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29Y1 - 용접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29Y1
KR960001529Y1 KR2019930022710U KR930022710U KR960001529Y1 KR 960001529 Y1 KR960001529 Y1 KR 960001529Y1 KR 2019930022710 U KR2019930022710 U KR 2019930022710U KR 930022710 U KR930022710 U KR 930022710U KR 960001529 Y1 KR960001529 Y1 KR 960001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voltage
sensing
base material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516U (ko
Inventor
이상진
신윤섭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2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529Y1/ko
Publication of KR950013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43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접 제어장치
제 1 도는 종래 용접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감압 트랜스 40 : 제1 정류부
45 : 제 2 정류부 50 : 인터록부
55 : 보호회로부 L : 리엑터
Rl- R4: 릴레이 Rla - R5b : 릴레이 접점
본 고안은 로보트 용접용 소모성 전극 아아크 용접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로보트 제어부에서 터치센서 작동개시 이후 토치 끝단의 용접 와이어와 모재간의 접촉여부에 따라 센싱용 전압을 인터록 제어하여 용접 초기점을 검출하도록 하므로서 자동 용접에 적합하도록 한 용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를 자동 용접 시스템에 있어 터치센서의 기능은 자동 용접을 행하기 위한 용접 초기점 검색센서로서 이용된다.
이를 이용한 종래의 용접 제어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토치(1)와 모재(2)간에 승압 변압기(6)의 고전압을 걸어준 상태에서 로보트가 용접토치를 모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부터 초기점 검출작업이 시작되는데, 이때 만약 로보트 제어부(10)로부터 터치센서측으로 초기점 검색 개시 출력이 보내 지지 않을 경우에는 릴레이(SDCR)의 오프로 전자 개폐기(5)가 동작하여 용접 가능한 상태가 되고, 반대로 초기점 검색개시신호가 출력되면 릴레이(SDCR)의 온으로 전자 개폐기(5)가 비동작하여 용접전원 차단과 동시에 승압변압기(6)의 2차전압이 용접토치(1)와 모재(2)간에 걸려 터치센싱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터치센싱 상태에서 로보트가 용접토치(1)를 모재(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중 토치(1)가 모재(2)에 접촉되는 순간 승압 변압기(6)의 2차측은 전자 접촉기(5)의 b접점(MSb)→저항(R)→토치(1)→모재(2)→부하저항(RL)→전자접촉기(5)의 b점점(MSb)으로 폐회로 구성되어 감지 회로부(8)에서 부하저항(RL)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여 로보트 제어부(10)의 입력단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용접 제어장치는 용접전류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고가의 대용량 전자 개폐기를 이용하는 관계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터치센서 유니트를 추가로 시스템에 부착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배선관계가 복잡하게 되어 점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전자 개폐기 대신 용접을 하고자 할때에는 토치 끝단의 용접 와이어와 모재간에 터치센싱 전압을 차단하여 용접전원을 투입하고, 터치센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센싱전압을 인가하여 용접 초기점 위치검색을 행하도록 한 터치센서기능을 용접기 내부에 추가구성하여 용접제어장치의 구성을 저가로 구현하는 동시 자동용접시스템 구성시 결선의 단순화로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을 이하에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를 용접전원 제어부(20)로 출력하는 로보트 제어부(10)와, 상기 로보트 제어부(10)의 터치센서 신호 수신에 의해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용접전원 제어부(20)와, 상기 용접토치(1)와 모재(2)간의 페회로 형성시에 걸리는 센싱 전압을 유기하는 부하저항(RL) 및 트랜스(15)와, 용접토치(1)와 모재(2)간의 터치 센싱전압을 감지하여 로보트 제어부(10)에 센싱전압을 공급하는 감지 회로부(8)를 구비한 용접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토치(1)와 모재(2)간에 용접전원을 공급하는 감압 트랜스(30)와, 상기 감압트랜스(30)의 2차측에 흐르는 용접전류를 정류하는 제1의 목적과 센싱전압에 의해 감압트랜스(20)의 1차측을 보호하기 위한 제2의 목적을 가진 제1정류부(40)와, 용접 초기점 위치 센싱용 전압을 생성하는 제2정류부(45)와, 상기 제2정류부(45)이 출력을 용접토치(1)와 모재(2)에 공급 및 차단하고 로보트 제어부(10)의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유무에 따라 터치 센서전압공급유무를 결정하는 인터록부(50)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인터록부(50)는 로보트 제어부(10)의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에 의해 릴레이(Rl)가 구동되고, 이 릴레이(Rl)의 a접점(Rla)과 용접전원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는 b접점(R5b)을 통해 상기 제2정류부(45) 출력전압과, 용접전원 제이부(20)의 입력전원과, 보호회로(55)의 접지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R2)(Ra)(R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압 트랜스(30)의 2차측에 인터록부(50)는 릴레이(R3)가 오프시에는 감압 트랜스(30)의 출력전압이 표시되고, 온시에는 개로되어 감압 트랜스(30)의 출력전압이 표시되지 않는 전압계(V)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제 2 도에서와 같이 로보트 제어부(10)로부터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가 발생하면 릴레이(Rl)가 여자되어 이의 인터록부(50)의 a접점 (Rla)이 온됨과 동시 상기용접전원 제어부(20)내에 도시 생략된 릴레이가 비여자상태인 관계로 이의 b접점(R5b)은 온접점되어 각 릴레이(R2)(R3)(R4)를 여자시킨다.
이에따라 릴레이(R2)의 a접점(R2a)이 온되어 이를 통한 제2 정류부(45)의 출력전압이 감압 트랜스(30)의 2차측에 인가되고, 이 감압트랜스(30)의 2차측에 걸린 제2 정류부(45)의 직류전압은 센싱전압으로서 용접토치(1)와 모재(2)에 인가된다.
이때 감압 트랜스(30)의 2차측에 인가되는 제2정류부(45)의 직류전압은 리엑터를 통해 제1정류부(40)측으로 역류하나, 제1정류부(40)의 정류 다이오드에 의해 차단되어 역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용접전원 제어부(20)에는 릴레이(R4)의 b접점(R4b)이 오프상태이므로 용접전원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있는 감압 트랜스(30)의 2차측 전압과 제2 정류부(45)의 출력 센싱용 전압은 차단된다.
이에따라 용접전원 제어부(20)는 용접상태가 아닌 용접토치(1)와 모재(2)간의 터치센싱 상태임을 인식하고 용접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용접전원 제어부(20)내에 도시 생략된 릴레이는 비여자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할 시에는 용접토치(1)와 모재(2)간에 센싱용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보트 제어부(10)는 다른 경로를 통해 용접토치(1)를 모재(2)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용접토치(1)가 모재(2) 있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용접토치(1)와 모재(2)간에 접촉되면 접촉과 동시에 제2정류부(45)의 출력전압은 용접토치(1)와 모재(2)를 통해 폐회로 구성되므로 부하저항(Rl)의 양단에는 기존과 같이 터치센싱 전류가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터치센싱 전류는 트랜스(15)의 2차측으로 유기되어 감지회로부(8)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 회로부(8)는 터치센싱 완료 신호를 로보트 제어부(1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로보트 제어부(10)는 감지회로부(8)의 터치센싱 완료 신호 입력 순간을 용접 초기점의 위치 데이타로 인식한후 터치센싱 제어의 한 사이클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용접 초기점의 위치 데이타로 인식한 이후 로보트 제어부(10)는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의 출력을 제한시켜 릴레이(Rl)를 오프시켜 인터록부(50)의 각 릴레이(R2)(R3)(R4)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제2정류부(45)의 센싱용 출력전압이 차단됨과 동시에 보호회로부(55)와 용접전원 제어부(20)에는 다시 감압트랜스(30)의 2차측 전압이 공급되어 용접전원 제어부(20)에서는 다른 경로를 통해 용접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용접을 실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터치센싱 작업중에는 정류된 센싱용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용접 초기점을 검색하도록 하고, 터치센싱 전압에 의한 용접 초기점을 인식한 후, 용접전원을 투입하도록 한 터치센서기능을 용접기 내부에 구성하므로서 고가의 전자 개폐기 사용을 생략할수 있는 동시 릴레이에 의한 용접제어장치를 저가로 구성할수 있고, 아울러 자동용접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회로결선등의 단순화로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성과가 있다.

Claims (1)

  1.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를 용접전원 제어부(20)로 출력하는 로보트 제어부(10)와, 상기 로보트 제어부(10)의 터치센서 신호 수신에 의해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용접전원 제어부(20)와, 상기 용접토치(1)와 모재(2)간의 폐회로 형성시에 걸리는 센싱 전압을 유기하는 부하저항(RL) 및 트랜스(15)와, 용접토치(1)와 모재(2)간의 터치 센싱전압을 감지하여 로보트 제어부(l0)에 센싱전압을 공급하는 감지회로부(8)를 구비한 용접제어장치에 있어서,
    감압트랜스(30)의 1차측과 센싱전압에 의한 2차측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센싱용 전압을 전파정류하는 제1정류부(40)와, 용접초기점 위치 센싱용 전압을 생성하는 제2정류부(45)와, 상기 제2정류부(45)의 출력을 용접토치(1)와 모재(2)에 공급 및 차단하고 로보트 제어부(10)의 터치센서 작동개시 신호 유무에 따라 터치 센서전압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인터록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제어장치.
KR2019930022710U 1993-11-01 1993-11-01 용접 제어장치 KR960001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710U KR960001529Y1 (ko) 1993-11-01 1993-11-01 용접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710U KR960001529Y1 (ko) 1993-11-01 1993-11-01 용접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16U KR950013516U (ko) 1995-06-15
KR960001529Y1 true KR960001529Y1 (ko) 1996-02-21

Family

ID=1936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710U KR960001529Y1 (ko) 1993-11-01 1993-11-01 용접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5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516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3771B1 (en) Contact status monitor
CN107848083B (zh) 用于焊接设备的节能系统、方法和设备
US5630952A (en) Plasma-arc power supply apparatus
EP0671236A1 (en) Reduced open circuit voltage power supply
KR960001529Y1 (ko) 용접 제어장치
EP0213689A2 (en) Plasma torch shutdown circuit
US560760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voltage across thyristor in alternating-current resistance welding machine
EP1738853B1 (en) Welding apparatus with a robot and a controller
JPS57168772A (en) Short circuit transfer arc welding machine
JPS6422477A (en) Power source controller for inverter type resistance welding machine
KR20000007973A (ko) 전기 용접기의 전격방지장치
KR100932696B1 (ko) 용접 모드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티아이지 용접 제어 시스템
KR950002805Y1 (ko) 아크 용접 로보트에서의 용접터치 검출회로
KR890008327Y1 (ko) 교류 아크 용접기용 전격(電擊) 방지회로
KR101106128B1 (ko) 소모 전극용 용접 장치
KR960004789B1 (ko) 저전압에서도 고감도의 용접이 가능한 전격방지기
KR100225593B1 (ko) 저항용접 제어장치
US35081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losed vessel welding operation
KR940004451Y1 (ko) 전기용접기의 디지탈제어 시스템
KR890009155Y1 (ko) 교류아크 용접기의 전기충격 방지기
KR960007157B1 (ko) 교류 아크 용접기
JPH0242387Y2 (ko)
KR200308216Y1 (ko) 교류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JP2518728B2 (ja) インバ―タ式抵抗溶接電源装置
KR200254434Y1 (ko) 감전방지 및 절전형 전기용접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