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18Y1 -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18Y1
KR200156318Y1 KR2019950037300U KR19950037300U KR200156318Y1 KR 200156318 Y1 KR200156318 Y1 KR 200156318Y1 KR 2019950037300 U KR2019950037300 U KR 2019950037300U KR 19950037300 U KR19950037300 U KR 19950037300U KR 200156318 Y1 KR200156318 Y1 KR 200156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iron core
steam
fixed iron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726U (ko
Inventor
이윤호
Original Assignee
구자신
성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신, 성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신
Priority to KR2019950037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18Y1/ko
Publication of KR970020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증기배출로가 형성된 고정철심과, 상기 작동공간내에 상시 하방으로 탄력지지된 상태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과 상기 고정철심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배출로와 연통되는 환형의 증기유출홈을 형성하는 플런저와, 상기 고정철심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저면에 상기 증기유출홈을 통하여 작동공간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플런저의 하면에 의하여 상기 폐쇄되는 증기유출공이 천공된 하부캡과, 상기 고정철심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방으로 작동시키는 코일조립체로 구성되어 밥을 지을 경우에는 밥솥내부의 압력이 플런저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었을 때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밥을 맛있게 지을 수 있음은 물론 요리의 종류에 따라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조립체와 고정철심 및 플런저의 작용으로 여기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플런저를 작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요리를 원하는 상태로 취사할 수 있으며, 또한 증기유출공을 개폐하는 플런저가 고정철심의 내부에서 증기의 배출방향과 일치하는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하면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작동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져 원하는 요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철심과 하부캡, 플런저 및 코일을 외통에 의하여 하나의 유니트로 조립한 다음 밥솥뚜껑에 조립시에는 하부캡에 캡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써 조립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가 적용된 밥솥의 상단 부분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의 작동설명도로서,
(a)는 증기작동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증기배출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a)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종래 일반적인 증기 배출 장치가 적용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일 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제6도는 종래 증기 배출 장치가 적용된 압력 보온 밥솥의 다른 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제7도는 종래 증기 배출 장치가 적용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철심 11 : 작동공간
12 : 증기유출홈 13 : 증기배출로
14 : 연결통로 20 : 하부캡
21a : 나사부 22 : 플랜지부
24 : 증기유출공 27 : 캡너트
30 : 플런저 34 : 스프링
40 : 코일조립체 44 : 외통
본 고안은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는 물론 요리종류에 따라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는 물론 이상 압력이 걸렸을 때에도 증기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작동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져 원하는 요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은 밥을 지을 때 밥솥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비로소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밥맛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에는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증기를 배출시 켜줌과 아울러 이상 압력 발생시 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안전을 유지시켜주는 증기 배출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종래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밥솥몸체(1)를 개폐하는 밥솥뚜껑(2)에 증기배출관(5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상단에 밥솥내부의 압력에 따라 증기배출관(51)의 증기배출구(51)를 개폐하는 압력추(52)를 설치한 것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증기 배출 장치에서는 취사과정에서 상승되는 증기배출관(51)의 증기배출구(51a)를 통하여 압력추(52)에 작용하는 밥솥내부의 압력이 중량추(52)의 중량을 이기게 되었을 때 압력추(52)가 기울어지면서 증기배출관(51)의 증기배출구(51a)를 개방하여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서 취사조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 압력추(52)의 중량이 밥을 지을 때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죽이나 국을 끊인다든지 나물들을 데친다든지 할 경우에는 압력추(52)가 자동적으로 증기배출관(51)을 개방할 때까지 방치하게 되면 원하는 요리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취사과정을 지켜보면서 경험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압력추(52)를 인위적으로 기울여서 증기배출관(51)을 개방함으로써 증기를 배출시킨 후 뚜껑(2)을 열어야 하므로 다양한 요리종류를 자동적으로 취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압력추(52)를 인위적으로 기울일 때 배출되는 증기에 의하여 손에 화상을 입게 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증기를 요리 종류에 따라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증기를 배출하도록 한 증기 배출 장치가 안출되어 있다.
그 일 예로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밥솥뚜껑(2)에 설치되는 증기배출관(61)의 상단 측벽에 증기배출구(61a)를 천공하고, 뚜껑(2) 상면에 고정설치된 솔레노이드(62)의 작동봉(62a) 선단에 고정결합된 개폐콘(63)으로 상기 증기배출구(61a)를 개폐하도록 하고, 증기배출관(61)과 솔레노이드(62) 전체를 다수개의 배출공(64a)이 천공된 커버(64)로 씌운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증기배출구(61)가 솔레노이드(62)를 향하여 천공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증기가 솔레노이드(62)에 침입하여 솔레노이드(62)의 기능고장 및 손상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콘(63)이 고무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내구수명이 짧은 등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뚜껑(2a)에 증기유출공(71a)이 저면에 천공된 밸브시트체(71)를 설치하고, 이 밸브시트체(71)의 증기유출공(71a)을 개폐하며 상단의 증기배출구(72b)가 외부뚜껑(2b)의 상부로 노출되는 증기배출로(72a)가 형성된 증기배출관(72)을 내부뚜껑(2a)에 브래키트(73)로써 승강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시 상기 증기유출공(71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며, 상기 증기배출관(72)의 일측에서 내부뚜껑(2a)의 상면에 고정된 브래키트(74)에 작동레버(75)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작동레버(75)를 솔레노이드(76)에 의하여 회동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솔레노이드(76)의 직선 운동에 의하여 작동레버(75)를 회동 운동시키고 이 회동 운동에 의하여 다시 증기배출관(72)을 상방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것이므로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불안정하며, 설정 압력에 도달하기 전에도 증기배출관(72)에 의하여 증기유출공(71a)이 확실하게 폐쇄되지 않거나 설정 압력에 도달하여도 증기유출공(71a)이 개방되지 않아 취사 도중에 불필요한 증기의 유출이 생겨 원하는 취사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국내실용신안공고 94-1931호와 같은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고 고안의 장치에서는 플런저의 증기통로와 고정철심의 증기통로가 중심부에서 동일선상에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밥알에 의하여 증기통로가 막힐 경우에는 증기 배출이 완전히 차단되어 밥솥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될 염려가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끓어넘친 밥물이 응고되면서 증기통로를 막게 될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공고 고안의 장치에서는 플런저와 고정철심의 중심부에 형성된 증기통로가 플런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일직선 상에 놓이지 않고 불일치하게 될 경우에는 배출되는 증기 압에 의한 밥물 비산 및 갑작스런 배출 압력 상승에 의한 배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공고 고안의 장치에서는 고정철심의 증기통로의 내부에 탄성부재와 플런저를 삽입하고 이 고정철심을 솔레노이드와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뚜껑의 통공에 끼운 다음 고정철심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이 완료되는 것인 바, 상기 고정철심의 증기통로의 내부에 탄성부재와 플런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철심을 내부뚜껑의 통공에 끼우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철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플런저가 임의로 빠지게 되어 조립성이 매우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는 물론 요리종류에 따라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는 물론 이상 압력이 걸렸을 때에도 증기를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작동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철심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의 증기유출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밥알이나 밥물이 부상하는 경우에도 증기유출홈 전체가 막히지 않게 되어 항상 증기배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철심의 중심과 플런저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배출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철심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캡에 의하여 고정철심의 내부에 삽입된 플런저와 스프링이 캡너트를 체결하기 이전에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증기배출로가 형성된 고정철심과, 상기 작동공간내에 상기 하방으로 탄력지지된 상태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과 상기 고정철심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배출로와 연통되는 환형의 증기유출홈을 형성하는 플런저와, 상기 고정철심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저면에 상기 증기유출홈을 통하여 작동공간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플런저의 하면에 의하여 상기 폐쇄되는 증기유출공이 천공된 하부캡과, 상기 고정철심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방으로 작동시키는 코일조립체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가 뚜껑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1은 밥솥몸체이고, 2는 뚜껑으로서 내부뚜껑(2a)과 외부뚜껑(2b)으로 형성되며, 뚜껑(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는, 하반부 내부에 작동공간(11)이 형성되며 상반부 중심에 상기 작동공간(11)에 연통되는 증기배출로(13)가 상하로 형성된 고정철심(10)과, 상기 고정철심(10)의 하단부에 씌워지며 저면에 다수개의 증기유출공(24)이 천공된 하부캡(20)과, 상기 작동공간(11)내에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상시 상기 증기유출공(24)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며 플런저(30) 및, 상기 고정철심(10)의 하반부에 외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3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조립체(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철심(10)의 작동공간(11) 내주면과 플런저(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증기유출홈(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유출홈(12)과 증기배출로(13)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통로(14)에 의하여 서로 연통연결된다.
상기 하부캡(20)은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 원통부(21)와 이 원통부(21)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되며, 원통부(21)의 저면판(23)에는 상기 증기유출공(24)이 천공되고 상단 내주부에는 상기 고정철심(10)의 하단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부(25)가 형성된다.
상기 플런저(30)는 상기 작동공간(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이 가지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부캡(20)의 저면판(23) 상면에 밀착되어 증기유출공(24)을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패킹(31)이 고정부착된다. 이 패킹(31)을 고정부착하기 위하여 플런저(30)의 저면에는 패킹홈(32)을 형성하고 이 패킹홈(32)에 패킹(31)을 끼워 부착한다.
상기 플런저(30)를 상시 하방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캡(20)의 내부에 플런저(30)의 외주부에 권회되는 압축코일스프링(34)이 삽입되며, 이 스프링(34)은 상단이 고정철심(10)의 작동공간(11)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링걸림턱(15)에 걸리고 하단이 플런저(3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스프링걸림턱(33)에 걸리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코일조립체(40)는 보빈(41)과, 이 보빈(41)에 권취되는 코일(42)과, 코일(42)의 외부에 씌워지는 외부커버(43) 및 상기 고정철심(10)과 하부캡(20) 및 코일조립체(40)를 결합하기 위한 외통(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41)은 고정철심(10)이 삽입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부커버(43) 및 외통(44)은 상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에 고정철심(10)이 관통되는 통공(43a,44a)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철심(10)과 하부캡(20)와 플런저(30) 및 코일조립체(4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고정철심(10)의 작동공간(11)내에 플런저(30)를 삽입하여 스프링(34)으로 탄력지지한 상태에서 고정철심(10)의 하단부에 하부캡(20)을 씌워 고정철심(10)의 하단부가 하부캡(20)의 걸림턱부(25)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코일조립체(40)을 감싸는 외통(44)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하부캡(20)의 플랜지부(22)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유니트로서 조립된다.
조립된 유니트를 밥솥뚜껑(2)에 조립함에 있어서는 외부뚜껑(2b)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뚜껑(2a)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판(3)에 천공된 지지공과 내부뚜껑(2a)에 천공된 지지공을 통하여 유니트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여 하부캡(20)의 원통부(21)가 내부뚜껑(2a)의 저면에 부착된 브래키트(4)에 천공된 고정공(4a)에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원통부(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a)에 통공(27a)이 천공된 캡너트(27)를 체결하고 외부뚜껑(2b)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철심(10)의 상단부는 외부뚜껑(2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조립되며, 이 돌출부에는 다수개의 증기배출공(16a)이 천공된 상부캡(16)을 씌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증기 배출 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취사 초기에는 상기 플런저(30)가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캡(20)의 증기유출공(24)을 폐쇄한 상태로 된다.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 밥솥내부의 압력은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 상승하여 그 압력이 캡너트(27)의 통공(27a)과 하부캡(20)의 증기유출공(24)을 통해 플런저(30)의 저면에 작용하게 되는 바, 이때 플런저(30)는 스프링(34)에 의하여 일정한 탄성력에 의하여 증기유출공(24)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밥솥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될 때까지는 증기가 배출되지 않게 되어 압력 밥솥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 밥솥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취사가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면 캡너트(27)의 통공(27a)과 하부캡(20)의 증기유출공(24)을 통하여 플런저(30)의 저면에 작용하는 밥솥내부의 압력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며, 이에 따라 플런저(30)는 작동공간(11)내에서 상승하면서 하부캡(20)의 증기유출공(24)을 개방하게 되어 증기가 배출되기 시작한다.
증기유출공(24)으로 유입된 증기는 플런저(30)의 외주측을 통하여 고정철심(10)의 작동공간(11)내로 유입되고, 여기서 증기유출홈(12)과 연결통로(14) 및 증기배출로(1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공간(11)의 내주면과 플런저(30)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이 미소하여 이 간극을 통한 증기의 유동에 저항을 받게 되나 작동공간(11)의 내주면에는 증기유출홈(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증기유출홈(12)과 연결통로(14) 및 증기배출로(13)가 밥알 등으로 막히는 등에 의하여 밥솥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밥솥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플런저(30)가 스프링(34)에 대항하여 상승하면서 증기유출공(24)을 개방하게 되어 안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요리의 종류에 따라 밥솥내부의 압력이 스프링(34)의 압력을 이기는 정도까지 이르기 전에 취사를 종료하여야 할 경우에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코일조립체(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일조립체(40)에 흐르는 전류와 고정철심(10) 및 플런저(30)간의 자기력에 의하여 플런저(30)가 스프링(34)의 힘을 이기면서 상승되어 증기유출공(24)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요리를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나물 등의 데침이나 죽, 국 등 다양한 요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밥을 지을 경우에는 밥솥내부의 압력이 플런저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었을 때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밥을 맛있게 지을 수 있음은 물론 요리의 종류에 따라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조립체와 고정철심 및 플런저의 작용으로 여기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플런저를 작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요리를 원하는 상태로 취사할 수 있으며, 또한 증기유출공을 개폐하는 플런저가 고정철심의 내부에서 증기의 배출방향과 일치하는 수직방향으로 증강작동하면서 증기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작동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져 원하는 요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런저의 내부에는 증기유출홈이 형성되지 않고 고정철심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 증기유출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플런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플런저는 항상 직선적인 작동을 하게 되어 증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기유출홈이 고정철심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環形)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밥알이나 밥물이 부상하더라도 증기유출홈 전체가 동시에 모두 막히는 일이 없으므로 항상 증기배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플런저의 내부에는 증기유출홈이 없고 그 외주면과 고정철심의 내주면 사이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고정철심에 형성된 증기배출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므로 갑작스런 압력의 상승 등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철심과 하부캡, 플런저 및 코일을 외통에 의하여 하나의 유니트로 조립한 상태에서 플런저와 스프링 등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이 유니트를 밥솥뚜껑에 조립할 때 하부캡에 캡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써 조립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하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증기배출로가 형성된 고정철심과, 상기 작동공간내에 상시 하방으로 탄력지지된 상태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과 상기 고정철심의 내주면 사이에 환형의 증기유출홈을 형성하는 플런저와, 상기 고정철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공간내에 삽입된 플런저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며 그 저면에 상기 증기유출홈을 통하여 작동공간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플런저의 하면에 의하여 상기 폐쇄되는 증기유출공이 천공된 하부캡과, 상기 고정철심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방으로 작동시키는 코일조립체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상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간에 플런저가 탄력지지된 고정철심의 하단을 하부캡의 상단에 일치시키고 코일조립체를 감싸는 외통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어서 고정철심과 하부캡과 플런저 및 코일조립체를 하나의 유니트로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의 하부캡을 밥솥뚜껑의 저면에 부착된 브래키트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관통하고 하부캡의 외주 나사부에 캡너트를 체결하여 플랜지부와 캡너트사이에 브래키트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19950037300U 1995-11-30 1995-11-30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0156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300U KR200156318Y1 (ko) 1995-11-30 1995-11-30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300U KR200156318Y1 (ko) 1995-11-30 1995-11-30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26U KR970020726U (ko) 1997-06-18
KR200156318Y1 true KR200156318Y1 (ko) 1999-09-01

Family

ID=1943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300U KR200156318Y1 (ko) 1995-11-30 1995-11-30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5B1 (ko) 2007-05-18 2008-12-10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5B1 (ko) 2007-05-18 2008-12-10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26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0893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压力烹饪器具
US4143787A (en) Captivated over-pressure relief air vent assembly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CN100444771C (zh) 用于压力电饭锅的蒸汽排放装置
KR20030044585A (ko) 이중냄비의 에어포켓 내부 압력조절장치
KR200156318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JP7225429B2 (ja) 調理器具
KR200468871Y1 (ko)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밸브
JP7254952B2 (ja) 調理器具及びその調理構造
KR200371725Y1 (ko) 직화 조리기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149699Y1 (ko) 전기보온밥솥용 보습캡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200398816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JP2000116507A (ja) 炊飯器の蒸気孔構造
JPH08154822A (ja) 米をうるかすための吸水時間を調節する機能を有する炊飯器
KR0120261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169170Y1 (ko) 압력밥솥의 증기압 배출용 전기밸브
CN214433742U (zh) 蒸笼和烹饪器具
JPH049940Y2 (ko)
CN214484188U (zh) 烹饪装置、面盖结构及其蒸汽阀
KR200361213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증기배출장치
KR200209549Y1 (ko) 전기압력솥의 밸브시스템
KR0133157Y1 (ko) 주방 용기용 압력 밸브
KR0131333Y1 (ko) 전기 보온 압력밥솥의 안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829

Effective date: 199904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