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39Y1 -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39Y1
KR200155439Y1 KR2019970013912U KR19970013912U KR200155439Y1 KR 200155439 Y1 KR200155439 Y1 KR 200155439Y1 KR 2019970013912 U KR2019970013912 U KR 2019970013912U KR 19970013912 U KR19970013912 U KR 19970013912U KR 200155439 Y1 KR200155439 Y1 KR 200155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ignal
output
inpu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591U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70013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3Monitoring general control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5Monitoring tool breakage, life or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529Warn, alert, notify operator to confirm a preset override value,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화회로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융단감지용릴레이(20), 릴레이(RY2), 입출력장치부(X51)와, 상기 입출력장치부(X5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퓨즈 융단 상태로부터 경고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치제어부(NC)와, 상기 수치제어부(NC)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경고음이 발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음발생출력장치부(X52)와, 상기 경고음출력장치부(X52)의 출력신호(CR14)를 입력하여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부져(BUZZER)를 구비하여 퓨즈의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릴레이의 출력신호 수치제어기가 프로그램을 실행으로 퓨즈의 단락을 알려 사용자 및 작업자의 전원공급 차단으로부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직류 24(V)공급부가 끊어질 경우 퓨즈가 융단신호를 입력한 입출력카드에 의해 릴레이가 동작하면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퓨즈의 융단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20V이 전압을 입력하여 110V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퍼머(TRANSFERMOR;TR)와, 상기 트랜스퍼머(TR)의 출력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며 평활시켜 안전된 24V의 안전전압을 출력하는 안정화회로부(1)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공급장치는 공작기계에 전원을 안전화시켜 지속적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랜스퍼머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퓨즈로부터 과부하를 방지하며 출력단중 하나의 단자에 안전화회로를 연결하여 안전된 직류전원 24V를 공급하는 것이다.
안정화회로부(1)는 정류회로와 평활회로를 거쳐 안정된 직류전원이 부하저항을 거쳐 공작기계의 입출력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공급장치는 직류 전원 24V를 공급하는 부위가 단락되었을 경우 퓨즈의 융단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전원공급수단의 내부 전기회선을 확인하여 퓨즈의 융단상태를 점검해야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류 24(V)공급부가 끊어질 경우 퓨즈가 융단신호를 입력한 입출력카드에 의해 릴레이가 동작하면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퓨즈의 융단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수치제어장치에 안정된 24V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20V의 전원을 정류, 평활하여 공급하는 안전전원공급장치부를 갖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전원공급장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퓨즈의 융단신호로 스위칭 동작하는 융단감지용릴레이와, 상기 융단감지용릴레이의 출력전류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퓨즈의 융단상태를 알리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신호가 입력신호가 되도록 연결하여 퓨즈의 융단경고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부와, 상기 입출력장치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퓨즈 융단상태로부터 경고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치제어부와, 상기 수치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경고음이 발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음발생출력장치부와, 상기 경고음발생출력장치부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부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공작기계용 직류전원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퓨즈융단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안정화회로부 20 : 융단감지용릴레이
FUSE : 퓨즈 RY2 : 릴레이
X51 : 입출력장치부 X52 : 경고음발생출력장치부
CR14 : 릴레이구동신호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에 의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퓨즈융단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퓨즈의 융단상태를 알리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2도 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치제어부(NC)에 안정된 24(V)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20(V)의 전원을 정류, 평활하여 공급하는 안전전원공급장치부(10)를 갖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전원공급장치부(10)이 출력단에 연결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융단감지용릴레이(20)를 연결하며, 상기 융단감지용릴레이(20)의 출력단에 릴레이(RY2)를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RY2)의 출력신호가 입력신호가 되도록 입출력장치부(X51)를 연결하며, 상기 입출력장치부(X5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출력단의 경고음출력장치부(X52)를 도통하여 부져(BUZZER)가 동작하도록 수치제어부(NC)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 안정된 직류 24(V)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퓨즈의 융단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2도 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의 교류 220V전원을 트랜스퍼머(TR)를 통해 강하된 전압을 입력하는 안정화회로부(10)는 교류전원을 정류/평활하여 교류성분을 제거한 수 출력저항(R1)을 통해 안정된 직류 24V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브리지다이오드(BD)에 연결된 퓨즈(FUSE)의 단락상태에 따라 융단감지용릴레이(20)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안전화회로부(10)의 출력전압 24V가 퓨즈(FUSE)의 온접점으로 유지될 경우는 퓨즈가 정상적으로 출력 전류로부터 융단감지용릴레이(20)는 내부 코일에 의해 스위칭이 동작으로 릴레이(RY2)가 동작하게 되어 입출력장치부(X51)는 입력신호 여부에 의해 수치제어기로부터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수치제어기는 경고음출력장치부(X52)의 출력단의 신호(CR14)가 발생하지 않아 부져(BUZZER)가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반대로 안전화회로부(10)의 출력전압 24V가 퓨즈의 오프(OFF) 접점으로 단락되었을 경우는 퓨즈의 단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융단감지용릴레이(20)가 부동작하게 되며 동시에 릴레이(RY2)가 부동작하게 되어 입출력장치부(X51)에 부신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입출력장치부(X51)는 부신호를 수치제어부(NC)에 출력하게 됨에 따라 수치제어부(NC)가 부져로부터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경고음출력장치부(X52)에 릴레이구동신호(CR14)가 입력되면 경고음 출력장치부(X52)에 의해 부져가 경고 소음을 출력하게 되어 작업자 및 사용자에게 퓨즈의 단락을 알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공작기계로부터 안정된 직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퓨즈의 단락으로 중단된 전원공급 차단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퓨즈의 단락상태를 감지하는 릴레이의 출력신호 수치제어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부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공급이 재 복귀될 수 있도록 퓨즈의 단락을 알려 사용자 및 작업자의 전원공급 차단으로부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수치제어장치에 안정된 24V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20V의 전원을 정류,평활하여 공급하는 안전화회로부(10)를 갖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회로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퓨즈(FUSE)의 융단신호로 스위칭 동작하는 융단감지용릴레이(20)와, 상기 융단감지용릴레이(20)의 출력 전류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퓨즈의 융단상태를 알리는 릴레이(RY2)와, 상기 릴레이(RY2)의 출력신호가 입력신호가 되도록 연결하여 퓨즈의 융단경고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부(X51)와, 상기 입출력장치부(X5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퓨즈 융단상태로부터 경고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수치제어부(NC)와, 상기 수치제어부(NC)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경고음이 발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음발생출력장치부(X52)와, 상기 경고음출력장치부(X52)의 출력신호(CR14)를 입력하여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부져(BUZ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KR2019970013912U 1997-06-11 1997-06-11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KR200155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12U KR200155439Y1 (ko) 1997-06-11 1997-06-11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912U KR200155439Y1 (ko) 1997-06-11 1997-06-11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91U KR19990000591U (ko) 1999-01-15
KR200155439Y1 true KR200155439Y1 (ko) 1999-09-01

Family

ID=1950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912U KR200155439Y1 (ko) 1997-06-11 1997-06-11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9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3771B1 (en) Contact status monitor
US8115339B2 (en)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witch and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ing method
JPH10191639A (ja) 突入電流防止用抵抗器の保護方法
JPH0669274B2 (ja) 負荷駆動用スイッチ回路の監視装置
EP1147862B1 (en) Control apparatus for robot
EP0810616B1 (en) Load driving circuit
JP2007295751A (ja) 非常停止装置
KR200155439Y1 (ko) 공작기계용 퓨즈융단표시장치
KR101321387B1 (ko) 릴레이의 용착감지장치
JP3827392B2 (ja) 電子または電気機器
JPS60213358A (ja) 溶接機の無負荷電流などの遮断装置
KR890008327Y1 (ko) 교류 아크 용접기용 전격(電擊) 방지회로
JP6045321B2 (ja) 保護継電器
JP2001212669A (ja) 電源装置
KR970004467B1 (ko) 전자기기의 이상상태 검지회로
KR20020043773A (ko) 전원부 감시기능을 가진 무정전 전원장치
JPH07264872A (ja) インバータ装置
KR940008906B1 (ko) 전원공급회로
KR200483269Y1 (ko) 전원 제어 장치
KR960001529Y1 (ko) 용접 제어장치
JP3418158B2 (ja) 燃焼制御装置
JPS6211162Y2 (ko)
KR19990024812U (ko) 감전방지 및 절전형 전기용접기 제어회로
KR920005484Y1 (ko) 전동공구의 과부하 상태 표시회로
JPH04304128A (ja) 負荷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