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835Y1 -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 Google Patents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835Y1
KR200155835Y1 KR2019940035186U KR19940035186U KR200155835Y1 KR 200155835 Y1 KR200155835 Y1 KR 200155835Y1 KR 2019940035186 U KR2019940035186 U KR 2019940035186U KR 19940035186 U KR19940035186 U KR 19940035186U KR 200155835 Y1 KR200155835 Y1 KR 200155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ion
power switch
prim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052U (ko
Inventor
김홍권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40035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835Y1/ko
Publication of KR960025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제품의 전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1차접속부(4)의 접점 A(14)와 접점 B(15) 사이의 양단부에 접점 C(16)와 접점 D(17)가 형성된 접속판 C(13)를 취부시켜 상기 1차접속부(4)와 병렬로 연결된 2차접속부(8)를 형성하고 버튼(10)을 접속판 C(13)의 접점 D(17)상부에 취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접촉 전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접점구조를 갖는 전원스위치가 연결된 전기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접점구조를 갖는 전원스위치가 연결된 전기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전원스위치를 이용한 회로에 있어서, 버튼의 작동단계에 따르는각 접점의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전원스위치를 이용한 회로에 있어서, 접점의 동작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스위치 2 : 부하
3 : 전원 4 : 1차접속부
8 : 2차접속부 10 : 버튼
11 : 접속판 A 12 : 접속판 B
13 : 접속판 C 14 : 접점 A
15 : 접점 B 16 : 접점 C
17 : 접점 D 18 : 고정점
22 : 1단계접속 33 : 2단계접속
88 : 폐회로 A 99 : 폐회로 B
본 고안은 전원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회접점을 형성하여 발열 방지 기능을 갖는 세탁기의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제품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취부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전기제품의 회로 구성은 제품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부하(2), 상기 부하의 동력원이 되는 전원(3) 및 상기 부하(2)와 전원(3) 사이에서 부하(2)에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전원스위치(1)로 간략화 시킬 수 있다.
상기 회로에서 전원스위치(1)의 버튼(button)(10)을 눌러 접속판 A(11)가 접속판 B(12)에 접하여 접점 A(14)와 접점 B(15)가 접속되면 전원(3)이 부하(2)에 연결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부하(2)가 갖는 제품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로의 동작에 있어서, 전원스위치(1)의 동작에 따른 접점 A(14)와 접점 B(15)의 접촉시 접촉 저항에 의해 접점 사이에 열 도는 스파크(spark)가 발생하고 장시간 사용시 상기 두 접점의 접촉면의 접촉 저항에 의해 발생한 열 또는 스파크에 의해 접촉면에 이물질이 융착되고 상기 이물질은 접점의 접속불량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접촉 저항을 더욱 크게 하여 많은 열이 발생되어 화재의 위험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1개의 접속부를 갖는 전원스위치(1)를 사용시 점점 사이에 발생하는 열이나 스파크에 의한 화재 위험과 접점의 노후에 따른 접속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부에 접점이 형성된 별도의 접속판을 취부하여 2차접속부를 형성시켜 우회 회로를 구성하므로써 접속불량 및 발열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전원스위치(1)에 양단부에 접점 C(16)와 접점 D(17)가 형성된 별도의 접속판 C(13)를 취부시켜 접점 B(15)와 접점 D(17)로 구성되는 2차접속부(8)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접속부(4)의 접점 A(14)와 접점 B(15)사이의 양단부에 접점 C(16)와 접점 D(17)가 형성된 접속판 C(13)을 취부시켜 상기 1차 접속부(4)와 병렬로 연결된 2차접속부(8)를 형성하고 버튼(10)을 접속판 C(13)의 접점 D(17) 상부에 취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접속부(4)는 접속판 C(13)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접점 C(16)와 종래 스위치에 사용되던 접점 A(14)로 구성되어 스위치가 1단계접속(22) 상태에서 접점 A(14)와 접점 C(16)이 접속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1차접속부(4)의 접점 A(14)와 접점 C(16)사이의 간격은 2차접속부(8)의 접점 B(15)와 접점 D(17)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하여 버튼(10)의 눌림 정도에 따라 1단계접속(22)에서는 점A(14)와 접점 C(16)가 접속되고 2단계접속(33)에서는 접점 B(15)와 접점 D(17)이 접속되는 2단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2차접속부(8)는 접속판 C(13)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접점 D(17)와 종래 스위치에 사용되던 접점 B(15)로 구성되어 스위치가 2단계접속(33) 상태에서 접점 B(15)와 접점 D(17)이 접속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2차접속부(8)의 접점 B(15)와 접점 D(17) 사이의 간격은 1차접속부(4)의 접점 A(14)와 접점 C(16)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하여 버튼(10)의 눌림정도에 따라 1단계접속(22)에서는 접점 A(14)와 접점 C(16)가 접속되고 2단계접속(33)에서는 접점 B(15)와 접점 D(17)이 접속되는 2단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접속판 C(13)는 일측단부에는 접점 A(14)와 접속되는 접점 C(16)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부의 상기 접점 C(16)의 형성면과 반대면에 접점 B(15)와 접속되는 접점 D(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 접점 사이에 고정저(18)이 형성되어 버튼(10)이 접점 D(17)부분을 누르기 시작하면 접점 C(16) 부분이 상승하여 접점 A(14)와 접점 C(16)이 접속되고, 버튼(10)이 완전히 눌려 고정되면 접점 B(15)와 접점 D(17)이 접속되도록 회전 중심 역할을 한다.
상술한구성 및 설명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순차접촉 전원스위치는 사용 초기에는 버튼(10)을 눌러 1단계접속(22)이 이루어지면 1차접속부(4)의 접속판 A(11)의 접점 A(14)가 접속판 C(13)의 접점 C(16)에 접속되어 전원(2) - 부하(3) - 1차접속부(4)로 연결된 페회로 A(88)를 따라 전류가 흘러 부하(2)에 전원(3)을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버튼(10)이 완전히 눌려 2단계접속(33)이 이루어지면 접속판 C(13)의 접점 D(17)부분이 접속판 B(12)의 접점 B(15)에 접속되어 전원(2) - 부하(3) - 2차접속부(8)로 연결된 폐회로 B(99)를 다라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부하(2)에 전원(3)이 연결되어 제품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페회로 A(88)와 폐회로 B(99)는 모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폐회로를 이루고 있으나 상기 폐회로 A(88)에 연결된 1차접속부(4)는 접점 A(14)와 접점 C(16)사이에는 발열 및 불꽃에 의해 융착된 이물질에 의해 저항이 폐회로 B(99)에 연결된 2차접속부(8)의 저항보다 크므로 대부분의 전류는 폐회로 B(99)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1차접속부(4)를 구성하고 있는 접점 A(14)와 접점 C(16)에는 더 이상의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1차접속부를 흐르는 전기를 우회시켜 2차접속부로 흐르게 하므로써 1차접속부의 과열을 방지하고 이에 따르는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에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행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전원스위치((1)에 있어서, 1차 접속부(4)의 접점 A(14)와 접점 B(15) 사이의 양단부에 접점 C(16)와 접점 D(17)가 형성된 접속판 C(13)를 취부시켜 상기 1차접속부(4)와 병렬로 연결된 2차접속부(8)를 형성하고 버튼(10)을 접속판 C(13)의 접점 D(17) 상부에 취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KR2019940035186U 1994-12-22 1994-12-22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KR200155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86U KR200155835Y1 (ko) 1994-12-22 1994-12-22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86U KR200155835Y1 (ko) 1994-12-22 1994-12-22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52U KR960025052U (ko) 1996-07-22
KR200155835Y1 true KR200155835Y1 (ko) 1999-09-01

Family

ID=1940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186U KR200155835Y1 (ko) 1994-12-22 1994-12-22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8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52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82993A (ja) 電子機器用回路装置
AU6167086A (en) Electronic circuit ensuring protection against electrical discharge, in particular for hairdryers
CN201122558Y (zh) 温度电流保护器
KR200155835Y1 (ko) 순차접촉 전원스위치
JP2844026B2 (ja) サーモスタット
US20050084118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electric appliance
ATA65698A (de) Fehlerstromschutzschalter
JP2008508746A (ja) セラミック素体の破壊時における伝播の防止のための安全装置
KR940002246Y1 (ko) Ac 110v, 220v 겸용 복합전자렌지의 히터접속 변환장치
RU2104352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тюг
CN216353957U (zh) 一种结构紧凑的温控器
JP4007253B2 (ja) 加熱調理器
CN221057312U (zh) 一种稳定性好的中间静触头组件
KR810000421Y1 (ko) 자동전압 선택기
JP2793016B2 (ja) 加熱器具のヒーター切換装置
KR920003471B1 (ko) 더블 전자렌지 구동회로
CN2389408Y (zh) 音叉式门铃
KR200143299Y1 (ko) 푸시버튼 스위치
CN101685723A (zh) 双重温度感应断电的电路保护结构
KR960025884A (ko) 발열방지 전원스위치
CN2278954Y (zh) 像纸冲洗机用电热干燥器
RU20543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арки
KR830003080Y1 (ko) 전기오븐기의 100v,220v겸용 회로전환장치
US2595243A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JPH031133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