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87Y1 -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87Y1
KR200156787Y1 KR2019960043068U KR19960043068U KR200156787Y1 KR 200156787 Y1 KR200156787 Y1 KR 200156787Y1 KR 2019960043068 U KR2019960043068 U KR 2019960043068U KR 19960043068 U KR19960043068 U KR 19960043068U KR 200156787 Y1 KR200156787 Y1 KR 20015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terminal
jack
amplifi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988U (ko
Inventor
조본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3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개의 단자(P1,P2,P3)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자(P1,P3)는 접지되어 있고, 단자(P2)는 마이크 잭의 접속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P3)와 단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이크 접속 단자(1)를 구비하는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 잭의 접속시에 단자(P3)를 통하여 인가되는 사용자 음을 증폭하는 증폭부(12)와; 증폭부(12)의 출력 레벨에 따른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20)와; 증폭부(12) 출력의 엔벨로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엔벨로프 검출부(30)와; 엔벨로프 검출부(30)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클리어되며, 구형파 발생부(20)의 출력에 동기되어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D1)을 구비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 잭의 마이크 접속 단자와의 접속을 음향 장치내에서 회로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므로써 마이크 접속 단자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MICROPHONE JACK CONNECTER}
본 고안은 음향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는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음향 기기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거나, 방송 오디오 신호 등을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는 기기를 포괄하여 칭하는 것이다. 음향 기기들 중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마이크의 사용자 음성을 기록할 수 할 수 있는 것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음향 기기들은 별도의 마이크 접속 단자를 통하여 마이크의 잭과 연결되므로써 사용자의 마이크 음을 음향 기기에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음향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 접속 단자(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 접속 단자(1)는 3개의 단자(P1,P2,P3)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자(P1, P3)는 접지되어 있고, 단자(P2)는 마이크 잭의 접속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P3)와 단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와 접속되어 있을 때에 단자(P2)는 단자(P3)와 오픈되므로써 마이크의 사용자 음을 음향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P2)는 단자(P3)와 쇼트되므로써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 접속 단자(1)에서는 마이크 잭과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음향 기기에 마이크의 사용을 알리는 별도의 조작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
즉, 현재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음향 기기중에는 마이크의 사용자 음성과 기록 매체의 오디오를 상호 혼합하여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의 사용이 가능한 음향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기록 매체의 오디오 출력을 중단하거나, 기록 매체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마이크 음성을 혼합하기 위하여 마이크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마이크 접속 단자(1)는 이러한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마이크의 사용 여부를 음향 기기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이크의 잭의 연결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 음향 기기의 마이크 접속 단자가 제안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접속 단자(11)는 4개의 단자(P11-P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단자(P11, P14)는 접지 단자, 단자(P12)는 마이크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로서 증폭기(12)를 통하여 합성부(13)에 연결되어 있다. 단자(P13)는 마이크의 접속을 감지하기 위한 단자로서 소정의 전원(Vcc) 및 마이컴(14)에 연결되어 있다. 즉, 마이크가 마이크 접속 단자(11)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단자(P13, P14)는 상호 오픈되고 단자(P12, P14)는 상호 쇼트된다. 따라서, 단자(P12)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마이크의 잭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잡음일 것이다.)는 단자(P14)를 통하여 접지될 것이다. 이때, 단자(P13,P14)는 상호 오픈 상태이므로 전원(Vcc)전압은 마이컴(14)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마이컴(14)은 마이크 잭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을 알게 된다.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1)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에서 마이컴(14)은 로직 하이 레벨의 뮤트 신호를 뮤트부(15)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하므로써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 증폭기(13)로부터 합성부(13)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한다.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는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합성부(13)에 인가하므로 합성부(13)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오디오 신호만을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인가한다.
그러나, 마이크의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1)에 접속되면 단자(P13, P14)는 상호 쇼트되고, 단자(P12, P14)는 상호 오픈된다. 따라서, 단자(P12)를 통하여 인가되는 마이크의 사용자 음은 증폭기(12)를 통하여 합성부(13)에 인가된다. 이때, 단자(P13,P14)는 상호 쇼트된 상태이므로 전원(Vcc)전압은 접지 상태가 되어 마이컴(14)에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마이컴(14)은 마이크 잭의 접속중임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1)에 접속되면 마이컴(14)은 로우 레벨의 로직을 트랜지스터(Q1)에 인가하므로써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켜 증폭기(12)의 마이크 음이 합성부(13)에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합성부(13)은 증폭기(12)의 마이크 음과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인가하므로써 스피커는 마이크 음과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오디오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음향 장치에서는 마이크 접속 단자(11)에 전원(Vcc)과 연결되어 있는 단자(P13)를 별도로 구성하므로써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으나, 이와 같이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단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마이크 접속 단자를 크게 구성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 잭이 음향 기기의 마이크 접속 단자에 접속었는가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는, 제 1,2,3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및 제 2 단자는 접지되어 있고, 제 3 단자는 마이크 잭의 접속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와 단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이크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 잭의 접속시에 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사용자 음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의 출력 레벨에 따른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와; 증폭부 출력의 엔벨로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엔벨로프 검출부와; 엔벨로프 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클리어되며, 구형파 발생부의 출력에 동기되어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을 구비한다.
제1도는 종래 마이크 접속 단자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 또다른 마이크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음향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를 갖는 음향 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의 주요 부분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마이크 접속 단자 12 : 증폭부
13 : 합성부 14 : 마이컴
15 : 뮤트부 16 : 오디오 신호 처리부
20 : 구형파 발생부 30 : 엔벨로프 검출부
40 : 마이컴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 잭의 접속을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1의 마이크 접속 단자(1)를 사용하였다. 이 접속 단자(1)의 신호 단자(P2)는 종래의 음향 기기에서와 같이 증폭기(12)를 통하여 합성부(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는 병렬로 구형파 발생부(20) 및 엔벨로프 검출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구형파 발생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ZD)를 부궤환 저항으로 이용한 OP 엠프(OP1)와 입력 저항(R1)로 구성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12)의 정현파 출력(A1)이 소정 레벨 이상 즉,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 전압 이상일 때에 로직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므로써 증폭기(12)의 정현파에 대응하는 구형파(A2)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형파 발생부(20)의 출력은 D 플립플롭(D1)의 클럭 단자(CK)에 인가되고, D 플립 플롭(D1) 의 입력 단자(D)에는 소정의 전원(Vcc)이 연결되어 있으며, 클리어 단자(CL)에는 엔벨로프 검출부(30)가 연결되어 있다.
D 플립플롭(D1)의 출력 단자(Q)에는 마이컴(40)이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컴(40)은 이 D 플립 플롭(D1) 의 출력에 따라 뮤트부(15)의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킨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16)는 기록된 오디오 신호 등을 재생하여 합성부(13)에 인가하므로써 합성부(13)로 하여금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신호 와 증폭기(12)의 출력을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 접속 단자(1)의 단자(P2)는 무신호 상태즉, 사용자 음이 인가되지 않고 외부의 미약한 노이즈 전압만이 인가되나, 단자(P2)가 단자(P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노이즈 전압은 단자(P3)를 통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증폭기(12) 및 구형파 발생부(20)에는 0V의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구형파 발생부(20)는 입력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 전압 이하일 때에 로직 로우 레벨 상태를 출력하므로 D 플립 플롭(D1)의 클럭 단자(CK)에는 로우 레벨이 인가되고, 엔벨로프 검출부(30)를 통하여 역시 로우 레벨의 로직이 인가되므로 D 플립 플롭(D1)은 클리어 상태가된다. 따라서, D플립 플롭(D1)은 로우 레벨 로직을 마이컴(40)에 인가하고, 마이컴(40)은 D 플립플롭(D1)의 로우 레벨 로직에 의하여 마이크 접속 단자(1)에는 마이크 잭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한다. 이 경우, 마이컴(40)은 뮤트부(15)에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증폭기(12)의 출력을 차단하여 합성부(13)로 하여금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신호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에 접속되어 사용자 음이 인가되면 이 사용자 음은 단자(P2)를 통하여 증폭기(12)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에 합성부(13) 및 구형파 발생부(20)와 엔벨로프 검출부(30)에 각각 인가된다.
구형파 발생부(20)는 증폭기(12) 의 출력(A1)이 제너 다이오드(ZD)의 항복 전압 이상인 경우에 하이 레벨 로직을 출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형파(A2)를 D 플립플롭(D1)에 인가한다. 또한, 엔벨로프 검출부(30)는 하이레벨의 전압을 D 플립 플롭(D1)의 클리어 단자(CL)에 인가하므로써 D 플립 플롭(D1)은 클리어 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D 플립플롭(D1)의 단자(D1)는 전원(Vcc)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D 플립플롭(D1)은 엔벨로프 검출부(30)의 로우 레벨 로직에 의하여 클리어 될 때 까지 하이 레벨의 로직(A3)을 마이컴(40)에 인가한다.
마이컴(40)은 이 하이 레벨 로직에 의하여 마이크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뮤트부(15)에 로우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증폭부(12)에 의하여 증폭된 사용자 음은 합성부(13)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16)의 오디오 신호와 합성되어 스피커에 인가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마이크 접속 단자(1)를 통하여 사용자 음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여 마아크의 잭이 마이크 접속 단자(1)에 접속되었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마이크 잭의 마이크 접속 단자와의 접속을 음향 장치내에서 회로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므로써 마이크 접속 단자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3개의 단자(P1,P2,P3)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자(P1,P3)는 접지되어 있고, 단자(P2)는 마이크 잭의 접속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P3)와 단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마이크 접속 단자(1)를 구비하는 음향 장치로서,
    상기 마이크 잭의 접속시에 단자(P2)를 통하여 인가되는 사용자 음을 증폭하는 증폭부(12)와;
    상기 증폭부(12)의 출력 레벨에 따른 구형파를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20)와;
    상기 증폭부(12) 출력의 엔벨로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엔벨로프 검출부(30)와;
    상기 엔벨로프 검출부(30)의 출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클리어되며, 상기 구형파 발생부(20)의 출력에 동기되어 상기 마이크 잭의 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D1)을 구비하는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KR2019960043068U 1996-11-28 1996-11-28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KR200156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68U KR200156787Y1 (ko) 1996-11-28 1996-11-28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68U KR200156787Y1 (ko) 1996-11-28 1996-11-28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88U KR19980029988U (ko) 1998-08-17
KR200156787Y1 true KR200156787Y1 (ko) 1999-09-01

Family

ID=1947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068U KR200156787Y1 (ko) 1996-11-28 1996-11-28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88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374B1 (ko) 오디오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88069B1 (ko) 스피커의 극성판정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스피커의 극성판정 및 극성절환기능을 구비한 오디오회로
KR100945751B1 (ko) 컴퓨터장치
KR200156787Y1 (ko) 마이크 잭 접속 판단 회로
US4646063A (en) Electronic siren with remote multiplexed control head
US6426919B1 (en) Portable and hand-held device for making humanly audible sounds responsive to the detecting of ultrasonic sounds
KR100415610B1 (ko) 마이크로폰입력감도자동변환장치
KR100724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저음 부스트 스피커 회로
JP2953214B2 (ja) リモコン装置
KR100408192B1 (ko) 착탈형 오디오 스테이션에서의 기능 모드 설정장치 및방법
JPH0414796Y2 (ko)
GB2269474A (en) Sound repeater unit
KR930004101B1 (ko) 모뎀의 스피커 제어회로
JPH11232075A (ja) 拡張ステーションのサウンド装置
JP3361400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特殊セットモード起動方法および装置
KR100202028B1 (ko) 브이씨알의 경보음 발생장치
KR100220102B1 (ko) 유선 제어기에 의한 건반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KR940004183Y1 (ko) 토글식 강/약 스피커음 발생 회로
GB2350228A (en) Digital processing of analogue audio signals
KR100300588B1 (ko) 어학용카세트및자기음성확인방법
KR19980033914A (ko) 마이크/헤드폰 잭 자동연결 회로
KR100563323B1 (ko) 휴대 음향기기를 위한 모스트변환장치
KR970008442B1 (ko) 전자악기의 데몬스트레이션 방법
KR100209405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자동 절환 장치
KR920002285Y1 (ko) 테이프 되감기시 멜로디신호 출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