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34Y1 -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 Google Patents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34Y1
KR200152734Y1 KR2019970013670U KR19970013670U KR200152734Y1 KR 200152734 Y1 KR200152734 Y1 KR 200152734Y1 KR 2019970013670 U KR2019970013670 U KR 2019970013670U KR 19970013670 U KR19970013670 U KR 19970013670U KR 200152734 Y1 KR200152734 Y1 KR 200152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lling
fire door
assembly co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401U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19970013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3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4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충진용구멍(3)이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금속의 망(2)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1)를 성형하여 구성한 조립심재(4)를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체(5)와 상부체(6)로 구성되는 문(7)의 하부체(5)에 조립심재(4)를 넣은 후 충진용 구멍(3)을 통해 발포우레탄폼(8)을 충진시켜 틈새를 메꾸고 상부체(6)를 하부체(5)에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조립하여서 된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을 제공하여 종래 현장에서 하부문틀에 콘크리트와 질석몰탈을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굳기를 기다렸다가 시공하는 방화문에 비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후 방화문내에 공간부가 없게 되어 문이 비틀리거나 소리가 울리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방음 효과가 뛰어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본 고안은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문의 크기에 비해 약간 적은 상태로 상면과 하부면에 금속의 망이 고정되는 판상으로 구성하고 판ㅇ[는 다수개의 충진용 구멍을 구성한 조립심재를 문의 내부에 고정할 때 우레탄폼을 사용하여 문과 조립심재가 틈새없이 고정되도록 한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틀은 문틀내에 습식의 문틀내에 콘크리트와 질석몰탈을 혼합한 충진물을 현장에서 충진시킨 다음 이를 굳기를 기다렸다가 설치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러한 작업을 행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충진물을 충진한 상태에서 완전히 굳기 전에 문틀의 덮개를 고정하여 시공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충진물이 하부로 몰리게 되어 문의 상측부에는 충진물이 없는 공간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방화문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문은 충진물이 없는 부위가 문을 여닫을 때 소리의 울림이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충진물인 경량기포 콘크리트(천연 무기질 원료인 생석회, 시멘트, 규사, 모래, 물, 수사, 및 발포제인 기포액 알루미늄 페이스를 혼합하여 성형한 물질을 말함)를 만들 때, 상부면과 하부면에 금 속의 망이 고정되도록 성형하고 성형된 판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한 조립심재를 규격품으로 생산한 다음 조립심재를 문의 내부에 넣을 때 우레탄폼을 사용하여 문과 조립심재가 틈새없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구조로 문을 조립구성 할 경우, 조립심재가 문의 내부에 틈새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문이 비틀리거나 문을 여닫을 때 문이 울리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공장내에서 규격품으로 굳어져 있는 조립심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현장 작업시 굳기를 기다려야 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다수개의 충진용 구멍을 구비하고 상, 하부면에는 금 속의 망이 고정되는 조립심재와 금 속으로 이루어진 문 그리고 충진용 구멍을 통해 공간부를 채우기 위한 발포우레탄폼으로 구성되어지는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량기포 콘크리트 2 : 금속의 망
3 : 충진용 구멍 4 : 조립심재
5 : 하부체 6 : 상부체
7 : 문 8 : 발포우레탄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기포 콘크리트(1)를 성형할 때 상부면과 하부면에 금 속의 망(2)을 위치시킨 다음 함께 성형한다.
이때 성형물에는 다수개의 충진용 구멍(3)이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조립심재(4)를 구성한다.
이때 조립심재(4)의 크기는 문의 내부면적보다 약간 적은 상태의 크기로 성형되어야 하며 차후 하부 체(5)에 넣을 때 원활히 넣을 수 있게 된다.
이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체(5)와 상부체(6)로 구성되는 문(7)의 하부체(5)에 조립심재(4)를 넣은 후, 충진용 구멍(3)을 통해 발포우레탄폼(8)을 충진시키면, 발포우레탄폼(8)이 하부체(5)와 조립심재(4)의 틈 사이로 충진되게 되어 틈새없이 하부체(5)와 조립심재(4)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 상부체(6)를 하부체(5)에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조립 구성하면 간단하게 방화문(7)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종래 현장에서 하부문틀에 콘크리트의 질석몰탈을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고 이를 굳기를 기다렸다가 시공하는 방화문에 비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후 방화문내에 공간부가 없게 되어 문이 비틀리거나 소리가 울리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방음효과가 종래에 비해 훨씬 뛰어나게 되는 잇점과 방화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개의 충진용 구멍(3)이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금 속의 망(2)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1)를 성형하여 구성한 조립심재(4)를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체(5)와 상부체(6)로 구성되는 문(7)의 하부체(5)에 조립심재(4)를 넣은 후 충진용 구멍(3)을 통해 발포우레탄폼(8)을 충진시켜 틈새를 메꾸고 상부체(6)를 하부체(5)에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조립 하여서 된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KR2019970013670U 1997-06-09 1997-06-09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KR200152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70U KR200152734Y1 (ko) 1997-06-09 1997-06-09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70U KR200152734Y1 (ko) 1997-06-09 1997-06-09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01U KR19990000401U (ko) 1999-01-15
KR200152734Y1 true KR200152734Y1 (ko) 1999-07-15

Family

ID=1950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670U KR200152734Y1 (ko) 1997-06-09 1997-06-09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0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248B1 (ko) 건물용 조립 유닛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Z293552B6 (cs) Způsob zhotovení stěny a stěna zhotovená tímto způsobem
CN201092686Y (zh) 自体模板保温混凝土墙体及施工方法
KR200152734Y1 (ko) 조립심재를 갖는 방화문
CN212026656U (zh) 一种低导热外模板现浇筑混凝土装饰一体复合保温板
EP0565378B1 (en) Glazing structure
JP357706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の帳壁用断熱複合パネル
KR100642990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구조
CN101466905A (zh) 用于建筑物构造的预制墙板和用于制造这种墙板的方法
KR20150140124A (ko)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
US2991534A (en)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logs and the like
JPH10266439A (ja) コンクリート面に対する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S6243009Y2 (ko)
KR100211509B1 (ko)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구조
KR100480202B1 (ko) 방음 도어
JPH041832B2 (ko)
KR200312060Y1 (ko) 폐용기 뚜껑을 이용한 소음방지 건축부재
KR100720952B1 (ko) 흡차음 스톤패널
KR100414048B1 (ko) 목심을 이용한 문틀 설치 구조
JPS6243008Y2 (ko)
KR200327346Y1 (ko) 건축용 벽돌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60009764A (ko) 방수용 블록과 그 제조 및 시공방법
KR200275890Y1 (ko) 방음 도어
KR200338648Y1 (ko) 연장체결부를 설치한 조립식철골구조체용심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