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704Y1 -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704Y1
KR200155704Y1 KR2019960036490U KR19960036490U KR200155704Y1 KR 200155704 Y1 KR200155704 Y1 KR 200155704Y1 KR 2019960036490 U KR2019960036490 U KR 2019960036490U KR 19960036490 U KR19960036490 U KR 19960036490U KR 200155704 Y1 KR200155704 Y1 KR 20015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ight
side deck
deck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15U (ko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36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7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276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vertical 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화물칸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데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소에는 통상의 화물칸과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높이가 높은 짐을 실을 때에는 이들 짐을 옆에서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드 데크(1)에 수직으로 가이드 레일(4)과 그 일측에 높이조절용 구멍(5)을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4)에서 유동될 수 있는 레일(6)과 그 일측의 상하에 높이조절용 구멍(5)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7)이 형성된 보조 사이드 데크(2)를 높이조절하여,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용 핀(3)으로 사이드 데크(1)와 보조 사이드 데크(2)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본 고안은 트럭 화물칸의 높이조절장치(Deck High Control Means of Cargo Tru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데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럭 화물칸은 양측에 사이드 데크가 옆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도 리어 데크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이드 데크와 리어 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화물칸에 장농이나 냉장고 등 높이가 높은 짐을 많이 실을 때에는 특히 사이드 데크의 높이가 낮아서 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밧줄로 지나치게 강하게 묶는 바람에 오히려 짐이 손상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 데크 안쪽으로 널판지 등을 이용하여 짐을 실을 때에만 임의로 덧대어 짐을 보호하고는 있으나 이것 또한 짐을 실을 때마다 널판지를 옮겨야 하는 불편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평소에는 통상의 화물칸과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높이가 높은 짐을 실을 때에는 이들 짐을 옆에서 받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 될 수 있는 트럭 화물칸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트럭 측면도.
도 2는 그 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트럭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데크 2 : 보조 사이드 데크
3 : 높이조절용 핀 4 : 가이드 레일
5 : 높이조절용 구멍 6 : 레일
7 : 구멍 8,8' : 손잡이
9 : 스프링 10,10' : 로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이 내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 높이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사이드 데크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레일이 양단에 형성되고 그 일측의 상하에 상기 사이드 데크의 높이조절용 구멍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 사이드 데크,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크의 높이조절용 구멍과 상기 보조 사이드 데크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용 핀으로 구성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높이조절용 핀을 빼고, 보조 사이드 데크를 위로 올리면 레일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용 구멍과 구멍을 일치시킨 후 높이조절용 핀을 꽂으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부호 1은 사이드 데크이고, 2는 보조 사이드 데크이며, 3은 높이조절용 핀이다.
사이드 데크(1)는 통상의 경우와 같이 화물칸의 양측에 측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4)이 내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 가이드 레일(4)의 일측에 높이조절용 구멍(5)이 상측에 형성된 것이다.
보조 사이드 데크(2)는 상기 사이드 데크(1)의 내면 높이와 일치하고 길이는 약간 짧으며 사이드 데크(1)의 내면과 항상 접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4)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레일(6)이 양단에 형성되고 이 레일(6)의 일측의 상하 2곳에 상기 사이드 데크(1)의 높이조절용 구멍(5)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7)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손잡이(8,8')가 형성된 것이다.
높이조절용 핀(3)은 상기 사이드 데크(1)의 높이조절용 구멍(5)과 상기 보조 사이드 데크(2)의 구멍(7)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 높이조절용 핀(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끼워지는 방향의 역방향에서 벌어질 수 있는 로커(10,10')가 단부에 날개모양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11,11')로 결합된 것이다. 상기 로커(10,10')는 높이조절용 핀(3)의 단부에 형성된 분할홈(12) 내에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3)는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에 끼울 때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로커(10,10')가 오므라져 있다가 그 단부가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을 통과하게 되면 로커(10,10')의 한쪽이 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힌지(11,1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벌어져 보조 사이드 데크(2)면에 걸리게 되며, 이 로커(10,10')는 손으로 양쪽에서 누르면 다시 오므라든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높이조절용 핀(3)을 빼고, 보조 사이드 데크(2)를 손잡이(8,8')를 이용하여 위로 올리면 레일(6)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을 일치시킨 후 높이조절용 핀(3)을 꽂으면 그 단부가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을 통과한 후에 로커(10,10')의 한쪽이 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끼움방향의 역방향으로 힌지(11,1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벌어져 보조 사이드 데크(2)면에 걸리게 되므로서 보조 사이드 데크(2)가 도 1 및 도 3과 같이 사이드 데크(1)의 내면 위로 올라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칸에 높이가 높은 짐을 실으면 보조 사이드 데크(2)가 사이드 데크(1)와 함께 짐을 받치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 사이드 데크(2)의 사용이 필요없을 때에는 로커(10,10')의 양쪽을 손으로 잡고 누르면 다시 오므라든다. 이렇게 될 때 높이조절용 핀(3)을 높이조절용 구멍(5)과 구멍(7)으로 부터 빼내고, 보조 사이드 데크(2)를 아래로 내리면 레일(6)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밑으로 내려와 보조 사이드 데크(2)와 사이드 데크(1)의 높이가 같아진다. 이 상태에서 다시 높이조절용 구멍(5)과 보조 사이드 데크(2)의 구멍(7)―이 구멍은 상기한 구멍 보다 아래에 있는 보조 사이드 데크의 하부구멍임―에 높이조절용 핀(3)을 꽂으면 보조 사이드 데크(2)가 사이드 데크(1)와 같은 높이로 사이드 데크(1)의 내면과 접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높은 짐을 실을 때에만 높이 조절하여 짐을 받칠 수 있고, 평상시에는 기존의 사이드 데크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여 편리하며, 사이드 데크의 내면에 붙어 있어서 종래와 같이 사용시 마다 옮겨야 하는 불편이 없게 되고, 밧줄을 강하게 당겨 묶을 필요가 없어 짐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줄어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가이드 레일이 내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 높이조절용 구멍이 형성된 사이드 데크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레일이 양단에 형성되고 그 일측의 상하에 상기 사이드 데크의 높이조절용 구멍과 일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 사이드 데크,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크의 높이조절용 구멍과, 상기 보조 사이드 데크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조절용 핀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용 핀은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끼워지는 방향의 역방향에서 벌어질 수 있는 로커가 단부에 날개모양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9960036490U 1996-10-30 1996-10-30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5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90U KR200155704Y1 (ko) 1996-10-30 1996-10-30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90U KR200155704Y1 (ko) 1996-10-30 1996-10-30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15U KR19980023115U (ko) 1998-07-25
KR200155704Y1 true KR200155704Y1 (ko) 1999-09-01

Family

ID=1947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490U KR200155704Y1 (ko) 1996-10-30 1996-10-30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7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15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691A (en) Adjustable support rail for a luggage carrier
US5868449A (en) Auxiliary tailboard assembly for drop-down tailgate
CA2417959A1 (en) Pull-out load platform for truck cargo beds
US20030034654A1 (en) Latch device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KR200155704Y1 (ko) 트럭 화물칸의 높이 조절장치
US6484992B1 (en) Device for a flag
US5641107A (en) Foot member in roof-mounted load-carriers for vehicles
US4263853A (en) Rail car end door positioning keeper assembly
PL204524B1 (pl) Urządzenie do napinania plandeki platformy pojazdu
US7040683B1 (en) Truck bed extender
KR100526040B1 (ko) 컨테이너 지붕 개폐장치
US5518207A (en) Aircraft door sill guard
US3509845A (en) Freight container storing apparatus for cargo ship
CA1284065C (en) Rail car door bottom guide rail
KR101912906B1 (ko) 윙바디 차량의 승강식 윙도어 잠금장치
KR101663218B1 (ko) 난간대가 구비된 카고트럭용 적재함
KR200151406Y1 (ko) 화물승강용 화물차의 리어게이트
KR100989608B1 (ko) 화차의 수송용기 자동고정장치
KR200245448Y1 (ko)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KR200143663Y1 (ko) 챠량용 탑 스포일러의 승강가변장치
AU2006100271B4 (en) Trailer support posts
KR200493383Y1 (ko) 크레인용 후크
KR19980059679A (ko) 화물 차량의 적재함
KR100488978B1 (ko) 화물차의 적재함 잠금장치
TW354816B (en) Parking installation with two superposed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