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288Y1 -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 Google Patents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288Y1
KR200152288Y1 KR2019950002374U KR19950002374U KR200152288Y1 KR 200152288 Y1 KR200152288 Y1 KR 200152288Y1 KR 2019950002374 U KR2019950002374 U KR 2019950002374U KR 19950002374 U KR19950002374 U KR 19950002374U KR 200152288 Y1 KR200152288 Y1 KR 200152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emitter
jack devi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825U (ko
Inventor
정병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02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288Y1/ko
Publication of KR960029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잭(JACK) 장치를 통하여 전원 및 신호 라인을 스위칭 연결함에 있어서, 잭 연결시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SHORT) 현상에 의하여 회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하는 신호 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에 관한 것으로 신호 입력측(IN)에 신호 전달용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는 부하저항(R11)이 연결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와 연결하는 한편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신호 출력측(OUT)과 연결 구성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R1, TR2, TR11, TR12 : 트랜지스터 R1,R2,R3,R11 : 저항
C1,C11 : 콘덴서 IN : 신호입력측
OW : 신호출력측
본 고안은 잭(JACK) 장치를 통하여 전원 및 신호라인을 스위칭 연결함에 있어서, 잭 연결시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SHORT)현상에 의하여 회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하는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기기에서 잭 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이나 신호를 연결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이용방법이나 이러한 잭 장치 이용시 잭과 프러그간의 기구적 구조접점에 의한 쇼트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잭 장치 이용시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지 않는 한 회로파손은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잭 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 발생시 회로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회로를 이용하고 있다.
제1도에 의하면 신호입력측(IN)에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연결하는 한편 분배저항(R1)(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는 부하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측에는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신호출력측(OW)을 연결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에서는 잭장치 결합시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전원 및 신호전달이 이루어져야 하므로써 될 수 있는 한 입력신호의 왜곡없이 전달할 수 있는 소자를 사용한다.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2)의 구동은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출력전압이 증가되면 트랜지스터(TR2)의 구동이 차단되어 전원 또는 신호전달을 중단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TR2)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출력을 이용하게 되며 이같이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전류를 증가시키는 경우는 신호출력측(OUT)이 잭 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하여 쇼트 될 때이다.
따라서 잭 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 발생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전류를 증가시켜 트랜지스터(TR2)의 구동을 차단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트랜지스터(TR2)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데 있어 과전압인가로 인하여 트랜지스터(TR2)가 파괴될 수 있으며 또한 트랜지스터(TR1)에서 불필요한 전류를 흘리게 되어 전력손실의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잭장치를 이용한 신호 및 전원 연결라인의 스위칭에 있어서 잭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발생시 신호전달용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주어 회로파손을 방지해주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잭장치를 이용한 라인스위칭시 잭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회로를 보호해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신호입력측(IN)에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와 부하저항(R11)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와 연결하는 한편 노이즈제거용콘덴서(C1)를 통하여 신호출력측(OUT)과 연결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R11)는 PNP 트랜지스터로써 디지탈 또는 아나로그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지탈 트랜지스터가 응답속도가 빨라 더욱 효과적이다.
트랜지스터(TR12)는 PNP 트랜지스터로써 신호입력측(IN)의 입력신호를 왜곡없이 신호출력측(OUT)에 전달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잭 장치를 기구적 접점의 쇼트 없이 접속시켜 정상적으로 신호 또는 전원라인 연결이 되는 경우와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이 발생되어 신호 또는 전원공급라인을 차단시키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잭 장치를 기구적 접점의 쇼트없이 접속시켜 정상적으로 신호 또는 전원라인 연결이 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신호출력측(OUT)과 그라운드간의 쇼트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부하저항(R11)이 연결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되어 트랜지스터(TR12)가 구동되게 된다.
트랜지스터(TR12)가 구동되면 신호입력측(IN)으로 인가되는 신호 또는 전원이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12)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신호출력측(OUT)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11)는 베이스측이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측에 연결되어 있어 트랜지스터(TR12)가 구동되면 트랜지스터(TR11)는 구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잭 장치 연결시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 신호연결용 트랜지스터(TR12)가 구동되어 신호 또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잭 장치가 접속될 때 기구적 접점의 쇼트가 발생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신호출력측(OUT)과 그라운드간의 쇼트현상이 발생되므로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전위가 그라운드 전위가 되어 트랜지스터(TR11)가 구동되게 된다.
트랜지스터(TR11)가 구동되면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전위가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 전위와 같아져 트랜지스터(TR12)는 구동되지 않게 된다.
트랜지스터(TR12)의 구동이 차단되면 신호입력측(IN)으로 인가되는 신호 또는 전원이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12)를 통하여 신호출력측(OUT)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같이 신호출력측(OUT)과 그라운드간이 쇼트가 발생되어 트랜지스터(TR11)가 구동되면 트랜지스터(TR12)의 구동이 차단되어 신호입력측(IN)으로 인가되는 신호 또는 전원이 신호출력측(OUT)에 공급되지 않아 신호출력측(OUT)의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즉 잭 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현상 발생시 트랜지스터(TR11)의 구동에 의해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전압이 에미터 전압과 같아져 트랜지스터(TR12)의 구동을 차단시킴으로써 쇼트현상 발생시 부하회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TR11)의 구동이 쇼트현상 발생시만 이루어지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TR12)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잭 장치를 이용한 신호 및 전원 연결라인의 스위칭에 있어서 잭 장치의 기구적 접점에 의한 쇼트발생시 신호전달용 스위칭소자의 구동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어 회로파손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잭 장치를 이용한 신호전달장치에 있어서, 신호입력측(IN)에 신호전달용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를 공접하고,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와 부하저항(R11)사이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연결하는 동시에 콘덴서(C11)를 거쳐 신호출력측(OUT)과 연결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KR2019950002374U 1995-02-13 1995-02-13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KR200152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374U KR200152288Y1 (ko) 1995-02-13 1995-02-13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374U KR200152288Y1 (ko) 1995-02-13 1995-02-13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825U KR960029825U (ko) 1996-09-17
KR200152288Y1 true KR200152288Y1 (ko) 1999-07-15

Family

ID=1940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374U KR200152288Y1 (ko) 1995-02-13 1995-02-13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2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825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9836B1 (en) A guarded electronic circuit from reversal of its supply battery polarity
US4287436A (en) Electrical circuit for driving an inductive load
JP3829400B2 (ja) 電話線のインターフェイスの過電圧に対する保護
US5424897A (en) Three leaded protected power device having voltage input
US5208718A (en) Protection circuit
KR200152288Y1 (ko) 신호라인 스위칭 콘트롤 회로
US6069950A (en) Dual-limit current-limiting battery-feed circuit for a digital line
US5539350A (en) Common mode logic line driver switching stage
KR100379590B1 (ko)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장치
US5745327A (en) Device for preventing surge noise in connecting computers and peripherals thereof
US4084070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JPH0575030A (ja) 接地損失保護装置
US6785383B2 (en) Telephone line switch using an optocooupler
US5055711A (en) Impedance control circuit for an integrated circuit node
KR100195527B1 (ko) 전력 공급기의 과잉 음전압에 대한 집적회로용 보호회로
JP3627481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KR0163264B1 (ko) 모터의 구동제어회로
JPH0513696A (ja) 信号伝達回路
JP3203409B2 (ja) 双方向バスライン用スイッチ回路
KR0135732B1 (ko) 직류 전류를 회로에 공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0117401Y1 (ko) 전원보호용 회로
EP0486985B1 (en) Comparator
US6420804B1 (en) Circuit for switching direction of current
KR20010056859A (ko) 전원보호회로
KR0108027Y1 (ko) 위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