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41Y1 - 착유기의 증압장치 - Google Patents

착유기의 증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41Y1
KR200159041Y1 KR2019960005080U KR19960005080U KR200159041Y1 KR 200159041 Y1 KR200159041 Y1 KR 200159041Y1 KR 2019960005080 U KR2019960005080 U KR 2019960005080U KR 19960005080 U KR19960005080 U KR 19960005080U KR 200159041 Y1 KR200159041 Y1 KR 200159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milking
pressur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804U (ko
Inventor
신목수
Original Assignee
신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목수 filed Critical 신목수
Priority to KR2019960005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41Y1/ko
Publication of KR970053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B30B15/22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controlling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by the ram during the pressing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착유기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통상의 기름을 짜는 착유기의 중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유압을 전달하는 장치를 2중으로 구성하므로서 깨를 착유하는 과정에서 적은 유압으로서 몇배 이상의 강력한 힘을 발휘하여 착유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레임(2)의 상측에 수개의 지주대(3)가 입설되고 , 중앙에는 시린더(7)를 형성하여 피스톤(8)으로서 상측에 설치된 깨통(5)에 내장된 깨를 압착할 수 있게 하며, 외주연 선단에는 기름받이(10)를 설치하고, 상측에는 시린더(19)의 롯드(20) 작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폐문(6)을 착설하며, 상측에는 호퍼(4)를 설치하여 시린더(7) 내부의 피스톤(8)의 작동으로 착유할 수 있게 한 통상의 착유기(1)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시린더(7)와는 별도로 하부 프레임(2)의 내부 안쪽에는 시린더(11)를 구비하여 공간부(13)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피스톤(12)을 내장하며, 상측 시린더(7)와 하측 시린더(11)에는 급유공(14,16)과 배기공(15,17)을 각각 천설하여 급유공(14,16)에는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18)를 연결하고, 개폐문(6)에는 일측에 핀축(21)으로서 시린더(19)의 롯드(20)를 축지하며, 타측의 시린더(19)의 선단은 별도로 축설하여 시린더(19)의 작동으로 개폐문(6)이 개폐될 수 있게 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착유기 용도

Description

착유기의 증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개폐문의 작동을 보인 평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증압장치 2 : 프레임
1 : 착유기 4 : 호퍼
3 : 지주대 5 : 깨통
6 : 개폐문 7 : 시린더
8 : 피스톤 9 : 압축실
10 : 기름받이 11 : 시린더
12 : 피스톤 13 : 공간부
14 : 급유공 15 : 배기공
16 : 급유공 17 : 배기공
18 : 유압펌프 19 : 시린더
20 : 롯드 21 : 핀축
22 : 시린더 23 : 피스ㅌ혼
24 : 공간부 25 : 급유공
26 : 압축실 27 : 지지대
28 : 압축공 29 : 배기공
30 : 조절밸브
본 고안은 통상의 참기름을 짜는 착유기의 증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착유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유압장치를 2중으로 구성하므로서 착유를 하는 과정에서 적은 유압으로서 몇배 이상의 강력한 힘을 발휘하여 착유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 착유기의 증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적으로 착유를 함에 있어서는 착유기의 하단부에 별도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하여 착유를 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존의 착유기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 착유기의 하부에 설치된 유압장치는 일반적인 유압의 개념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가되는 유압에서 출력되는 압력이 동일한 힘만으로 전가되기 때문에 유압의 공급이 많이 소요되어 동력의 소요가 과도한 것으로, 이는 다시 말해서 가령유압이 1이 공급되면 출력되는 유압이 1만이 생산되므로 공급되는 유압을 과도히 높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본 고안과 같은 착유기의 경우는 내부에 내장된 깨의 밀도에 따라 고압력으로서 압착을 하여야만이 착유의 효율이 높아지는 여건을 감안하면 적은 압력을 인가하여 많은 압력이 전가될 수 있는 유압에 대한 증압의 기능을 갖는 증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착유기가 있는 불합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적인 착유기의 하부에 기존의 유압을 이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의 증압장치를 2중으로 구성하므로서 1차적으로 유압이 전달되면 이의 압력이 2차적으로 설치된 증압장치(시린더)를 작동하므로서 압력을 몇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적은 동력을 부가하여 많은 압력을 발생할 수 있게 하여 각종의 착유기의 증압장치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적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프레임(2)의 상측으로 수개의 지주대(3)가 입설되고, 이의 중앙에는 시린더(7)를 형성하여 피스톤(8)으로서 상측에 설치된 깨통(5)에 내장된 깨를 압착할 수 있게 하며, 외주연 선단에는 기름받이(10)를 설치하여 압착되어 나오는 기름을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측에는 시린더(19)의 롯드(20) 작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폐문(6)을 착설하며, 이의 맨 상측에는 호퍼(4)를 설치하여 깨를 투입하면 시린더(7) 내부의 피스톤(8)의 작동으로 착유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착유기(1)의 구성은 이미 본인이 선출원(1993년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7730호)한 내용과 동일한 공지의 기술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시린더(7)와는 별도로 하부의 프레임(2) 내부에 중앙장치(A)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즉 이는 상측 시린더(7)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2)의 내부 안쪽에는 시린더(11)를 구비하여 공간부(13)를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는 피스톤(12)을 내장하여 상측의 시린더(7)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8)의 압축실(9)을 압축하므로서 상측 피스톤(8)의 압력이 수배 이상 증대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측의 시린더(7)와 하측의 시린더(11)에는 각각 급유공(14,16)과 배기공(15,17)을 천설하여 각각의 급유공(14,16)에는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18)를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되 급유공(14)과 유압펌프(18) 사이에는 조절밸브(30)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 차단 할 수 있게 하고, 배기공(15,17) 측으로는 급유공(14,16)을 통해 공급되는 압력에 의한 피스톤(8,12)이 작동할 시 공기가 배기될 수 있게 하며, 상측의 개폐문(6)에는 일측에 핀축(21)으로서 시린더(19)의 롯드(20)를 축지하고, 타측 시린더(19)의 선단은 별도로 축설하여 시린더(19)의 작동으로 지주대(3)와 동축상에 설치된 개폐문(6)이 개폐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제 5 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증압장치(A)를 기본 고안과는 달리 착유기(1)와는 별도로 분리하여 유압펌프(18)의 작동에 의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즉 이는 증압장치(A)를 분리 구성하되, 프레임(2)을 통체로 구성하고, 별도로 구성된 시린더(22)의 내부에는 공간부(24)를 형성하여 피스톤(23)을 결합하며, 상기 피스톤(23)의 내부에는 압축실(26)을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는 압축공(28)이 형성된 지지대(27)를 결합하고, 시린더(22)의 상부와 하부의 일측에는 급유공(25)과 배기공(29)을 각각 형성하여 급유공(25)측은 유압펌프(18)와 연결하며, 증압장치(A)와 유압펌프(18) 및 착유기(1)를 연결하는 선상에는 조절밸브(30)를 개재하여 상측 시린더(7)의 급유공(14)과 상호 연결함으로서 급유공(7)에 유압을 공급,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압이 2중으로 전달되어 피스톤(8)의 압력을 몇배 이상 증대하여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시린더나 유압장치가 작동하는 시점에서 작동시간은 별도의 콘트롤박스(도시생략)에 설정된 회로의 구성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고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호퍼(4)를 통해 깨를 깨통(5)에 투입한 다음 하부의 시린더(7) 내부에 내장된 피스톤(8)을 작동하므로서 착유를 할 수 있는 착유기(1)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호퍼(4)의 하단부에 설치된 개폐문(6)을 개방하여 깨를 깨통(5)에 투입하여야 하는 바, 이 경우는 개폐문(6)의 상부 일측에 핀축(21)에 의해 축지된 롯드(20)의 시린더(19)를 작동하여 개폐문(6)을 개방하는 것으로, 즉 시린더(19)의 일측은 별도로 축설되어 있고, 롯드(20)의 일측은 핀축(21)에 의해 축설되어 있으므로 시린더(19)를 작동하면 제 4 도에서 도시한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롯드(20)가 작동을 하므로서 지주대(3)와 동축상에 축설된 개폐문(6)이 개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6)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측의 호퍼(4)를 통해 착유할 깨를 투입하게 되면 깨는 호퍼(4)를 따라 하부의 깨통(5)으로 투입이 되고, 깨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반대의 작동으로 개폐문(6)을 역순으로 폐쇄를 하며, 이와 같이 개폐문(6)을 완전히 폐쇄하고 나면 유압펌프(18)가 작동을 하여 유압이 상측 시린더(7)의 급유공(14)을 통해 압축실(9)의 내부로 투입이 되는 것으로, 이때 시린더(7)의 상부 일측에 천설된 배기공(15)을 통해서는 유압의 힘을 받은 만큼 나머지의 불필요한 공기가 배기되므로 무리한 부하의 발생을 억제하여 착유기(1)의 사용 수명을 일층 높이는 효과가 부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압이 시린더(7)의 급유공(14)측으로 유입이 되면 압축실(9)에서 압축이 됨과 동시에 내부의 피스톤(8)이 상부의 깨통(5) 내부로 밀려 올라가게 되며 일정한 유압이 피스톤(8)에 가해지면 유압펌프(18)에서 압축실로의 공급이 콘트롤박스의 출력에 따라 중단되고 조절밸브(30)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어서 유압펌프(18)는 하측의 프레임(2) 내부에 형성된 시린더(11)의 급유공(16)을 통해 하측 시린더(11)의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며, 이와 같은 유압은 시린더(11) 내부의 피스톤(12)을 상측으로 이동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12)이 이동을 할 수 있는 공간부(13)에 잔류된 불필요한 공기는 시린더(11)의 배기공(17)을 통해 배기가 되며, 한편으로는 피스톤(12)의 선단(12a)은 상측 시린더(7)의 피스톤(8)에 형성된 압축실(9)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유압의 힘은 1차적으로 상측 시린더(7)의 피스톤(8)을 작동하게 되고 2차적으로 하측 프레임(2)의 내부에 내장된 시린더(11)의 피스톤(12)에 2중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상측의 피스톤(8)에서 받은 압력은 최초에 투입되는 유압의 힘에 비해 몇배 이상의 힘으로 출력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유압이 2중으로 설치된 시린더(7,11)의 피스톤(8,12)을 단계적으로 작동을 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유압의 힘이 강력하게 상측의 피스톤(8)을 가압하게 되고, 이의 압력은 깨통(5)의 내부로 전달이 되어 깨통(5)내부에 내장된 깨를 조밀한 입도로서 가압하게 되어 착유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착유의 효과는 일반적인 것이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착유를 하는 기능적인 면을 보호받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착유를 함에 있어서, 유압의 전달을 2중으로 강제 공급하므로서 투입되는 유압의 힘에 비해 출력되는 압력이 매우 높아지는 원리를 감안하여 합리적으로 착유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있어서는 상하측에 천설된 각각의 배기공(15,17)은 내부에 잔류된 압축공기를 자연적으로 제거를 하므로서 불필요한 유압의 힘이 미치는 곳곳의 무리한 부하의 발생을 방지하여 착유기(1)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메커니즘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증압장치(A)를 착유기(1)와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작용효고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제 5 도와 같이 하부의 프레임(2)을 단일의 통체로서 구성하고, 별도로 증압장치(A)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인바, 즉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개폐문(6)을 개방한 상태에서 호퍼(4)를 통해 깨통(5)의 내부에 깨를 투입한 다음 역시 마찬가지로 개폐문(6)을 폐쇄한 다음 증압장치(A)의 시린더(22)에 연결된 유압펌프(18)를 작동하면 유압은 조절밸브(30)의 작동에 의해 상측 시린더(7)의 내측으로 전달이 되고, 이의 압력은 내측의 피스톤(8)을 작동하여 깨통(5)의 내부로 전달이 되고, 이의 압력은 내측의 피스톤(8)을 작동하여 깨통(5)의 내부로 전달이 되며 피스톤(8)에 일정한 유압이 발생하면 콘트롤박스의 출력에 의해서 실린더(7)내측으로 전달되던 유압을 조절밸브(30)에서 차단하고 난 다음 유압펌프(18)의 동력으로 증압장치(A) 하부의 급유공(25)측으로 유압이 공급되어 내부의 피스톤(23)을 작동하게 되면 상기의 피스톤(23)은 지지대(27)에 홀딩이 된 상태로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되면 상측의 공간부(24)의 불필요한 공기는 배기공(29)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고, 내측의 압축실(26)의 유압은 압력이 최대로 증대된 상태에서 지지대(27)의 압축공(28)을 통해 별도의 라인(일명 유압호스)으로 공급되어 상측 시린더(7)의 급유공(14)을 통해 시린더(7)의 내부 피스톤(8)을 작동하여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측 시린더(7)의 피스톤(8)은 최초에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2차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전달되는 유압의 압력은 대략 5~7배 이상으로 상승되어 상측의 깨통(5) 내부의 깨를 압착하게 되어 착유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되는 본 고안의 유압 계통을 보다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파스칼의 원리(압력전파에 관한 법칙)와 대비하여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파스칼의 원리는 밀폐되고 정지상태에 있는 액체의 일부에 가해진 압력은 액체의 모든 부분에 그대로 전해진다는 원리로서, 본 고안의 제 2 도, 제 3 도에 도시된 유압계통도 압축실(9)에 일정 압력을 내입한 다음 내입되는 유압을 조절밸브(30)로 차단되어 압축실(9)내의 유체가 밀폐정지 상태로 되도록 하고 피스톤(12)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유체의 일부 즉, 피스톤끝단(12a)으로 전달되는 힘이 압축실(9)에 전달되어 피스톤(8)을 재차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5 도에서도 상기와 같이 압축실(9)(26)에 일정 압력을 내입한 다음 내입되는 유압을 조절밸브(30)로 차단하여 압축실(9)(26)내의 유체가 밀폐정지 상태로 되도록 하고 피스톤(23)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유체의 일부 즉, 압축실(26)로 전달되는 힘이 압축실(9)에 전달되어 피스톤(8)을 재차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 증압장치(A)는 제 2, 3,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실(9)에 밀폐된 유체에 피스톤(12)(23)을 내입하여 작동함으로서 피스톤(8)을 재차 가압하는 것인 바, 이때 피스톤(12)(23)은 힘을 가하는 측의 단면적(C)보다 압축실(9)에 내입되어 밀폐된 유체로 힘을 전달받는 측의 단면적(D)이 작다.
일실시예로 단면적(C)의 내경을 지름 300mm로 하고 단면적(D)의 내경을 지름 120mm라고 가정할 때 면적 비율은 약 6.25:1로서 단면적(C)에 100KG㎠의 힘을 가하게 되면 단면적(D)로 전달되는 힘은 625KG㎠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피스톤(12)(23)에 전달되는 힘이 증가되어 압축실(9)에 전달되면 압축실(9)의 밀페된 유체는 그 힘을 상부 피스톤(8)에 전달하여 피스톤(8)을 재차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기본적인 고안이나 변형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깨통(5) 내부의 깨가 압착되어 착유가 되면 깨통(5)의 외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배출공(부호생략)측으로 기름이 배출되어 기름받이(10)측으로 흘러내려 별도의 용기로서 수거를 하면 착유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착유기에 있어서, 착유의 효율을 일층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측의 시린더와는 별도로 하부측에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에 별도의 시린더로 구성되는 증압장치를 구비하여 한번 가압된 유압을 2중으로 재가압하게 되므로서 압력을 월등히 증대시켜 착유의 효율성을 일층 증대시키며, 한편으로는 하부측의 프레임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게 통체로서 구성하고 내장되는 증압장치를 분리 구겅하여 별도로 외부의 일측에 설치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압착되는 깨의 밀도에 부합되게 그 압력을 임의로 가감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각종의 착유기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프레임(2)의 상측에 수개의 지주대(3)가 입설되고, 중앙에는 시린더(7)를 형성하여 피스톤(8)으로서 상측에 설치된 깨통(5)에 내장된 깨를 압착할 수 있게 하며, 외주연 선단에는 기름받이(10)를 설치하고, 상측에는 시린더(19)의 롯드(20) 작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폐문(6)을 착설하며, 상측에는 호퍼(4)를 설치하여 시린더(7) 내부의 피스톤(8)의 작동으로 착유를 할 수 있게 한 통상의 착유기(1)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시린더(7)와는 별도로 하부 프레임(2) 내부에 중앙장치(A)를 구비하되, 상측 시린더(7)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2)의 내부 안쪽에는 시린더(11)를 구비하여 공간부(13)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피스톤(12)을 내장하여 상측 시린더(7)에 내장된 피스톤(8)이 압축실(9)을 압축하므로서 피스톤(8)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며, 상측 시린더(7)와 하측의 시린더(11)에는 급유공(14,16)과 배기공(15,17)을 각각 천설하여 급유공(14,16)에는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18)를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되 급유공(14)과 유압펌프(18) 사이에는 조절밸브(30)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 차단할 수 있게 하고, 개폐문(6)에는 일측에 핀축(21)으로서 시린더(19)의 롯드(20)를 축지하며, 타측 시린더(19)의 선단은 별도로 축설하여 시린더(19)의 작동으로 지주대(3)와 동축상에 설치된 개폐문(6)이 개폐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의 증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증압장치(A)를 분리 구성하되, 프레임(2)은 통체로 구성하고, 별도로 구성된 시린더(22)의 내부에는 공간부(24)를 형성하여 피스톤(23)을 결합하며, 상기 피스톤(23)의 내부에는 압축실(26)을 형성하여 내부에 압축공(28)이 형성된 지지대(27)를 결합하고, 시린더(22)의 상하부의 일측에는 급유공(25)과 배기공(29)를 각각 형성하여 급유공(25)측은 유압펌프(18)와 연결하며, 증압장치(A)와 유압펌프(18) 및 착유기(1)를 연결하는 선상에는 조절밸브(30)를 개재하여 상측 시린더(7)의 급유공(14)과 상호 연결하여 실린더(7)내측으로 전달되던 유압을 조절밸브(30)에서 차단하고 난 다음 유압펌프(18)의 동력으로 증압장치(A) 하부의 급유공(25)측으로 유압이 공급되어 내부의 피스톤(23)을 작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의 증압장치.
KR2019960005080U 1996-03-13 1996-03-13 착유기의 증압장치 KR200159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080U KR200159041Y1 (ko) 1996-03-13 1996-03-13 착유기의 증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080U KR200159041Y1 (ko) 1996-03-13 1996-03-13 착유기의 증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804U KR970053804U (ko) 1997-10-13
KR200159041Y1 true KR200159041Y1 (ko) 1999-10-15

Family

ID=194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080U KR200159041Y1 (ko) 1996-03-13 1996-03-13 착유기의 증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80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027B2 (en) Electromagnetic-force-based dewatering for sewage sludge reduction
US2763202A (en)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US2830530A (en) Presses for the extraction of oils, fats and the like
CN209222854U (zh) 一种垃圾处理机构
JP5327000B2 (ja) 加圧脱水装置および加圧脱水方法
KR200159041Y1 (ko) 착유기의 증압장치
US5307739A (en) Press for treating heterogeneous waste products
US2817288A (en) Compress
KR100414910B1 (ko) 그리스 공급기
US5524534A (en) Dual hydraulic cylinder compacting apparatus
CN208236820U (zh) 一种电动能脱水机节能液压装置
KR102069342B1 (ko) 수동식 양수기
CN207130128U (zh) 一种基于电磁力的污水污泥脱水装置
KR200145992Y1 (ko) 약재 추출기용 동력 전달장치
KR0137857Y1 (ko) 약재 추출기용 동력 전달장치
KR200294222Y1 (ko) 문서세단기의 펄프화된 파지 성형장치
KR920009243B1 (ko) 구두 성형용 고무 압착장치
CN212152823U (zh) 一种布草的流水线式洗涤系统
JPS6235600Y2 (ko)
US5423244A (en) Hydraulic circuit for an apparatus for generating pressur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ssure using said hydraulic circuit
JPH081754Y2 (ja) 脱水機
GB23210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cting and dewatering waste.
KR19990033710U (ko) 참기름틀
AU2014202772B2 (en) Hydraulic Fluid Circuit and System
JPH01331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