 KR200159519 Y1 KR 200159519Y1 KR 2019950041032 U KR2019950041032 U KR 2019950041032U KR 19950041032 U KR19950041032 U KR 19950041032U KR 200159519 Y1 KR200159519 Y1 KR 200159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rame
sides
fixing groov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505U (ko
Inventor
도중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41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519Y1/ko
Publication of KR970027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5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의 인발장치에 갖춰진 인발롤에서 양단부에 장착된 베어링 쵸크를 분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받침대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고정대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에는 각각 U형의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에는 인발롤이 장착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상에 위치되고, 고정대의 양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를 갖추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프레임의 전, 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여 작동로드가 각각 인발롤의 양측 베어링쵸크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유압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양측방에서 인발롤의 베어링쵸크를 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대차; 및, 상기 고정대의 U형 고정홈을 폐쇄시키도록 일측단부가 고정대의 상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타측단부는 고정홈을 가로질러서 고정대의 상부면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지지바의 중앙에는 고정대의 외측으로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고리를 갖추어 상기 걸고리가 인발롤의 양측 턱부에 고정되는 클램프부; 를 포함하는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제1도는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인발기를 도시한 외관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서 인발롤에서 베어링쵸크를 분해시키는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쵸크 분해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5 : 고정대
17 : 고정홈 20 : 대차
30 : 유압구동장치 32 : 유압실린더
50 : 클램프 부 110 : 인발롤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의 인발장치에 갖춰진 인발롤에서 베어링 쵸크를 분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인발롤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인발롤로부터 베어링쵸크를 분해시킴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신속한 작업에 의한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며,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설비에는 슬라브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슬라브를 하류(Down - Stream) 측으로 인출시키는 인발기를 갖추고 있다.
상기 인발기(1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 하부 인발롤(110)을 갖추고, 상기 인발롤(110)의 사이로 슬라브를 인출하게 되며, 상기 인발롤(110)의 양측에는 각각 베어링쵸크(120)가 위치되어 상기 인발롤(11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발롤(110)의 일측단부는 커플링(125)에 의해서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발롤(110)은 정비작업을 위하여 인발롤(110)에서 베어링쵸크(120)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작업은 매우 힘든 것이다.
즉, 작업자는 천정크레인(132)을 이용하여 인발롤(110)을 들어서 고임목(140)의 상부에 올려놓고, 상기 베어링쵸크(120)에 와이어 로프(142)를 걸어서 천정크레인(132)으로 상승시킨다음, 상기 베어링쵸크(120)의 일측면을 크레인함마(150)로 타결하여 충격을 가함으로서 인발롤(110)에서 강제적으로 분해시키고, 상기와는 반대로 인발롤(110)에 상기 베어링쵸크(12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인 블럭(미도시)등으로 베어링쵸크(120)를 인발롤(110)측으로 당겨서 결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을 통하여 인발롤(110)에서 베어링쵸크(120)를 분해시키는 경우, 상기 베어링쵸크(120)를 타격하는 크레인햄머(150)의 타격력으로 인하여 베어링쵸크(120)내부의 베어링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였고, 고중량의 베어링쵸크(120)외 크레인햄머(150)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실행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것이며, 다수의 작업자가 분해조립작업에 투입됨으로서 작업생산성의 저하가 초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발롤로부터 베어링쵸크를 분해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한 작업에 의한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며, 베어링 쵸크에 무리한 충격을 가하지 않음으로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쵸크 분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의 인발장치에 갖춰진 인발롤에서 양단부에 장착된 베어링쵸크를 분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받침대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에는 각각 U형의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에는 인발롤이 장착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상에 위치되고, 고정대의 양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를 갖추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프레임의 전, 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여 작동로드가 각각 인발롤의 양측 베어링쵸크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 유압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의 양측방에서 인발롤의 베어링쵸크를 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대차; 및, 상기 고정대의 U형 고정홈을 폐쇄시키도록 일측단부가 고정대의 상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타측단부는 고정홈을 가로질러서 고정대의 상부면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지지바의 중앙에는 고정대의 외측으로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고리를 갖추어 상기 걸고리가 인발롤의 양측 턱부에 고정되는 클램프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쵸크 분해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쵸크 분해장치(1)는 일정크기의 프레임(10)을 갖는 바, 상기 프레임(10)은 받침대(12)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고정대(15)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대(15)의 상부면에는 각각 U형의 고정홈(17)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7)은 일렬로 형성되어 인발롤(110)이 내측에 장착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받침대(12) 양측으로는 상기 고정홈(17)의 내측에 인발롤(110)이 장착되는 경우, 인발롤(110)의 양측에 위치된 베어링쵸크(120)가 상부에 위치되는 대차(20)를 갖추며, 상기 대차(20)는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하부면에는 활차(22)를 장착하여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상에는 유압구동장치(30)가 갖춰지며, 상기 유압구동장치(30)는 고정대(12)의 양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32)를 갖추며, 상기 유압실린더(32)는 프레임(10)의 전, 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몸체(32a)의 후단부가 고정대(15)의 수평브라켓트(35)에 힌지(37)로서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32)는 그 작동로드(39)에 각각 복수개의 플랜지(39a)를 장착하고, 상기 플랜지(39a)에는 구멍(42)이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2)는 유압조절부(45)와 유압펌프(47)에 유압배관(49)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서 작업자가 유압조절부(45)를 통하여 각각의 유압실린더(3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32)의 작동로드(39)에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39a)는 베어링쵸크(1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편(39b)이 상기 플랜지부(39a)의 사이로 끼워지고, 상기 구멍(42)과 고정편(39b)의 구멍(미도시)을 통하여 보울트(B)가 고정됨으로서 작동로드(39)의 선단에는 베어링쵸크(1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대(15)의 U형 고정홈(17)에 인접하여 각각 장착되는 클램프부(50)는 고정홈(17)을 폐쇄시키도록 일측단부가 고정대(15)의 상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고정홈(17)을 가로질러서 고정대(15)의 상부면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바(52)를 갖추고, 상기 지지바(52)의 중앙에는 고정대(15)의 양외측으로 향하여 연장하고 힌지축(54)에 의해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걸고리(55)를 갖추어 상기 걸고리(55)가 인발롤(110)의 양측 턱부(110a)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1)는 인발롤(110)에서 베어링쵸크(120)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10)의 고정대(15)에 마련된 고정홈(17)으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롤(110)과 베어링쵸크(120)를 장착한다.
이러한 경우, 인발롤(110)의 양측에 위치된 대차(20)의 상부에는 각각 인발롤(110)의 양측에 위치된 베어링쵸크(120)가 농여지게 되며, 작업자가 인발롤(110)의 좌측에 위치한 베어링쵸크(120)를 먼저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는 고정대(15)의 상부측에 위치된 클램프부(5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7)을 폐쇄하고 지지바(52)에 연결된 걸고리(55)를 각각 인발롤(1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0a)에 고정시켜서 인발롤(110)이 고정홈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2)의 작동로드(39)를 인출하여 선단에 마련된 플랜지(39a)와 베어링쵸크(120)의 고정편(39b)을 보울트부재(B)로서 고정시킨 다음, 각각의 유압실린더(32)를 작동시켜서 유압의 힘으로 인발롤(110)에서 베어링쵸크(120)를 밀어서 분해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대(15)의 양측에 배치된 유압실린더(32)가 베어링쵸크(120)의 양측을 유압의 힘으로 밀기 때문에 인발롤(110)의 좌측에 위치된 베어링쵸크(120)는 인발롤(110)에서 빠져서 대차(20)위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의 인발롤(110)을 해체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작업자는 작동로드(39)의 플랜지(39a)와 좌측 베어링쵸크(120)의 고정편(39b)을 서로 분리시킨 다음, 각각의 유압실린더(32)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32)는 후단부가 힌지축(37)으로 수평브라켓트(35)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우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 베어링쵸크(120)에 작동로드(39)를 고정하여 유압실린더(32)를 작동시킴으로서 우측의 베어링쵸크(120)도 유압의 힘으로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유압실린더(32)가 베어링쵸크(120)에 가하는 유압작용력은 인발롤(110)이 클램프부(50)의 걸고리(55)에 의해서 고정홈(17)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고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유압작용력을 베어링쵸크(120)에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해과정을 거쳐서 내부정비작업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상기와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인발롤(110)에 베어링쵸크(120)를 결합시키게 되는바, 이러한 작동관계는 분해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쵸크 분해장치에 의하면, 인발롤(110)로부터 베어링쵸크(120)를 분해시키는 경우, 유압작용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분해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한 작업에 의한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며, 베어링쵸크(120)에 무리한 충격을 가하지 않음으로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연속주조설비의 인발장치에 갖춰진 인발롤(110)에서 양단부에 장착된 베어링쵸크(120)를 분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받침대(12)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고정대(15)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대(15)의 상부면에는 각각 U형의 고정홈(17)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7)에는 인발롤(110)이 장착가능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상에 위치되고, 고정대(15)의 양측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압실린더(32)를 갖추며, 상기 유압실린더(32)는 프레임(10)의 전, 후방측으로 회동가능하여 작동로드(39)가 각각 인발롤(110)의 양측 베어링쵸크(120)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유압구동장치(30);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방에서 인발롤(110)의 베어링쵸크(120)를 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대차(20); 및, 상기 고정대(15)의 U형 고정홈(17)을 폐쇄시키도록 일측단부가 고정대(15)의 상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타측단부는 고정홈(17)을 가로질러서 고정대(15)의 상부면 타측에 결합되는 지지바(52)를 갖추고, 상기 지지바(52)의 중앙에는 고정대(15)의 외측으로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고리(55)를 갖추어 상기 걸고리(55)가 인발롤(110)의 양측 턱부(110a)에 고정되는 클램프부(5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KR2019950041032U 1995-12-14 1995-12-14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KR200159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032U KR200159519Y1 (ko) 1995-12-14 1995-12-14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032U KR200159519Y1 (ko) 1995-12-14 1995-12-14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05U KR970027505U (ko) 1997-07-24
KR200159519Y1 true KR200159519Y1 (ko) 1999-10-15

Family

ID=1943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032U KR200159519Y1 (ko) 1995-12-14 1995-12-14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5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505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577B1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KR200159519Y1 (ko) 슬라브 인발기의 베어링 쵸크 분해장치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CN103624321B (zh) 滑座式飞剪剪刃快换装置
KR100775229B1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KR950003512Y1 (ko) 억지끼워 맞춤된 부품의 분해장치
JP3081767B2 (ja) 鋳物の砂落し装置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CN117303120B (zh) 一种电缆施工展放装置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200192846Y1 (ko) 선재 열간 압연롤의 슬리브 분해장치
CN109807580B (zh) 卷取机卷筒的拆卸方法及其承载限位装置
CN216371835U (zh) 一种转轴维修调整装置
JPH0120001Y2 (ko)
JP2596958B2 (ja) 圧延機のロールオシレーション装置
KR920000635Y1 (ko) 에저롤 쵸크(Edger Roll Chock)의 분해조립장치
KR19990000699U (ko) 에져롤(Edge Roll) 전도 및 쵸크(Chock) 해체장치
KR200326771Y1 (ko) 측면전단기의 집게형 나이프 교환장치
JPH0324551Y2 (ko)
JP2509368Y2 (ja) 条鋼圧延機のガイド装置
KR200156920Y1 (ko) 슬릿원단 장착대
JPH0120005Y2 (ko)
KR100528829B1 (ko) 자동차용 샵 프레스
JP3233882B2 (ja) 圧下シリンダ交換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圧延機
KR970026615A (ko) 중장비 엔진의 정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