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660Y1 -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660Y1
KR200152660Y1 KR2019970003327U KR19970003327U KR200152660Y1 KR 200152660 Y1 KR200152660 Y1 KR 200152660Y1 KR 2019970003327 U KR2019970003327 U KR 2019970003327U KR 19970003327 U KR19970003327 U KR 19970003327U KR 200152660 Y1 KR200152660 Y1 KR 200152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ocking piece
locking
lo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854U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19970003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6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6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overhead or roll-up doors, e.g. garag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는 물건을 잠그는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실린더키(12)가 삽입홈(11)에 끼워져 맞으면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일정간격 회전되는 실린더내통(10), 상기 실린더내통(17)의 외주연에 구비되며, 외주면 적소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일측 적소에는 상하로 편심되게 지지편(22)이 형성된 실린더외통(20),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린더내통(10)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조립커버(25),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수나사부(21)에 체결되며, 전면커버(40)를 고정시키는 고정구(30), 상기 실린더내통(10)의 일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실린더키(12)와 실린더내통(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로킹편구동구(50),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상하단 적소에 구비되며, 일측의 로킹홈에 걸려지도록 한 로킹편(60,60a),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구멍(71)과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기어치(73)가 형성된 피니언(70), 상기 피니언(77)의 기어치(73)와 맞물려 상하단에 구비되며, 적소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기어홈(81,81a)이 형성된 래크(80,80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물쇠
본 고안은 여닫는 물건을 잠그는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문의 적소에 설치하여 셔터문을 괘·해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철사나 그밖의 도구로 실린더내통을 회전시킨다 해도 완전이 자물쇠를 열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물쇠는 문·서랍·금고 등 여닫는 물건에 채워서 열쇠로 여닫는 기구 또는 장치로, 자물쇠는 오랜 옛날부터 쓰이고 있으며 현대에 와서도 없어서는 안 되는 것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물쇠는 전문가가 철사나 그 밖의 도구를 이용하면 쉽게 자물쇠를 열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문가가 철사나 그 밖의 도구를 이용하여 실린더내통을 회전시킨다 해도 실린더내통의 일측에 구비된 로킹편구동구를 회전시키지 못해 결국 실린더내통에 맞는 실린더키 이외의 것으로는 임의로 자물쇠를 열 수 없도록 한 자물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여닫는 물건을 잠그는 자물쇠에 있어서, 실린더키가 삽입홈에 끼워져 맞으면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일정간격 회전되는 실린더내통, 상기 실린더내통의 외주연에 구비되며, 외주면 적소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 적소에는 상하로 편심되게 지지편이 형성된 실린더외통, 상기 실린더외통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린더내통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조립커버, 상기 실린더외통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전면커버를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실린더내통의 일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실린더키와 실린더내통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로킹편구동구, 상기 로킹편구동구의 상하단 적소에 구비되며, 일측의 로킹홈에 걸려지도록 한 로킹편, 상기 로킹편구동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구멍과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된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기어치와 맞물려 상하단에 구비되며, 적소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기어홈이 형성된 래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자물쇠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자물쇠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자물쇠의 동작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내통 20 : 실린더외통
22 : 지지편 25 : 조립커버
30 : 고정구 40 : 전면커버
41 : 후면커버 50 : 로킹편구동구
51 : 로킹구멍 52 : 끼움구멍
53 : 대기어 54 : 소기어
60,60a : 로킹편 61,61a : 대기어홈
62,62a : 소기어홈 70 : 피니언
72 : 끼움돌기 73 : 기어치
80,80a : 래크 81,81a : 기어홈
본 고안에 적용된 자물쇠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여기서 부호 10은 실린더내통이며, 이 실린더내통(10)의 중앙에는 관통되게 삽입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내통(10)의 내부 적소에는 길이가 다른 다수개의 핀과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으로, 삽입홈(11)으로 실린더키(12)가 삽입되어 맞으면 실린더내통(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와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다.
상기 실린더내통(10)의 외주연에는 실린더외통(2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실린더외통(20)의 외주면 적소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일측 적소에는 상하로 편심되게 지지편(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일측에는 조립커버(25)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조립커버(25)는 실린더외통(20)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외통(10)이 임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외주면 수나사부(21)에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된 고정구(30)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 고정구(30)는 실린더외통(20)에 끼워진 전면커버(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전면커버(40)의 후면에는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지지편(22)과 고정 설치되는 후면커버(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내통(10)의 일측에는 로킹편구동구(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로킹편구동구(50)의 중앙에는 실린더키(12)가 삽입되는 로킹구멍(51)이 형성되고, 로킹편구동구(50)의 적소에는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52)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킹편구동구(50)의 외주면 적소에는 돌출되게 다수의 대기어(53)와 소기어(54)가 형성되는 것으로, 대기어(53)는 사각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소기어(54)는 삼각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어떠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대기어(53)와 소기어(54)는 피치간격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또한 이에 국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상하적소 양단 즉, 대기어(53)와 소기어(54)에는 이와 맞물리게 대기어홈(61,61a)과 소기어홈(62,62a)이 형성된 로킹편(60,60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일측에는 피니언(7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피니언(70)의 중앙에는 구멍(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77)의 일측에는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72)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끼움돌기(72)는 상기 로킹편구동구(57)에 형성된 끼움구멍(52)에 끼워져 로킹편구동구(50)와 피니언(70)을 함께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니언(70)의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기어치(7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70)의 상하적소 양단 즉, 기어치(73)에는 이와 맞물리게 기어홈(81,81a)이 형성된 래크(87,80a)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래크(80,80a)의 일단에는 절곡된 손잡이(8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물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실린더키(12)를 실린더내통(10)의 삽입홈(11)으로 끼운 후 어느 일측으로 돌리면 상하 로킹편(60,60a)이 동시에 양측으로 이송되면서 벽면(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설치된 로킹홈에 끼워져 셔터문을 상부로 들어올리지 못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타측으로 실린더키(12)를 돌리면 로킹편(60,60a)이 로킹홈에서 빠져나와 셔터문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린더키(12)를 실린더내통(10)의 삽입홈(11)으로 끼우면 실린더키(12)의 선단이 로킹편구동구(50)의 로킹구멍(5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실린더키(12)를 회전시키면 실린더내통(10)이 실린더외통(2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이때 실린더내통(10)의 일측에 설치된 로킹편구동구(50)와 피니언(70)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킹편구동구(50)와 피니언(70)이 회전됨에 따라 이와 맞물린 상하 로킹편(60,60a)과 래크(80,80a)가 동시에 양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즉, 로킹편구동구(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기어(53)와 소기어(54)는 로킹편(60,60a)의 대기어홈(61,61a)과 소기어홈(54)에 맞물린 상태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로킹편구동구(50)가 회전하면 로킹편(60,60a)이 좌우로 이송되는 것으로, 대기어(53)와 소기어(54) 그리고 대기어홈(61,61a)과 소기어홈(62,62a)의 피치간격이 넓어 로킹편구동구(50)의 적은 반경의 회전으로도 로킹편(60,60a)의 작동거리 반경이 넓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킹편구동구(50)에 형성된 끼움구멍(52)에는 피니언(77)의 끼움돌기(72)가 끼워져 고정된는 것으로, 로킹편구동구(50)의 회전에 따라 이의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70)이 회전되는 것이다.
즉,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피니언(70)의 회전에 의해 이와 맞물린 래크(80,80a)가 좌우로 이송되는 것으로, 피니언(70)에 형성된 기어치(73)는 래크(80,80a)에 형성된 기어홈(81,81a)에 맞물린 상태에서 피니언(70)의 회전에 의해 래크(80,80a)가 좌우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크(80,80a)의 일측에는 절곡된 손잡이(82,82a)가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손잡이(82,82a)를 잡고 일측으로 잡아당기면 로킹편(60,60a)이 로킹홈에 걸려지는 것이고, 타측으로 잡아당기면 로킹편(60,60a)이 로킹홈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래크(80,80a)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70)과 로킹편구동구(50)가 회전됨에 로킹편(80,80a)이 이송되는 것이다.
본원고안에 적용된 자물쇠는 실린더내통(10)과 맞는 실린더키(12)가 삽입되지 않으면 열 수 없는 것이다.
즉, 종래의 다른 자물쇠는 전문가가 삽입홈에 철사나 그 밖의 도구로 끼워넣은 후 돌리면 자물쇠를 열 수 있는 것이나, 본원고안에 적용된 자물쇠는 전문가가 철사나 그 밖의 도구를 삽입홈(11)에 삽입한 후 실린더내통(10)을 회전시킨다 해도 실린더내통(10)의 일측에 설치된 로킹편구동구(50)를 회전시키지 못해 결국 자물쇠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외통(20)에 형성된 지지편(22)은 후면커버(41)의 적소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고정구(30)는 실린더외통(20)에 체결되어 전면커버(40)에 실린더외통(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문가가 철사나 그 밖의 도구를 이용하여 실린더내통을 회전시킨다 해도 실린더내통의 일측에 구비된 로킹편구동구를 회전시키지 못해 결국실린더내통에 맞는 실린더키 이외의 것으로는 임의로 자물쇠를 열수 없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여닫는 물건을 잠그는 자물쇠에 있어서, 실린더키(12)가 삽입홈(11)에 끼워져 맞으면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일정간격 회전되는 실린더내통(10), 상기 실린더내통(10)의 외주연에 구비되며, 외주면 적소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일측 적소에는 상하로 편심되게 지지편(22)이 형성된 실린더외통(20),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린더내통(10)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조립 커버(25), 상기 실린더외통(20)의 수나사부(21)에 체결되며, 전면커버(40)를 고정시키는 고정구(30), 상기 실린더내통(10)의 일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실린더키(12)와 실린더내통(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로킹편구동구(50), 상기 로킹편구동구(57)의 상하단 적소에 구비되며, 일측의 로킹홈에 걸려지도록 한 로킹편(60,60a),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구멍(71)과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기어치(73)가 형성된 피니언(70), 상기 피니언(77)의 기어치(73)와 맞물려 상하단에 구비되며, 적소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기어홈(81,Bfa)이 형성된 래크(80,80a)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중앙에 형성되며, 실린더키(12)가 삽입되어 회전됨에 따라 로킹편구동구(50)를 회전시키는 로킹구멍(51),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며, 로킹편(60,60a)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대기어(53)와 소기어(54), 상기 로킹편(60,60a)의 적소에 형성되며, 로킹편(60,60a)을 좌우로 이송시키게 상기 대기어(53), 소기어(54)와 상호 맞물리는 대기어홈(61,eta)과 소기어홈(62,62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구동구(50)의 적소에 형성되며,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52), 상기 피니언(70)의 일측 적소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끼움구멍(52)에 끼워져 로킹편구동구(50)와 피니언(70)을 조립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돌기(72)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구동구(50)와 피니언(70)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KR2019970003327U 1997-02-27 1997-02-27 자물쇠 KR200152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327U KR200152660Y1 (ko) 1997-02-27 1997-02-27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327U KR200152660Y1 (ko) 1997-02-27 1997-02-27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854U KR19980058854U (ko) 1998-10-26
KR200152660Y1 true KR200152660Y1 (ko) 1999-07-15

Family

ID=1949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327U KR200152660Y1 (ko) 1997-02-27 1997-02-27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6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854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3851A (en) Housing and adaptor for interchangeable core and insert cylinders
US7159908B2 (en) Window sash latch
EP0740731B1 (en) Enclosure latch
CN100557176C (zh) 门锁定机构
JP2010174622A (ja) ロック
US4138150A (en) Window lock
KR200415799Y1 (ko) 안전창문
JP4726534B2 (ja) 排水栓装置の操作用スラストロック機構
US5685583A (en) Door knob construction
US3713683A (en) Thumb turn lock mechanism
US5682775A (en) Lock
KR200152660Y1 (ko) 자물쇠
CN106837005B (zh) 推拉式电子门锁换向机构
US1876115A (en) Lock
JP2008144450A (ja) ドアロック具の表示装置
US1672711A (en) Handle-retaining means for automobile doors
KR200257554Y1 (ko) 개량도어록
JP2738649B2 (ja) ハンドルロック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CN218234670U (zh) 一种波珠球止动锁止推拉门用锁芯
KR200301881Y1 (ko) 손잡이가 장착된 강화유리문 양도어 개폐장치
JPS6233878Y2 (ko)
JP2548991Y2 (ja) ロッカの施錠装置
TWM547017U (zh) 保險箱之鎖具
KR100422190B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