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964Y1 -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964Y1
KR200153964Y1 KR2019950008833U KR19950008833U KR200153964Y1 KR 200153964 Y1 KR200153964 Y1 KR 200153964Y1 KR 2019950008833 U KR2019950008833 U KR 2019950008833U KR 19950008833 U KR19950008833 U KR 19950008833U KR 200153964 Y1 KR200153964 Y1 KR 200153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work
stability
equipment
weigh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520U (ko
Inventor
권대근
Original Assignee
캐빈엡.리어든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빈엡.리어든,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filed Critical 캐빈엡.리어든
Priority to KR2019950008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964Y1/ko
Publication of KR960034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장비인 인양작업장치에 있어서 특히 무거운 고 하중의 물체에 대한 작업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전후 안정도가 양호한 장비는 화물을 완전히 들어올린 상태에서 포오크의 각도를 후방으로 틸트하면 좌,우 안정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따라서 종래의 장비에서는 인양높이가 표준 이상으로 높일 경우 좌,우 안정도 때문에 후방 틸트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장비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래크에 작용되도록 양측에 피니언이 설치되어 수평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인과 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으로 구성된 조절장치로 구성된 자체 조절장치에 의하여 장비의 전,후 안정도와 좌,우 안정도를 향상시킨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조절장치가 장착된 인양작업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조절장치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양작업장치 110 : 포오크
120 : 조절장치 121 : 웨이트
122 : 피니언 123 : 체인
124 : 래크 125 : 구동스프로켓
126 : 스프로켓 127 : 구동모터
128 : 방향전환스위치부 129 : 전원
본 고안은 산업용 장비인 인양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거운 고 하중의 물체에 대한 작업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이소의 원리를 이용한 인양작업장치는 앞바퀴를 중심으로 후측방의 장비무게 및 카운터 웨이트의 무게에 따라 전방의 포오크에 의해 들 수 있는 화물의 무게가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전후 안정도가 양호한 장비는 화물을 완전히 들어올린 상태에서 포오크의 각도를 후방으로 틸트하면 좌,우 안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앞바퀴의 윤간거리보다 뒷바퀴의 윤간거리가 작을 수 밖에 없는 인양작업장치의 구조적 특성 때문이다.
즉, 화물을 완전히 들어올려 후방으로 틸트하면 무게 중심이 뒤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도 구배는 작아져 불안정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장비에서는 인양높이를 표준 이상으로 높일 경우 좌,우 안정도 때문에 후방 틸트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장비의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자체 조절장치에 의하여 장비의 전,후 안정도와 좌,우 안정도를 향상시킨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장비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작용되도록 양측에 피니언이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무게중심의 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웨이트를 구성요소로 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구동모터와 체인과, 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적정 중량을 갖는 웨이트의 전방향 이동이나 후방향 이동을 통하여 장비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안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웨이트가 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장비의 전후안정도가 향상되며, 웨이트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면 포오크에 화물을 적재한 후 뒤로 틸트하였을때 뒤로 이동하는 무게중심을 보상할 수 있게 되므로 장비의 좌우안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방에 화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포오크(110)와 상기 포오크(110)에 의한 화물 인양시 장비의 안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120)가 장착된 인양작업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 조절장치(120)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조절장치(120)는 무게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비의 안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분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양측에 피니언(122)이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무게중심의 변화를 주는 웨이트(121)와, 상기 웨이트(121)의 원활한 전후이동을 위하여 장비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래크(124)를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중앙의 고정부(121a)에 의해 웨이트(121)와 결합된 구동용 체인(123)과; 상기 구동용 체인(123)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켓(125)과 상기 체인(123)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타측에 설치된 스프로켓(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125)은 구동모터(127)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모터(127)는 방향전환 스위치부(128)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직류전원(129)를 사용하는 직류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제2도에서 구동스프로켓(125)이 구동모터(127)에 의하여 구동되면 체인(123)은 상기 구동스프로켓(125)과 타측의 스프로켓(126)에 맞물리어 작동이 된다.
따라서 고정부(121a)에 의해 상기 체인(123)에 고정되어 있는 웨이트(121)는 상기 구동스프로켓(1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조절은 방향전환스위치부(128)의 작동으로 구동모터(127)의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줌으로서 전,후방향 조절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 체인(123)의 구동에 따라 상기 웨이트(121)는 양측의 피니언(122)과 장비의 하우징에 고정설치된 래크(124)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수평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웨이트(121)가 장비의 후륜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장비의 무게중심이 따라서 후측으로 옮겨가게 되므로 전,후 안정도가 향상되게 된다.
역으로 웨이트(121)가 전륜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화물을 적재한 후 뒤측으로 틸트하였을때 뒤로 가는 무게중심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좌,우 안정도가 향상되게 된다.
즉 장비의 전륜의 윤간거리가 후륜보다 크므로 화물적재 후 틸트한 상태에서 전륜측 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므로 좌,우 안정도를 높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장비의 사용시 표준인양높이 이상에서 제한되는 후경각을 제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범위가 매우 향상되며 아울러 안정감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인양작업장치의 화물 인양작업시 장비의 전,후 안정도 및 좌,우 안정도를 서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안전한 화물인양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륜의 윤간거리가 후륜에 비해 비교적 크게 구성되어 지지되며, 전륜부 측에 틸드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인양작업용 포오크가 구비된 통상의 인양작업장치에 있어서, 전륜방향으로 이동시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좌,우 안정도를 향상시키며, 후륜방향으로 이동시 전,후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비의 무게중심을 이동하도록 하는 웨이트(121)를 포함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을 적정하게 조절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수단은 중앙의 고정부(121a)에 의해 구동 체인(123)의 일측에 고정되고, 양측에 피니언(122)이 구비된 웨이트(121)와; 본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122)과 작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래크(124)를 구성요소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웨이트(121)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23)과 상기 체인(123)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켓(125)과 상기 구동스프로켓(125)의 타측에서 체인(123)의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로켓(126) 및 상기 구동스프로켓(12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KR2019950008833U 1995-04-27 1995-04-27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KR200153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33U KR200153964Y1 (ko) 1995-04-27 1995-04-27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833U KR200153964Y1 (ko) 1995-04-27 1995-04-27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20U KR960034520U (ko) 1996-11-19
KR200153964Y1 true KR200153964Y1 (ko) 1999-08-02

Family

ID=1941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833U KR200153964Y1 (ko) 1995-04-27 1995-04-27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9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20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8786A1 (en) Hand truck with electrially operated lifting platform
EP1325883A1 (en) Forklift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WO1991001938A1 (en) Narrow aisle lift truck
US4902190A (en) Fork positioning attachment for lift trucks
EP1329174A1 (en) Power-assisted movable rack
KR200153964Y1 (ko) 전.후 및 좌.우 안정도 조절장치가 부설된 인양작업장치
CN110589402B (zh) 一种大型货物运输锁定装置
CN109896469B (zh) 托盘搬运车
JP201320180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走行モータ用の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ォークリフト
CN114954721A (zh) 机器人
KR100196673B1 (ko) 피더에 있어서의 피드아암 구동구조
CN110987296A (zh) 高空作业平台的平衡控制方法、系统以及高空作业平台
CN217578216U (zh) 一种配重结构及三向叉车
JP2013163457A (ja) 二輪倒立型ロボット用転倒防止装置
CN210915194U (zh) 可跨档变速的驱动机构及agv
CN212473728U (zh) 一种具有驻车功能的轮式机器人
CN210000345U (zh) 动力辅助装置及具有该动力辅助装置的手推车
CN111923061B (zh) 轮式运输机器人
US3273665A (en) Running gear arrangement for industrial trucks
CN212601862U (zh) 一种轮式运输机器人
US3043460A (en) Lift trucks with lift means transl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he vehicle
CN111941434B (zh) 多功能轮式运载机器人
KR20230105796A (ko) 전동운반카트
KR102390857B1 (ko) 마스트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차
JP4578857B2 (ja) 昇降キャリッジのティル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