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527Y1 -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 Google Patents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527Y1
KR200153527Y1 KR2019960017389U KR19960017389U KR200153527Y1 KR 200153527 Y1 KR200153527 Y1 KR 200153527Y1 KR 2019960017389 U KR2019960017389 U KR 2019960017389U KR 19960017389 U KR19960017389 U KR 19960017389U KR 200153527 Y1 KR200153527 Y1 KR 200153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key cap
conical
key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202U (ko
Inventor
라우란체 타시
Original Assignee
창 마이크
신지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마이크, 신지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창 마이크
Priority to KR2019960017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527Y1/ko
Publication of KR980005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며 간단한 기계조립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를 제공한다. 기판(80)의 상면에 플레이트(40), 개폐수단(60) 및 키보드형 전기 회로(70)를 고정 설치하여, 전기회로의 각각의 키 캡(30)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전 접점(71)을 설치하고, 각각의 키 캡과 플레이트 사이에 신축판(50)을 부착하여, 키 캡을 누르면 신축판이 키 캡을 원래의 자세로 유지하여 수축 작동함과 동시에, 개폐수단이 눌려져 통전 접점과 접촉하고, 키캡에 대한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면, 개폐수단의 탄성에 의해 키 캡과 신축판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신축판(50)을 두개의 암(51,52)으로 형성하여, 두개의 암(51,52)을 각각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531,534) 및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보다 폭넓은 상면 개방형태의 오목한 감합홉(533,532)에 의해 교차형태로 원추형 접합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제1도는 종래 대만 특허 제 83204123 호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제1실시예의 입체 분해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신축판의 정상 상태의 표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입체 사시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키 캡이 가압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신축판이 가압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제2실시예의 신축판 입체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키 캡 40 : 플레이트
50 : 신축 판 51,52 : 제 1,2 암
60 : 개폐수단 70 : 전기 회로
71 : 통전 접점 80 : 기판
531,534 : 제1,2 추지 돌기 532,533 : 제1,2 감합홈
본 고안은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키의 키 캡의 바닥면 중앙부에 로드체를 설치하고, 이 키 캡을 누르면 로드체가 도전고무를 압압하고, 이에 의해 필름형 전기 회로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가, 빠른 동작으로 키 캡을 운영할 경우, 때때로 키 캡의 측면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를 눌러 버려, 로드체를 확실히 수직방향으로 눌러 내릴 수 없게 되고, 회로가 전혀 도통하지 않는 경우가 생김과 동시에, 눌러 내린 키 캡을 로드체의 주변에 설치한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므로, 키보드를 박형화하여 보다 휴대하기 간편한 컴퓨터, 예를 들면 포켓형 컴퓨터에 적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만 특허 제 96222 호「다리형 컴퓨터 키 스위치」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다리형 컴퓨터 키 스위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캡(11), 신축판(2), 플레이트(13), 키 패드(14), 필름형 전기회로(15) 및 기판(16)의 조합체로 형성되며, 신축판(2)은 평행사변형 모양의 두개의 암(21,22)의 각각 중단 부위를 팬터 그래프 모양으로 서로 교차 추접하여 형성되며, 즉, 한쪽 암(21)의 두개의 평행측 외측면의 중단 부분에 각각 원추형 구멍(211)을 돌출 설치하면, 다른 쪽 암(22)의 양 평행 측판의 내측면의 중단부분에 각기 서로 대향하는 추축(221)을 연장 설치하여, 상기 한쪽 암(21)의 원추형 구멍(211)에 원추형 삽입하고, 두개의 암(21,22)의 상단을 각각 상기 키 캡(11)의 바닥면에 설치된 긴 테(111) 및 키 캡(11)의 긴 수납부와 리브(113)의 사이에 원추형 접합하고, 두개의 암(21,22)의 하단을 플레이트(13)의 상면 걸어 멈춤부재(131) 및 걸림쇠(132)에 원추형 장착하고, 이에 따라 신축판(2)의 상,하단 네가장자리를 통하여 키 캡(11)과 플레이트(13)의 사이에 상하 신축가능하게 장착하여, 거의 사변형상의 링기구로 형성하고, 키 캡(11)의 바닥면 중앙부에 설치한 헤드 로드(12)(하단이 실리콘 고무등의 연질 탄성체로 이루어진 키 패드(14)로 형성된 니플(12B)에 의해 탄성지지됨)로 키 캡(11)을 안정된 형태로 지지하고, 키 캡(11)의 측면 가장자리 또는 측면 가장자리를 눌러도 키 캡(11)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상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키의 높이를 크게 낮추어 전체 키보드를 박형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신축판(2)을 두개의 암(21,22)의 추공(211)과 추축(221)을 탄성변형시켜 서로 끼워 삽입시킨 상태에서 교차 원추형 접합하므로, 조립 작업이 비교적 번잡하고, 수공 작업이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에서 문제점에 비추어,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고 간단한 기계 조립작업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판 상면에 플레이트, 개폐수단 및 필름형 전기 회로를 고정 설치하여, 이 전기 회로의 각 키 캡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전 접점을 설치하고, 키 캡과 각 플레이트 사이에 신축판을 장착하여, 키 캡을 누르면, 신축판이 키 캡을 원래의 자세로 유지되어 하강 수축함과 동시에, 개폐수단이 눌려져 통전 접점과 접촉하며, 반대로 키 캡의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면, 개폐수단의 탄성에 의해 키 캡과 신축판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신축판을 평행사변형 모양의 두개의 암에의해 형성하여, 그 한쪽 암의 양 평행측판의 내측면의 적당한 곳에, 각각 회전가능한 돌기 및 상면의 개방 형태의 오목한 감합홈을 설치하고, 다른쪽 암의 두개의 평행측 외측면의 적소에 각각 상기 추지 돌기 및 오목하게 감긴홈과 대응하는 상면의 개방형태의 오목한 감합홈 및 추지돌기를 형성하여,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과 대응하는 상면 개방형의 원추형 돌기를 형성하여,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의 폭을 각각 추지 돌기의 폭보다 적당히 크게 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추지돌기가 각각의 대응하는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에 위쪽으로 아주 쉽게 끼워넣어질 수 있어 양쪽의 암을 교차시켜 원추형 접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 캡의 바닥면의 한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적당한 간격마다, 양쪽의 회전가능하게 하는 정지체를 돌출 설치하고, 다른쪽 가장자리에는 적당한 간격마다 한쌍의 정지체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추지체 및 상기 정지체와 대응하는 추지체를 돌출 설치하여, 상기 신축판의 한쪽암을 그 한쪽 끝에 형성된 연접된 축을 상기 키 캡의 추지체에 눌러 넣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일단에 형성된 축간을 상기 플레이트의 정지체에 원추형 장착함으로서, 상하 요동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신축판의 타단의 암을 일단에 형성된 축간을 플레이트의 추지체에 눌러 넣어 원추형 접합시켜, 타단에 형성된 연결되어 접합된 축을 키 캡의 정지체내로 추지 원추형 장착함으로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신축판이 키 캡을 원래의 자세로 상하 신축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면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신축판의 한쪽 암의 양쪽 평행측 판내축면의 적당한 곳에 각각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 및 상면 개방 형태의 오목한 감합홈을 설치하여, 타방의 암의 양 평행축 판의 외축면 적당한 곳에 각각 상기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 및 오목한 감합홈과 대응하는 상면 개방 상태의 오목한 감합홈 및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를 형성하고,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의 폭을 각각의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의 폭보다도 적당히 크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타방의 암을 약간 탄성 변형시켜 한쪽 암의 판내로 넣어 다시 일방의 암과 교차하도록 바로 잡으면, 각각의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를 각각의 대응하는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에 윗쪽으로부터 끼워 넣는 것이 아주 용이하며, 따라서, 이 두개의 암을 교차시켜 원추형으로 접합하는 것이 극히 간단해진다. 또한, 신축판은 그 상하단면의 사각의 각을 각각 단순한 누르는 조작으로 키 캡이 바닥면 및 플레이트의 상면에 원추형 접합하므로, 이 신축판을 키 캡과 암사이에 장착하는 것이 간단 용이한 것은 물론, 이 키 캡(30)을 눌러 하강하면, 신축판은 키 캡을 원래의 자세로 유지시켜 상하 신축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의 형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는 대체로 키 캡(30), 플레이트(40), 신축판(50), 개폐수단(60), 전기회로(70) 및 기판(80)을 구비하며, 그 위에, 키 캡(30)은 상향 개구의 ⊃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단면의 중앙부에 미세하게 완만한 홈을 형성시켜 사방측 가장자리로 약간 올라가도록 설치하고, 이 바닥부를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하여, 중앙부를 로드체(31)를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그 한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적당한 간격 마다 한쌍의 굴절형태의 정지체(33)를 돌출 설치한다.
플레이트(40)는 원추형체를 나타내어, 그 거의 중앙부에 상하 관통된 구멍(41)을 뚫어 설치하고, 상기 키 캡(30)의 원추형체(32)와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같은 형태의 원추형체(42)를 돌출 설치하여 이 원추형체(42)의 중앙부에 단면원형 구멍이나 경사 절결구(421)가 비교적 좁은 폭의 끼워 붙이는 홈(422)을 설치하고, 상기 정지체(33)와 대응하는 부위에도 각각 굴절형태의 정지체(43)를 돌출 설치하고, 플레이트(40)의 바닥면에 끼워 붙이는 요부(44)를 오목하게 설치한다.
신축판(50)은 제2도, 제5도,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사면형의 제1암(51) 및 제2암(52)을 교차시킨 모양으로 끼워 접합하여, 제1암(51)의 두개의 평행축 판(511)의 일단을 원형단부(512)에 설치하여, 이 두개의 원형단부(512)의 사이를 연접축(513)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접축(513)의 외경을 상기 키 캡(30)의 원추형 정지체(32)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이 두개의 평행측 판(511)의 타단을 축간(514)에 의해 연결하며, 이 축간(514)의 양단을 두개의 평행축판(511)의 외축면으로 뻗게 하여, 상기 플레이트(40)의 정지체(43)내로 추지 원추형 접합시켜, 제1암(51)이 축간(514)을 축으로 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제2암(52)은 동시에 두개의 평행측판(521)을 구비하여, 두개의 평행측 판(521)의 제1암(51)의 연접축(513)과 대응하는 일단을 동시에 원형단부(522)에 형성하여, 두개의 원형 단부(522)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뻗은 축간(523)을 돌출 설치하여, 축간(523)의 외경을 플레이트(40)의 상면의 원추형 전지체(42)에 대응시켜 이 원추형 정지체(42)의 경사진 절결구(421)로부터 눌러 넣어 끼워 붙이는 홈(422)에 원추형 장착됨과 동시에, 이 제2암(52)의 두개의 평행측판(521)의 타단의 각각 내측면에 직각 내향으로 연접축(524)을 돌출 설치하여, 연접축(524)을 키 캡(30)의 정지체(33)내에 추지 원추형 접합시켜, 제2암(52)이 요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신축판(50)은 원추형 접합수단(53)을 구비하여, 제1암(51)의 두개의 평행측 판(511)의 내측면의 적당한 곳에 각각 제1원추형으로 지지되는 돌기(531) 및 제1오목한 감합홈(532)을 설치하고, 제1원추형 지지 돌기(531)를 평행측판(511)의 내측면으로 부터 적당한 길이만큼 돌출 설치시켜, 제1오목한 감합홈(532)을 상면 개방상태로 형성한다. 제2암(52)은 그 두개의 평행측판(521)의 외측면의 적당한 곳에 각각 제1원추형 돌기(531) 및 제1오목한 감합홈(532)과 대응하는 제2오목한 감합홈(533) 및 제2원추형 돌기(534)를 형성하여, 제2원추형 돌기(534)를 평행측판(521)의 외측면으로부터 적당한 길이만큼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제2오목한 감합홈(533)을 상면 개방형태로 설치하고, 제1오목한 감합홈(532)의 폭을 제2원추형 돌기(534)의 폭보다 적당히 크게 하여, 제2오목한 감합홈(533)의 폭을 제1원추형 돌기(531)의 폭보다 적당히 크게 하고, 제1,2암(51,52)의 서로 상응하는 평행측판(511,521)을 쉽게 교착시켜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각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531,534)가 각각의 상응하는 오목한 감합홈(533,532)에 대하여, 윗쪽으로부터 오목 볼록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형태에 의해 제2암(520)을 약간 탄성변형시켜 제1암(51)의 판내로 넣어 다시 이 제1암(51)과 교차하도록 하는 상태로 정정하면, 제1,2암(51,52)에서의 서로 대응하는 평행측판(511,521)을 극히 용이하게 교차시켜 끼워넣어, 상하 신축작동가능한 상태로 일체로 조립할 수 있다.
개방수단(60)은 고정체(61) 및 접촉체(62)을 구비하여, 고정체(61) 및 접촉체(62)를 각각 연질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접촉체(62)를 고정체(61)의 상단에 돌출 설치하여, 고정체(61)와 일체로 상기 플레이트(40)의 관통구멍(411)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여, 접촉체(62)의 위에는 작고 아래는 큰 형상을 나타내, 그 상단에 키 캡(30)의 로드체(31)가 끼워넣어 연결되는 가운데가 빔 원통형상의 연결부(63)를 형성하고, 동시에 연결부(63)의 바닥면의 중앙부에 돌출 기둥(64)을 수직으로 돌출 설치하고, 개폐수단(60)이 압력을 받으면, 돌출된 기둥(64)이 아랫쪽의 필름형 전기 회로(70)의 통전 접전(71)을 눌러 전기를 통하게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 전기회로(70)는 종래의 필름형 전기 회로판으로서, 그 상면에는 여러개의 설정된 키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통전 접점(71)을 설치하고, 이 전해회로(70)를 상기 플레이트(40)의 끼워 붙이는 오목부(44)에 장착하면, 각각의 통전 접점(71)이 개폐수단(60)의 각각의 접촉체(62)의 돌출된 기둥(64)과 대응하여, 접촉체(62)가 압력을 받으면, 돌출된 기둥(64)이 통전 접점(71)에 접촉하여, 통전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기판(8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40), 개폐수단(60), 전기회로(70)등을 견고하게 조립하여 키보드를 형성한다.
즉, 상기 각각의 부재의 구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기판(80), 전기회로(70), 개폐수단(60) 및 플레이트(40)를 일체로 조립하면, 상기 접촉체(62)를 플레이트(40)의 통전 구멍(41)의 상면에 돌출 설치시킬 수 있고, 다음으로, 상기 긴 축판(50)의 제1,2암(51,52)을 올록 볼록하게 끼워 맞추어 교차 결합시키고, 여기에 제1광플레이트(51)의 연결축(513)을 키 캡(30)의 원추형지지체(32)에 원추형으로 장착하여, 제1암(51)의 축간(514)을 플레이트(40)의 정지체(43)에 원추형 걸어 멈춤함으로서, 제1암(51)을 상하 요동가능하게 부착시킴과 동시에, 제2암(52)의 축간(523)을 플레이트(40)의 원추형으로 지지체(42)에 원추형 장착시켜 걸어 멈춤시키므로서, 제2암(52)의 연결축(524)을 키 캡(30)의 정지체(33)에 원추형 계착함으로서, 제2암(52)을 상하 요동 가능한상태로 부착하여, 조립 완성하는 것이며, 이 때, 접촉체(62)는 신축판(50)의 서로 교차하여 끼워 맞추는 두개의 암(51,52)이 둘러싼 중앙 공간으로부터 뻗어나와, 그 연결부(63)를 키 캡(30)의 로드체(31)에 끼워 맞춤 연결되고, 연결부(63)의 바닥면의 돌출된 기둥(64)이 아랫쪽의 전기회로(70)의 통전접점(71)과 대응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판(50)은 원추형수단(53)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올록 볼록하게 끼워 맞추어 일체로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축판(50)의 상,하면의 네각을 간단한 누름 또는 추지 조작으로 키 캡과 플레이트 사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다른쪽 부재와 함께 조립작업이 완전히 간단한 기계화 자동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 시간을 단축시켜, 상대적으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3도, 제4도, 제7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축판(50)이 상하 단면의 네 각에 의해 키 캡(30) 및 플레이트(40)사이에 연결 접합되어 있으므로, 키 캡(30)이 압력을 받아 하강하면, 로드체(31)가 이 연결부(63)를 통하여, 접촉체(62)를 눌러 내리고, 이 때, 신축판(50)과 키 캡(30) 및 플레이트(40)의 상대 작동에서, 신축판(50)의 제1,2 플레이트(51,52)의 원추형수단(53)에 있어서, 원래의 두개의 오목한 감합홈(533,532)의 각각 최측변에 부분 공간을 남기도록(제4도,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의 상응면이 접촉된 상태로 각 오목한 감합홈(533,534)내에 위치시키고 있는 두개의 암(51,52)의 각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531,534)가, 키 캡(30)이 압력을 받아 하강함에 따라, 각 축간(514,523)이 각각 긴축판(40)의 정지체(43)내 및 원추형 정지체(42)내에서 회동하는 것, 및 각 연결부(513,524)가 각각 키 캡(30)의 원추형 정지체(32) 및 정지체(33)내에서 회동하는 것, 및 두개의 암(51,52)에도 상향 이동의 벡터가 생기는 것으로 부터,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533,532)내에서 떨어져 이동하여,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533,532)의 상대측에 접점 공간을 비우게 되고(제7도, 제8도를 참조), 즉 신축판(50)이 키 캡(30)을 원래의 자세로 유지하여, 하향(또는, 상향)으로 신축운동하여, 로드체(31)가 접촉체(62)를 누르고, 또한, 접촉체의 돌출된 기둥(64)이 아랫쪽의 전기 회로(70)의 통전 접점(71)에 닿아, 통전 상태를 나타내고, 신호를 발생 및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키 캡(30)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개폐수단(60)의 탄성작용으로부터 키 캡(30)은 원상태의 자세를 유지하여 신축판(50)과 함께, 원래의 위치에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판(50)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신축판(50)의 제1,2(51,52)암에서의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532',533')을 제1실시예보다도 폭을 넓게 설치한 것으로(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532',533')은 제2도 ~ 제8도에 도시한 오목한 감합홈보다 폭이 넓은),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532',533')이 폭 넓게 된 만큼 상기 제1실시예보다 두개의 암을 빠르고 용이하게 교차시켜 끼워 넣게 하여, 신속하게 신축작동 가능하게 일체로 조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신축판을 원추형 접합수단의 비교적 폭넓은 상면개방형태의 오목한 감합홈 및 비교적 폭넓은 원추형으로 지지된 돌기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올록 볼록하게 끼워 맞추어 일체로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축판의 상,하단의 네 각을 간단한 누름 또는 추지 조작에 의해 키 캡과 플레이트 사이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기타 부재와 함께 조립 작업을 완전히 간단한 기계화 자동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하고, 상대적으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기판 상면에 플레이트, 개폐수단 및 필름형 전기 회로를 고정 설치하여, 전기 회로의 각 키 캡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전접점을 설치하고, 각각의 키 캡과 플레이트 사이에 신축판을 장착하여, 상기 키 캡을 누르면, 상기 신축판이 키 캡을 원래의 자세로 유지시켜서 하강 수축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수단이 눌려져 통전 접점과 접촉하며, 반대로 상기 키 캡의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개폐수단의 탄성에 의해 키 캡과 신축판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신축판을 평행사변형 모양의 두개의 암으로 형성하여, 그 한쪽 암의 두개의 평행측판의 내측면의 적소에 각각 회전가능한 돌기 및 상면의 개방 형태의 오목한 감합홈을 설치하고, 다른쪽 암의 두개의 평행측 외측면의 적소에 각각 상기 추지 돌기 및 오목한 감합홈과 대응하는 상면의 개방형태의 오목한 감합홈 및 추지 돌기를 형성하여,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의 폭을 각각 추지 돌기의 폭보다 적당히 크게 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추지 돌기가 각각의 대응하는 각각의 오목한 감합홈에 위쪽으로부터 아주 쉽게 끼워넣어질 수 있어 양쪽의 암을 교차시켜 원추형 접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의 바닥면의 한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적당한 간격마다 두개의 추지체를 돌출 설치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 적당한 간격마다 한 쌍의 정지체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추지체 및 상기 정지체와 대응하는 추지체 및 정지체를 돌출 설치하여, 상기 신축판의 한쪽암을 그 한쪽 끝에 형성된 연결축을 상기 키 캡의 추지체에 눌러 넣어 원추형 접합하여, 그 다른쪽 끝에 형성된 축간을 상기 플레이트의 정지체에 추지 원추형 장착함으로서 상하 요동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신축판의 다른쪽 암을 일단에 형성된 축간을 플레이트의 추지체에 눌러 넣어 원추형 접합하고, 타단에 형성된 연결축을 키 캡의 정지체내에 추지 원추형 장착함으로서 상하 요동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신축판이 키 캡을 원래 자세로 유지시켜 상하 신축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진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KR2019960017389U 1996-06-25 1996-06-25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KR200153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389U KR200153527Y1 (ko) 1996-06-25 1996-06-25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389U KR200153527Y1 (ko) 1996-06-25 1996-06-25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02U KR980005202U (ko) 1998-03-30
KR200153527Y1 true KR200153527Y1 (ko) 1999-08-02

Family

ID=1945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389U KR200153527Y1 (ko) 1996-06-25 1996-06-25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30B1 (ko) * 1999-11-11 2003-01-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키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1801B (zh) * 2019-03-20 2023-09-08 昆山鸿志犀自动化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键帽组装用定位机构
CN110137016A (zh) * 2019-05-13 2019-08-16 深圳市晶泰电子有限公司 高平衡性按键及键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830B1 (ko) * 1999-11-11 2003-01-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키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0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830A (en) Joystick with single-leaf spring switch
US4388674A (en) Portable electric flashlight
KR200153527Y1 (ko) 컴퓨터 키보드의 키 구조
US4726646A (en) Optical switch
CA1051073A (en) Electric switch contact arrangement
US5698825A (en) Electrical switch
JP2017157462A (ja) 入力装置
JP3034231U (ja) 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のキー構造
JPH0341376Y2 (ko)
JP3655449B2 (ja) キーボード
US9824835B2 (en) Key switch having jointed links
JP3216983U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たボタン構造体
KR100684954B1 (ko) 중공형 회전스위치
CA1312352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H0561934U (ja) 丸型フットスイッチ
JP2000322191A (ja) 多方向入力装置
GB2231724A (en) Lever switch
JPH04126315A (ja) プリント基板用操作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217847768U (zh) 按钮开关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H0313952Y2 (ko)
JP3241723U (ja) 多方向入力装置
CN211907288U (zh) 按钮开关的按压件联动弹簧定位结构
JPH0316182Y2 (ko)
KR200461085Y1 (ko) 로커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