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231Y1 - 파이프 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231Y1
KR200155231Y1 KR2019970003081U KR19970003081U KR200155231Y1 KR 200155231 Y1 KR200155231 Y1 KR 200155231Y1 KR 2019970003081 U KR2019970003081 U KR 2019970003081U KR 19970003081 U KR19970003081 U KR 19970003081U KR 200155231 Y1 KR200155231 Y1 KR 200155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fluid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637U (ko
Inventor
이점주
Original Assignee
이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주 filed Critical 이점주
Priority to KR2019970003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2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틀체 및 송수관으로 사용되는 파이프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파이프 부재(1)는 그 내부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40)을 형성하고 있는 내관(20)과, 상기 내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 나선형 돌기(21)와, 상기 내관(20)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송수되는 유체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이 내관(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관(30)과, 상기 외관(30)의 내주면과 내관(20)의 외주면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관(20)과 외관(30)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다수개의 보강재(10)와, 상기 보강재(10)가 소정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성형되어 지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50)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관(30)과 내관사이에 보강재(10)에 의하여 구획되어 형성되는 공간부(50)에 의하여 그 강도가 강해지고, 외부충격이나 강한 압력등에 형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 상기 본 고안의 파이프 부재(1)를 이중관의 송수관으로 사용시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으며, 통과공(40)으로 유체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나선형 돌기(21)에 의하여 저하시키며, 공간부(50)에 의하여 그 소음을 차단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부재
본 고안은 각종 수산물 건조대나 비닐하우스의 틀체 및 송수관으로 사용되는 파이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그 강도를 높이고 또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부재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산물 건조대나 각종 비닐하우스 등은 그 틀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통나무나 쇠 파이프등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단일관으로된 파이프를 사용하기도 하며 이는 각종 송수관으로도 사용되고 있어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사용 장소에 따라 내구성 및 강도를 달리 해야 함으로 설치장소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 하여 제작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파이프 부재는 동일 단면형상의 원통형 파이프로서, 주로 제작이 편리하고 그 강도도 비교적 강한 프라스틱 재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파이프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사용자로 하여금 다루기가 불편하며 그 틀체의 사용이 불필요한 때에는 철거후 보관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동일 단면형상의 원통형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이라 사용자로 하여금 다루기가 용이하며 그 강도 또한 비교적 강한 편이나 일단 외압에 의하여 일부가 파손되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 송수관으로 사용시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내부 유체의 온도에 영향을 주게됨으로 특히 동절기 유체의 동결로 인하여 파이프의 파손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체보온의 효과를 위해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 93-20013호에서와 같이 관을 2중관으로 형성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2중관은 한겹으로 된 관체에 비하여 보온효과는 어느정도 가질 수 있었으나, 보다 강한 토압이나 수압에 견디는 허용 압력이 낮다.
또, 배수흐름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배수소음을 줄이기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하수관등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한편, 배수소음 등을 줄이기 위해 구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1-15666호에서는 2중관의 사이에는 발포층을 형성하고 관내경에 유체 안내를 위한 나선돌기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나름대로 배수소음을 줄이는 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이또한 강한 토압이나 수압에 견디는 허용내압이 적다.
또, 배수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어 주거 환경을 해치는 등, 설치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에 의해 자주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 허용강도를 증가시키고 외압에 의한 외관의 파손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유체의 흐름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켜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부재 10 : 보강재
20 : 내관 21 : 나선형돌기
30 : 외관 40 : 통과공
50 : 공간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과공(40)이 관통되어 그 내부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관(20)의 외부에 보강살(10)에 의해 연결되는 외관(30)이 2중관으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관(2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돌기(21)가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고, 상기 보강살(10)은 방사상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삼각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3각공간부(50)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관(20)과 외관(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살(10)이 삼각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압강도가 일반 파이프보다 강하며 외부의 강한 충격을 견딜수 있고, 보강살(10)들 사이에 형성된 3각공간부(50)가 소음흡수 및 단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을 송수관용 파이프로 사용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내관(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21)에 의하여 유체를 와류시켜 소음을 감소시키고 일반 파이프보다 같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그 유체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의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3은 일부 절결 정단면도로써, 본 고안을 구성하고 있는 내관(20)과 외관(30) 및 보강살(10)과 나선형돌기(21)의 형상 및 구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 고안은 파이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수산물 건조대나 각종 비닐하우스의 제작시 그 틀체로 사용되며, 송수관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부재(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 부재(1)는 건조대나 각종 비닐하우스의 틀체로 사용시 그 강도가 강하고 상,하수관용도시 부식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이프 부재(1)에는 그 내부에 통과공(40)을 형성하고 있는 내관(20)이 형성되며, 상기 내관(20)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 내관(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관(30)과, 상기 외관(30)의 내주면과 내관(20)의 외주면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관(20)과 외관 및 중관(20)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다수개의 보강살(10)가 구비 되어진 것이다.
상기 보강살(10)는 내관과 중관 외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며, 방사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식으로 교차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보강살(10)이 지그재그식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외부 압력이 작용될 때 그 압력이 내부 중앙을 향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허용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보강살(10)에 의해 얻어지는 3각공간부(50)의 형상이 도면에서와 같이 삼각단면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보강살(10)의 설치로 인하여 3각공간부(50)가 형성되어 외관(30)으로 강한외압이 가해질 때 외압을 지지함과 아울러,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외관(30) 및 내관(20)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3각공간부(50)는 외부의 냉기가 상기 내관(20)으로 전도되거나, 내부 뜨거운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보온층의 역할과 아울러, 소음차단층의 효과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3각공간부(50)는 통과공(40)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로 부터 보호함으로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 부재(1)에는 송수관으로 사용시 그 내부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40)을 구비한 내관(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나선형 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돌기(21)는 내관(20)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개가 형성되어 유체가 나선형 돌기(21)에 의하여 와류되어 지므로 유체가 흘러 가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할 수 있으며 같은 양의 유체를 나선형 돌기(21)에 의한 원활한 흐름으로 보다 빨리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외관(30)과 내관(20) 사이에 형성된 보강살(10)이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되어 외압을 분산하므로 그 강도가 강해지고, 외부충격이나 강한 압력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크게 연장된다.
또, 상기 본 고안의 파이프 부재(1)를 상하수도관으로 사용시 단열 및 보온의 효과가 있으며, 통과공(40)으로 유체가 통과 할때 발생하는 소음을 나선형 돌기(21)에 의하여 저하시키며, 3각공간부(50)에 의하여 그 소음을 차단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과공(40)이 관통되어 그 내부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관(20)의 외부에 보강살(10)에 의해 연결되는 외관(30)이 2중관으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관(2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돌기(21)가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고, 상기 보강살(10)은 방사상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삼각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3각공간부(50)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
KR2019970003081U 1997-02-25 1997-02-25 파이프 부재 KR200155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81U KR200155231Y1 (ko) 1997-02-25 1997-02-25 파이프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81U KR200155231Y1 (ko) 1997-02-25 1997-02-25 파이프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37U KR19980058637U (ko) 1998-10-26
KR200155231Y1 true KR200155231Y1 (ko) 1999-08-16

Family

ID=1949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081U KR200155231Y1 (ko) 1997-02-25 1997-02-25 파이프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2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15A (ko) * 2001-08-18 2003-02-26 김흥대 합성수지 파이프
KR100537939B1 (ko) * 2003-03-28 2005-12-20 최군휘 공기를 이용한 구조물의 프레임
KR100739501B1 (ko) * 2005-11-03 2007-07-13 김학건 보강형 다중 구조의 코러게이트관
EP3702713A4 (en) 2017-10-27 2021-11-24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IMPROVED HEAT TRANSFER PIPE AND PYROLYSIS FURNACE AND ATMOSPHERIC AND VACUUM HEATING FURNACE W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37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7743C (en) Prefabricated heat-insulation panel with two hot water flow paths
WO2002048631A3 (en) Corrugated heat exchanger element having grooved inner and outer surfaces
KR200155231Y1 (ko) 파이프 부재
KR200155230Y1 (ko) 파이프 부재
CN102954589B (zh) 热水器进水管组件和具有其的热水器
CN212131562U (zh) 一种ppr复合保温管
CN209909406U (zh) 一种新型水管
CN215928677U (zh) 一种金属包覆增强塑胶管材
CN214008342U (zh) 一种隔热耐腐蚀消音用成型管件
CN201206870Y (zh) 一种承压式热泵热水储水箱
CN208348760U (zh) 一种易于拼装的隔热耐高温塑料管
CN219389049U (zh) 一种设有单管双通隔热结构的pp管
CN215724350U (zh) 一种带有引流结构的防结露用冷却水管
CN201138051Y (zh) 储水式电热水器
CA2299734A1 (en) Convection heat trap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12480384U (zh) 一种抗冻性能好的pe塑料管
CN213145648U (zh) 一种耐候性强可收缩塑料管道
JPS5818054A (ja) 貯湯槽
CN2172853Y (zh) 夹层暖气筒
CN215173295U (zh) 镂空保温管
CN208017991U (zh) 一种防冻消防栓
KR20040031801A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387639Y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JPS5840138Y2 (ja) 水道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