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099Y1 -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099Y1
KR200154099Y1 KR2019970027194U KR19970027194U KR200154099Y1 KR 200154099 Y1 KR200154099 Y1 KR 200154099Y1 KR 2019970027194 U KR2019970027194 U KR 2019970027194U KR 19970027194 U KR19970027194 U KR 19970027194U KR 200154099 Y1 KR200154099 Y1 KR 200154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plate
rice cooker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878U (ko
Inventor
김두태
Original Assignee
조기형
라니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형, 라니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기형
Priority to KR2019970027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0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밥솥이 얹혀지는 작동판의 상면에 밥솥이 놓이는 정확한 위치에 밥솥밑면의 넓이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를 양측에 형성하며, 상기 작동판이 위치하는 본체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작동판을 밀어주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측에는 상기의 안내 돌기가 얹혀져서 삽입 또는 토출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이 내장된 위치의 본체에는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동판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회전 리미트 스위치와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하여 작동판이 완전이 토출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체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을 상부의 세척부로 부터 공급받아 밥을 짓는 동작은 물론, 밥을 익히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가 취사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밥솥을 고정판에서 분리하여 사용한 후 고정판에 다시 놓을때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본 고안은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 저장고로부터 계량부를 거치고 세척 용기에서 세척한 쌀을 밥솥으로 정확히 공급받도록 하는 동시에 공급된 쌀로 취사를 수행할 때 증기가 취사기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밥솥의 정확한 위치지정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쌀통에 쌀을 보관한 상태에서 밥짓기를 하기 위하여 쌀통의 쌀을 추출하여 사람이 직접 씻어서 밥솥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취사를 수행하여야 하였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쌀을 사람이 직접 세척하여 밥솥에 넣은 후 밥물을 조절하면서 취사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취사방법에 의하여서는 사람이 직접 쌀을 씻는 과정 중에 너무 세게 세척하면 쌀눈이 없어져서 귀중한 영양분을 버리게 되거나 쌀이 부서지는 단점이 있으며, 시각과 감각에 의해 감각적으로 밥물을 조절하는 상태임은 물론 사람의 수가 변화하여도 취반량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없으며, 적절한 물량의 조절도 어려워 된밥, 진밥 또는 보통밥의 종류에 따른 밥맛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나 외출 등으로 인해 제때에 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취반기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1996년 4월 29일자 특허출원 제 96-13499호(전자동 취사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또한 본 출원인은 1996년 12월 31일자 실용신안출원 제96-67952호(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를 제안하였는바, 제1도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밥솥(101)이 얹혀지는 작동판(102)의 저면에는 안내돌기(103)(104)를 양측에 형성하면서 그 중앙에는 랙 기어(105)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105)의 후단에는 로울러(106)를 설치하여 작동판(102)이 삽입되거나 토출될 때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작동판(102)이 위치하는 자동 취사기의 본체(107)에는 구동 모터(108)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09)를 상기의 랙 기어(105)와 치합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110)(111)을 형성하고, 상기 자동 취사기 본체(107)의 작동판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의 본체(107)에는 제2리미트 스위치(113)을 설치하여 작동판(102)에 밀리는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로 작동판(102)이 완전히 토출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장치에서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밥솥의 뚜껑에 형성한 쌀공급장치를 통하여 세척된 쌀을 밥물과 함께 공급받는 중에는 밥솥이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어야 하고, 취사를 하는 중에 증기가 배출되는 경우이거나 취사가 완료되어 내부의 밥을 퍼낼 경우에는 밥솥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에 기술한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에 의해서 수행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는 세척장치에서 쌀의 세척이 완료되어 밥솥의 뚜껑에 형성한 쌀공급장치를 통하여 세척된 쌀을 밥물과 함께 공급받기 위해 밥솥이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밥솥위치가 정확히 놓여 지지 않을 경우 쌀과 물이 제대로 투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취사를 하는 중에 배출되는 경우이거나 취사가 완료되어 내부의 밥을 퍼낼 경우에는 밥솥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랙 기어 장치에 의한 구성으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작비가 상승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밥솥의 위치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를 간단히 하고, 제작비가 적게 들도록 구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는 밥솥이 얻혀지는 작동판의 상면에 밥솥이 놓이는 정확한 위치에 밥솥 밑면의 넓이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를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이 위치하는 본체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작동판을 밀어주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양측에는 상기의 안내 돌기가 얹혀져서 삽입 또는 토출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이 내장된 위치의 본체에는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동판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회전 리미트 스위치와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하여 작동판이 완전히 토출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체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을 상부의 세척부로 부터 공급받아 밥을 짓는 동작은 물론, 밥을 익히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가 취사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밥솥을 고정판에서 분리하여 사용한 후 고정판에 다시 놓을때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를 자동 취사시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작동판
5 : 안내홈 6 : 구동모터
7 : 회전체 8 :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것으로, 밥솥(11)이 얹혀지는 작동판(3)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4, 4a)를 양측에 형성하면서 상면에 밥솥(11)이 놓여 지는 위치에 밥솥(11)밑면의 지름만큼 안내홈(5)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판(3)이 위치하는 자동 취사기의 본체(1)에는 구동모터(6)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7)를 작동판(3)의 배면(3a)과 닿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자동 취사기 본체(1)의 양측에는 상기의 안내 돌기(4, 4a)가 얹혀져서 슬라이드 되면서 작동판(3)이 삽입 또는 토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2, 2a)을 형성하고, 상기 자동 취사기 본체(1)의 안쪽에 작동판(3)의 내면과 접하는 위치에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8)를 설치하여 작동판(3)이 완전히 삽입되면 온되어 삽입여부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자동 취사기 본체(1)에 설치된 구동모터(6)의 회전체(7)가 회전하여 작동판(3)을 토출시킨 후 회전체(3)를 원위치 시키기 위한 회전 리미트 스위치(9)와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10)를 본체(1)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위치하는 세척장치에서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밥솥의 뚜껑에 형성한 쌀 공급장치를 통하여 세척된 쌀을 밥물과 함께 공급받는 중에는 밥솥(11)이 본체(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어야 하고, 취사를 하는 중에 증기가 배출되는 경우 이거나 취사가 완료되어 내부의 밥을 퍼낼 경우에는 밥솥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세척된 쌀과 밥물을 공급받아 취사를 하기 위해 밥솥(11)을 작동판(3)위의 안내홈(5)에 놓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작동판(3)을 사람의 손으로 직접 안으로 미는 동작을 하여 밥솥(11)이 얹혀진 상태로 작동판(3)의 저면에 안내돌기(4, 4a)가 자동취사기 본체(1)의 가이드홈(2, 2a)에 얹혀진 채 슬라이드하면서 자동 취사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의 작동판(3)을 끝까지 삽입하여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8)가 온되도록 한다. 이때 온된 상태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외관에 LED등으로 나타나게 한다. 그리고, 쌀과 밥물을 공급받아 취사를 시작한다.
취사를 수행하고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여 증기가 배출되는 때가 되거나, 밥솥의 밥을 퍼낼 경우에 구동모터(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체(7)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작동판(3)은 회전체(7)에 의해 작동판(3)의 배면(3a)이 긴밀히 접하여 밀려지게 되고, 작동판(3)은 가이드홈(2, 2a)에 얹혀진체 슬라이드 하면서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구동모터(6)가 정방향 회전하여 회전체(7)의 일측이 회전 리미트 스위치(9)에 닿게 되면 온시켜 구동모터(6)가 정방향으로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모터(6)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체(7)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회전체(7)가 회전중에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10)에 닿게 되면 구동모터(6)의 역방향 회전을 멈추게 된다.
본 고안의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는 밥솥이 얹혀진 작동판의 저면 양측에 안내 돌기를 형성하면서 상면에는 밥솥이 놓이는 정위치의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이 위치하는 본체에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양측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에는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동판이 정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를 인식하고, 회전 리미트 스위치와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서 작동판을 토출시키는 동작을 하여 쌀을 상부의 세척부로 부터 공급받아 밥을 짓는 동작은 물론, 밥을 익히는 동안 발생되는 증기가 취사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밥솥을 상기의 작동판에서 분리하여 사용한 후 다시 정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상면의 안내홈(5)에 밥솥(11)이 얹혀지는 작동판(3)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4, 4a)를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판(3)이 위치하는 자동 취사기의 본체(1)에는 구동모터(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7)가 작동판(3)의 배면(3a)과 접할 수 있도록 하고,상기 본체(1)의 양측에는 상기의 안내 돌기(4,4a)가 얹혀지는 가이드홈(2, 2a)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안쪽 작동판(3)의 내면과 접하는 위치에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8)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7)를 원위치 시키기 위한 회전 리미트 스위치(9)와 원위치 리미트 스위치(1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KR2019970027194U 1997-09-30 1997-09-30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KR200154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94U KR200154099Y1 (ko) 1997-09-30 1997-09-30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94U KR200154099Y1 (ko) 1997-09-30 1997-09-30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78U KR19990013878U (ko) 1999-04-26
KR200154099Y1 true KR200154099Y1 (ko) 1999-08-02

Family

ID=1951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194U KR200154099Y1 (ko) 1997-09-30 1997-09-30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78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5573B2 (en) Appliance timer
JPS63226397A (ja) 洗濯機等の洗剤供給装置
KR200154099Y1 (ko)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KR200152962Y1 (ko)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US3321588A (en) Automatic control means
CN110005864B (zh) 一种食品加工机用排液阀及食品加工机
KR200309747Y1 (ko) 세미부의 기능이 향상된 자동취사기
IT9020555A1 (it) Meccanismo elettromeccanico di comando a programma
KR200188256Y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516455B1 (ko) 세미부의 기능이 향상된 자동취사기
JPH11123144A (ja) 紅茶液抽出装置
US3552115A (en) Interval timer for providing a fixed and locked timed cycle
CN213962928U (zh) 一种横移出料机构及智能炒菜机
JP3662914B2 (ja) 給茶機
JP4200620B2 (ja) 洗米炊飯装置
KR930006197Y1 (ko) 자동세척 및 밥솥을 겸한 쌀통
KR200144695Y1 (ko) 자동 취사기의 쌀 세척 용기
KR19990013879U (ko) 자동 취사기의 무선 제어장치
KR890005414Y1 (ko) 자동 취사기
KR880001320Y1 (ko) 커피 자동 판매기용 커피잔 자동인출장치
JP2521825B2 (ja) 自動製氷機
KR0135742B1 (ko) 전자동 전기 취반장치의 세미방법
KR19980054756U (ko) 자동 취사기의 센서
JPS5933353Y2 (ja) 自動洗濯機の制御装置
KR880002400Y1 (ko) 전자 오븐 렌지의 회전조리구의 축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