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38Y1 - 무선호출기용 버저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용 버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38Y1
KR200159038Y1 KR2019970010842U KR19970010842U KR200159038Y1 KR 200159038 Y1 KR200159038 Y1 KR 200159038Y1 KR 2019970010842 U KR2019970010842 U KR 2019970010842U KR 19970010842 U KR19970010842 U KR 19970010842U KR 200159038 Y1 KR200159038 Y1 KR 200159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yoke
buzzer
assembled
yok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429U (ko
Inventor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오익승
주식회사에스더블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익승, 주식회사에스더블유씨 filed Critical 오익승
Priority to KR2019970010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3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호출기용 버저(Buzzer)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측에 신호음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와 내부 바닥면에 받침턱(2)을 형성하여서 된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 내설 조립되도록 상면의 기판(11)상에 입설되는 단지핀(12)을 갖는 요크플레이트(13)와 이 요크 플레이트(13)의 저면에 돌출 삽입되는 폴(14)상에 권취되는 코일(15)로 이루어진 요크(20)와, 이 요크(20) 저면에 위치되며 내주에 마그네틱(17)이 삽입된 링커버(16)와, 상기 링커버(16) 저면에 구비되는 진동판(18)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유출구(1)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의 정해진 제위치에 단지핀(12)이 정확히 위치 조립되도록 상기 요그 플레이트(13)의 외주연에 다수의 안내돌기(13a)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10)의 내주연에도 다수의 안내홈(3)을 형성하여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이 배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호출기용 버저
본 고안은 무선 호출기용 버저(Buzz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저상의 단자핀의 위치가 일정 각도를 케이스에 조립 설치되게 하기 위하여 요크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다수의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의 내주연에도 다수의 안내홈을 형성하여 이들이 상호 조립되게 함으로써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이 배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전화기 등에는 기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호출신호나 또는 수신신호 등을 발생시키는 버저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버저가 설치되도록 정해진 구역이 할당되며, 이 설치위치에 상기 버저가 정확히 설치되기 위해서는 버저를 이루는 단자핀이 그 케이스에 조립될 시 정해진 일정의 각도로 위치되도록 조립되어야 할 필요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버저의 단자핀은 그 케이스의 일측에 신호음을 유출시키는 유출구의 유출 방향과 일직선상, 즉 유출구와 90° 각도로 위치되어져야 하며, 이는 단자핀의 위치가 변위될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버저의 설치위치에 정확히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어 부득이 상기 단자핀은 상기 각도로 위치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단자핀이 케이스의 유출구로부터 정확히 90° 각도로 유지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면에 단자핀이 입설된 요크를 상기 각도로 맞춰지게 정확히 조립해야 하는데, 이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하고 있는 현여건상 작업자의 상당한 숙련이 요구되며 숙련자의 경우에도 조립에 따른 시간이 과다히 소요되어 조립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단자핀은 케이스의 유출구와 평행되게 위치되어야 할 필요도 발생되는데, 이는 무선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전화기의 모델변경이나 필요에 의한 설계상의 변경으로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구비되는 버저의 설치구역 또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른 것으로, 이때에도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핀의 위치를 다른 각도로도 용이하게 조립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에도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그 각도를 맞추면서 조립되도록 할 수 밖에 없어 조립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 다른 문제는 조립시 상기 단자핀이 제위치에 정확히 조립되어도 상기 단자핀이 구비된 요크가 원판제로 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내에서 유동될 우려가 있어 버저의 조립 및 인쇄회로기판의 설치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는 등의 제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핀의 위치가 정해진 제위치에 정확히 조립되도록 상면에 단자핀이 입설된 요크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안내돌기를 형성하여 이 요크 플레이트가 그 외주연의 안내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케이스 내주연의 다수의 안내홈을 통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이 배가되도록 한 무선호출기용 버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의 유출구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의 정해진 제위치에 단자핀이 정확히 위치 조립되도록 상면의 기판상에 입설된 단자핀을 갖는 요크 플레이트의 외주연에 다수의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의 내주연에도 다수의 안내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제 조립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출구 3 : 안내홈
10 : 케이스 12 : 단자핀
13 : 요크 플레이트 13a : 안내돌기
14 : 폴 15 : 코일
16 : 링커버 17 : 마그네틱
18 : 진동판 20 : 요크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본 고안은 요크를 이루는 요크 플레이트상에 구비된 단자핀이 케이스에 조립될시 정해진 제위치에 정확히 그 각도를 유지하며 조립되도록 한 구성에 그 특징적 요소가 있는 것이다.
즉, 일측에 신호음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가 형성되며 내부 바닥면에 받침턱(2)을 형성하여서 된 케이스(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1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안내홈(3)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10)에 내설되도록 상면의 기판(11)상에 입설된 +, -측 단자핀(12)을 갖는 요크 플레이트(13)와, 이 요크 플레이트(13)의 저면에 돌출 삽입된 폴(14)상에 코일(15)을 권취하여서 된 요크(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요크(20)의 저면에는 내주에 마그네틱(17)이 삽입된 링커버(16)가 위치되어져 있고, 이 링커버(16)의 저면에는 진동판(18)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요크 플레이트(13)의 외주연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안내홈(3)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다수의 안내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9는 케이스(10)에 삽입된 요크(20)를 밀봉처리하기 위한 충전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케이스(10)에 요크(20)등을 조립함에 있어, 상면의 기판(11)상에 입설되는 단자핀(12)을 갖는 요크 플레이트(13)와 이 요크 플레이트(13)의 저면에 돌출 삽입되는 폴(14)상에 권취되는 코일(15)로 이루어진 요크(20)와, 이 요크(20) 저면에 위치되며 내주에 마그네틱(17)이 삽입된 링커버(16)와, 상기 링커버(16) 저면에 구비되는 진동판(18)이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일시에 상기 케이스(10)에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크(20)등의 조립체를 조립할시 이 안내홈(3)에 그 외주연에 형성된 안내돌기(13a)가 안내 결합되도록 요크 플레이트(13)를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커버(16)는 케이스(10) 내부 바닥면의 받침턱(2)에 받쳐 지지되게 된다.
특히, 상기 요크 플레이트(13) 상면의 기판(11)상에 입설된 단자핀(12)이 케이스(10)의 유출구(1)에 대하여 90°직각 또는 수평의 정해진 제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조립하기 위해 일일이 그 각도를 맞출 필요없이 기 형성된 케이스(10)의 안내홈(3)에 요크 플레이트(13)의 안내돌기(13a)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설계상의 변경이나 필요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구비되는 버저의 설치구역 또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단자핀(12)의 조립위치를 달리할 경우에도 케이스(10)상에서 상기 요크 플레이트(13)를 일방향으로 돌려 끼움으로써 그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된 버저는 상기 단자핀(12)을 통해 DC전원과 주파수가 코일(15)에 인가되면 주파수의 변환에 따라 코일이 자화 또는 비자화 상태로 반복되면서 진동판(18)이 상기 코일(15)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의 영향을 받은 마그네틱(17)에 흡착 또는 비흡착되어 진동하는 과정에서 음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신호음은 케이스(10)의 유출구(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된 설정된 버저의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버저의 단자핀이 특정의 각도나 방향으로 케이스에 위치 조립되도록 함에 있어, 상기 단자핀이 구비되는 요크 플레이트 외주에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의 내주연에도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작업상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배가되도록 한 특징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신호음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와 내부 바닥면에 받침턱(2)을 형성하여서 된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 내설 조립되도록 상면의 기판(11)상에 입설되는 단지핀(12)을 갖는 요크플레이트(13)와 이 요크 플레이트(13)의 저면에 돌출 삽입되는 폴(14)상에 권취되는 코일(15)로 이루어진 요크(20)와, 이 요크(20) 저면에 위치되며 내주에 마그네틱(17)이 삽입된 링커버(16)와, 상기 링커버(16) 저면에 구비되는 진동판(18)으로 구성된 버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유출구(1)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의 정해진 제위치에 단지핀(12)이 정확히 위치 조립되도록 상기 요크 플레이트(13)의 외주연에 다수의 안내돌기(13a)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케이스(10)의 내주연에 다수의 안내홈(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호출기용 버저.
KR2019970010842U 1997-05-16 1997-05-16 무선호출기용 버저 KR200159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842U KR200159038Y1 (ko) 1997-05-16 1997-05-16 무선호출기용 버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842U KR200159038Y1 (ko) 1997-05-16 1997-05-16 무선호출기용 버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29U KR19980066429U (ko) 1998-12-05
KR200159038Y1 true KR200159038Y1 (ko) 1999-10-15

Family

ID=1950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842U KR200159038Y1 (ko) 1997-05-16 1997-05-16 무선호출기용 버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493B1 (ko) * 2001-07-04 2003-06-27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박형 부저와 그 제조방법
KR200473693Y1 (ko) 2013-04-18 2014-07-23 전문배 무선호출벨 송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493B1 (ko) * 2001-07-04 2003-06-27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박형 부저와 그 제조방법
KR200473693Y1 (ko) 2013-04-18 2014-07-23 전문배 무선호출벨 송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29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263A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0502637B1 (ko) 전자 유도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휴대용 통신 기기
US7336798B2 (en)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10838A (ko) 골전도 스피커
KR101241144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9990008490U (ko) 다용도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KR100862304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200159038Y1 (ko) 무선호출기용 버저
US20030162071A1 (en) Actuator device for force-feeding air, and air force-feed type air cell
JPH06120866A (ja) 振動発生装置
US4608463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375125B1 (ko)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US20040105564A1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KR200254417Y1 (ko) 마그네틱 버저
JP3465572B2 (ja) サウンダ
JP2002209003A (ja) スピーカー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携帯端末装置
KR100328486B1 (ko) 전자기기의 소형 스피커
WO1993016464A1 (en) Automotive vehicle tone generator
KR200190916Y1 (ko) 부저
KR100275323B1 (ko) 박판버저 케이스(Thin buzzer cases)
JP4195954B2 (ja) サウンダ
KR100802504B1 (ko) 진동모터
KR10201535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0173126Y1 (ko) 박판부저
KR19990074030A (ko) 일체형 스피커/부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