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270Y1 -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 Google Patents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270Y1
KR200157270Y1 KR2019970001903U KR19970001903U KR200157270Y1 KR 200157270 Y1 KR200157270 Y1 KR 200157270Y1 KR 2019970001903 U KR2019970001903 U KR 2019970001903U KR 19970001903 U KR19970001903 U KR 19970001903U KR 200157270 Y1 KR200157270 Y1 KR 200157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emitting diodes
pixel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334U (ko
Inventor
신인식
Original Assignee
곽용태
주식회사한국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용태, 주식회사한국싸인 filed Critical 곽용태
Priority to KR2019970001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270Y1/ko
Publication of KR970019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문자나 도형, 영상을 표현하는 전광판의 구성요소인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Pixel)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셀의 태양빛 입사방지를 위한 차양판을 소정의 각도로 꺽어서 평판 형상으로 구성하고, 칼라 화상 표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최적화하여 화상의 색감과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셸의 발광다이오드 배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은 외부광에 의한 선명도 저하와, 색상 표현의 시각적 인지도 저하, 모듈 케이스와 모듈 케이스 사이에 불규칙적인 간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평판형 차양판 상단부를 모자의 챙처럼 하단으로 가볍게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광판 표시 화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게 하였으며, 픽셀과 픽셀 사이가 서로 차양판으로 맞물려 있어 외부광에 의한 전광판 표면의 불규칙선을 차단하였고, 또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전광판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시각적인 인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구한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선명도의 향상과 칼라 색상의 정확하고 선명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 구조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문자나 도형, 영상을 표현하는 전광판의 구성요소인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Pixel)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셀의 태양빛 입사방지를 위한 차양판을 소정의 각도로 꺽어서 평판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또한 픽셀과 픽셀 사이가 차양판으로 맞물린 상태로 구성하고, 칼라 화상 표현을 위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최적화하여 화상의 색감과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광판 픽셀 구조는 원형의 몸체(1) 전면으로 영상, 도형, 문자 등을 표현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몸체의 상부 전방으로 돌출되게 반원형의 차양판을 형성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의 픽셀을 전광판 크기에 따라 사방 연속으로 적당한 숫자로 배열하여 전광판을 완성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의 화상이 표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전광판 픽셀은 차양판이 반원형이기 때문에 측방으로부터 조사되는 태양빛이나 외부광이 발광 다이오드에 조사되어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어도 태양빚이나 외부광에 의해서 그 점등 여부가 명료하게 표현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화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전광판을 이용한 광고전달의 효과가 미흡해진다.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585호와 같이, 차양판을 평판 형상으로 구성하고 픽셀 차양판 양단 가장자리를 요철부로 형성하여, 연속 배열되는 인접 픽셀의 차양판과 상기 요철부가 상호 결합되게 함으로써,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선명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차양판을 단순히 평판 형상으로 구성하고 인접 픽셀의 차양판과 요철결합하여 외부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차양판이 일자형의 평판구조이기 때문에 픽셀의 상부 측면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외부광은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에 매트릭스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 픽셀에서 칼라 화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R, G, B 3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해서 적절하게 점등 또는 소등시킴으로써 원거리에서 볼때 화상이 칼라로 보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매트릭스 배열은, R, G, B의 각 색상을 표현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화소점으로 하여 각 화소점의 발광 다이오드를 단순히 델타 또는 스트라이프 방식으로서 R, G, B, R, G, B, ....의 순서로 배열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야외에서 색상이 표현될때에는 시각적 인지도가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평판형 차양판 상단부를 모자의 챙처럼 하단으로 가볍게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광판 표시 화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게하고, 또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전광판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시각적인 인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구한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선명도의 향상과 칼라 색상의 정확하고 선명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 구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 배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차양판 절곡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3도는 발광 다이오드 배열의 제1실시예이며, 제4도는 발광 다이오드배열의 제2실시예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픽셀 몸체(1)의 상단에 평판형 차양판(2)이 형성되고, 상기 차양판(2)의 상단은 절곡부(2a)로서 소정각도(θ)만큼 하향 절곡되며, 차양판(2)의 양단은 인접 픽셀의 차양판과 상호 밀착 결합되는 요철부(2b)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픽셀 몸체(1)의 전면으로 n×m배열의 발광 다이오드(3)를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픽셀은 인접한 픽셀끼리 상기 요철부(2b)에 의해서 상호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전광판 완성시에 상기 차양판(2)들이 일자형으로 긴 차양막을 형성하게 되어 해당 라인의 픽셀에 대한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줄 수 있고, 특히 절곡부(2a)로서 차양판(2)이 소정각도(θ)만큼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측방향과 상측 경사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광에 의한 선명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다이오드(3)는 제3도 또는 제4 도와 같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진다.
제1실시예로서 제3도의 발광 다이오드 매트릭스 구조는, 가로×세로로 각각 5×10의 배열을 가지며, D개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3r)와 6개의 녹색 발광다이오드(3g), 3개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3b) 등 총 19개의 배열을 아래와 같이 가진다.
제 1 라인(R1)에서는 제 1 컬럼(C1)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 제 3 컬럼(C3)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3g), 제 5 컬럼(C5)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2 라인(R2)에서는 제 2 컬럼(C2)과 제 4 컬럼(C4)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3 라인(R3)에서는 제 3 컬럼(C3)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4 라인(R4)에서는 제 1 컬럼(C1)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3b), 제 5 컬럼(C5)에 녹색 빌다 다이오드(3g)가 배열된다.
제 5 라인(R5)에서는 제 2 컬럼(C2)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3g), 제 3 컬럼(C3)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3b), 제 4 컬럼(C4)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6 라인(R6)에서는 제 1 컬럼(C1)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3g), 제 5 컬럼(C5)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7 라인(R7)에서는 제 3 컬럼(C3)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3g)가 배열된다. 제 8 라인(R8)에서는 제 2 컬럼(C2)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 제 4 컬럼(C4)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3g)가 배열된다.
제 9 라인(R9)에서는 제 3 컬럼(C3)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배열된다.
제 10 라인(R10)에서는 제 1 컬럼(C1)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3r), 제 5 컬럼
(C5)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3b)가 배열된다.
상기 각 라인(R1∼R10) 사이는 등간격이 아니며, 인접 라인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각 컬럼(C1∼C5) 사이는 거의 등간격이다.
위와같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짐으로써, 색상의 선명도와 시각적 인지도를 가장 높일 수 있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3r)가 D개, 다음으로 녹색 발광 다이오드(3g)가 6개, 그리고 청색 발광 다이오드(3b)는 3개가 하나의 픽셀안에 배열된다.
통상 전광판은 건물 옥상이나, 적어도 인체의 키를 상회하는 상당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각적인 입장에서 볼때 전광판을 올려다 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굴곡진 차양판(2)과, 상기 제3도의 발광 다이오드 색상및 간격 배열을 가짐으로써, 시각적인 입장에서 외부광을 차단해주고 또 색상 표현을 광고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정도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 구조에서 발광 다이오드 배열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4 배열을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각 라인(R1∼R4)과 컬럼(C1∼C4)은 등간격이며, 제 1 라인에서는 제 1 컬럼(C1) 및 제 3 컬럼(C3)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4r), 제 2 컬럼(C2)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4g)가 배열된다.
제 2 라인(R2)에서는 제 1 컬럼(C1)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4b), 제 2 컬럼(C2)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4r), 제 3 컬럼(C3)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4g)가 배열되고, 제 3 라인(R3)에서는 제 1 컬럼(C1)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4g), 제 2 컬럼(C2)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4r), 제 3 걸럼(C3)에 청색 발광 다이오드(4b)가 배열된다.
제 4 라인(R4)에서는 제 1 컬럼(C1)과 제 3 컬럼(C3)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4r), 제 2 컬럼(C2)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4g)가 배열됨으로써, 적색 발광 다이오드(4r)는 6개, 녹색 발광 다이오드(4g)는 4개, 청색 발광 다이오드(4b)는 2개의 배열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전광판 픽셀은 상기 제3도의 경우와 다른 선명도를 가지게되고 또 전광판 규모와 요구 선명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3도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굴곡진 차양판(2)과, 상기 제4도의 발광 다이오드 색상 및 간격 배열을 가짐으로써, 시각적인 입장에서 외부광을 차단해주고 또 색상 표현을 광고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정도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 구조에 의하면, 외부광에 의한 전광판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선명하고 인지도가 높은 풀 칼라(Ful1 Color)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전광판 설치 환경이나 규모에 따라서 적절한 배열을 가지는 픽셀을 채용함으로써 전광판 설치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외부광 차단을 위한 차양판을 가지는 전광판 픽셀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가로×세로로 5×10 배열이며, 이 배열에서 제 1 라인의 제 1, 3, 5 컬럼에는 각각 적색, 녹색, 적색의 발광 다어오드가 배열되고, 제 2라인의 제 2, 4 컬럼에는 각각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3 라인의 제 3컬럼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4 라인의 제 1, 5 컬럼에는 각각 청색,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5 라인의 제 2, 3, 4 컬럼에는 각각 녹색, 청색,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6 라인의 제 1, 5 컬럼에는 각각 녹색,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7 라인의 제 3 컬럼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8 라인의 제 2, 4 컬럼에는 각각 적색,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9 라인의 제 3 컬럼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10 라인의 제 1,5 컬럼에는 각각 적색,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발광다이오드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발광 다이오드는 가로와 세로 각각 등간격의 3×4 배열로서 제 1 라인에는 적색, 녹색,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2 라인에는 청색, 적색,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3 라인에는 녹색, 적색,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되고, 제 4 라인에는 적색, 녹색,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의 구조.
KR2019970001903U 1997-02-10 1997-02-10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KR200157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03U KR200157270Y1 (ko) 1997-02-10 1997-02-10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03U KR200157270Y1 (ko) 1997-02-10 1997-02-10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34U KR970019334U (ko) 1997-05-26
KR200157270Y1 true KR200157270Y1 (ko) 1999-09-15

Family

ID=1949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903U KR200157270Y1 (ko) 1997-02-10 1997-02-10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2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757A (ko) * 2001-03-16 2002-09-28 주식회사 포스기술 전광판의 엘이디모듈 표시구조 및 그 구조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34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788B1 (en) Louver panel for an electronic sign
CA2697567C (en) Incident light manageme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18902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US10013913B2 (en) Pixel structur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EP3832732A1 (en) Pixel arrangement structure and display panel
US9052085B2 (en) Light-emitting diode panels and displays with light baffle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TW200507688A (en) Display device
CN105445949B (zh) 一种三维显示装置
KR20040020873A (ko) 향상된 휘도와 선택적인 가시 각도를 갖는 평면 패널 컬러표시장치
CN109192768B (zh) 显示面板、显示装置
US4553345A (en) Display letter mounting and method therefor
CN114743465A (zh) 一种发光像素排布结构、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0157270Y1 (ko)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다이오드 배열구조
KR20230143630A (ko) 픽셀 구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4746152B1 (ja) 表示体用照明装置
CN110780364A (zh) 光控膜和包括该光控膜的显示装置
CN212209487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060168853A1 (en) Display system cover
JP3656428B2 (ja) 発光ダイオード表示器
JP3084564U (ja) 多画面体プリント板
KR100783483B1 (ko) 엘이디 동영상 전광판용 엘이디 모듈
KR0130019Y1 (ko) 전광판 발광 다이오드 픽셀 구조
JP4427995B2 (ja) 表示装置
CN217114396U (zh) 一种oled像素结构及包含其的oled屏幕
CN217740537U (zh) 一种oled像素结构及包含其的oled屏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