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077Y1 -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077Y1
KR200152077Y1 KR2019960068129U KR19960068129U KR200152077Y1 KR 200152077 Y1 KR200152077 Y1 KR 200152077Y1 KR 2019960068129 U KR2019960068129 U KR 2019960068129U KR 19960068129 U KR19960068129 U KR 19960068129U KR 200152077 Y1 KR200152077 Y1 KR 200152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flyback transformer
boss
ca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930U (ko
Inventor
홍승방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6006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0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의 접속 부분에서 누출되는 고압이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외주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제공하고자, 보스(8)의 케이블 홀더(12)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삽입공(23)을 형성하고, 고정부(16)의 외주와 보스(8)의 내주 사이에는 삽입홈(24)을 하우징(2)의 내주 측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보스(8)의 삽입공(23)과 대응되는 케이블 홀더(12)의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삽입공(23)의 형성에 대응되고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가 돌출되는 돌출부(25)를 형성하고, 케이블 홀더(12)의 하우징(2)의 삽입홈(24)에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삽입홈(24)의 치수에 대응되는 삽입 돌기(28)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한 케이블 홀더(12)의 돌출부(25)와 삽입 돌기(28)가 하우징(2)의 삽입공(23)과 삽입홈(24)으로 삽입되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의 접속 부분 주변을 이중으로 밀폐시켜 주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본 고안은 애노우드 케이블을 통해서 음극선관으로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압을 음극선관으로 인가하는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와의 접속부에서 누출되는 고압이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외주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음극선관에서 수평 편향 출력의 귀선 기간에 발생하는 펄스를 이용하여 고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그 구성은 하우징의 내부에 고압 보빈과 저압 보빈이 중첩 배치되어서 에폭시수지로 충전 밀봉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중첩 배치된 고압 보빈과 저압 보빈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화에 의한 전력 손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저압 보빈의 코어 관통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에 걸쳐 한 쌍으로 구성된 코어가 삽입 설치되며, 또한 음극선관의 화면 포커스 조절에 필요한 전압을 가변 조정 할 수 있는 포커스 팩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 일 측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첩 배치된 저압 보빈과 고압 보빈에 의해서 발생되는 고압은 고압 보빈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다이오드에 의하여 정류, 배압 되어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한 고압 보빈의 단자와 납땜 접속되는 애노우드 케이블을 통하여 음극선관에 인가 된다.
제3도는 종래의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선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2)의 소정 개소에는 그립퍼(4)가 결착되는 결착공(6)이 형성된 보스(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스(8)의 내주로 애노우드 케이블(10)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12)가 삽입된다.
제4도는 제3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2)의 소정 개소에는 도전 고무(14)가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고정부(16)의 외주를 따라 고정부(16)와 동심 상으로 보스(8)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한 케이블 홀더(12)의 외주에 형성된 그립퍼(4)가 상기한 보스(8)의 결착공(6)에 결착되어, 상기한 케이블 홀더(12)는 보스(8)에 장착 고정되어 위치 고정되고,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는 하우징(2)의 고정부(16)에 삽입된 도전 고무(14)와 접속된다.
상기한 하우징(2)의 내부에는 외주에 다수개의 단자(20)가 장착되어 있는 고압 보빈(22)이 저압 보빈의 외주에 중첩 배치되어 있고, 상기한 고압 보빈(22)의 외주에 장착된 단자중 하우징(2)의 고정부(16)측 단자는 상기한 고정부(16)의 도전 고무 (14)와 접속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한 고압 보빈(22)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우징(2)의 내주에는 에폭시 수지가 충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 접속 구조에서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 접속부의 주변으로 누설된 고압이 보스(8)와 케이블 홀더(12)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어 음극선관으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의해 발생된 정격 전압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의 접속부 주변으로 누설되는 고압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외주로 누설되지 않게 한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고정부의 케이블 홀더측 단부에 소정 형상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부의 외주와 보스의 내주 사이에는 삽입홈을 하우징의 내주를 향해서 형성하고, 상기한 보스의 고정부의 삽입공과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삽입공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가 나출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돌출 형성하고, 삽입홈과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삽입홈의 치수에 대응되는 삽입 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한 보스의 삽입 돌기가 하우징의 삽입홈으로 삽입되고, 보스의 돌출부가 고정부의 삽입공의 내주로 삽입되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의 접속부 주변을 밀폐시켜 주게 되는 것이므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 외주로 고압이 누설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선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선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4 : 그립퍼
6 : 결착공 8 : 보스
10 : 애노우드 케이블 12 : 케이블 홀더
14 : 도전 고무 16 : 고정부
18 :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 20 : 단자
22 : 고압 보빈 23 : 삽입공
24 : 삽입홈 25 : 돌출부
28 : 삽입 돌기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 예에서 제3도와 제4도를 통해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의 부호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애노우드 케이블의 접속부의 고압 누설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하우징(2)의 소정 개소에는 그립퍼(4)가 결착되는 결착공(6)이 형성된 보스(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보스(8)의 내주로 애노우드 케이블(10)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12)를 삽착 한다.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우징(2)의 소정 개소에는 도전 고무(14)가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16)가 상기한 보스(8)와 동심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부(16)의 케이블 홀더(12)측 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삽입공(23)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부(16)의 외주와 보스(8)의 내주 사이에는 상기한 고정부(16)와 동심 상으로 삽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한 케이블 홀더(12)의 고정부(16)의 삽입공(23)과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고정부(16)의 삽입공(2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가(18)가 돌출 되도록 하는 돌출부(2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삽입홈(24)과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삽입홈(24)으로 삽입되는 삽입 돌기(28)를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케이블 홀더(12)의 외주에 형성된 그립퍼(4)가 상기한 보스(8)의 결착공(6)에 결착되고, 상기한 케이블 홀더(12)의 삽입 돌기(28)가 하우징(2)의 삽입홈(24)으로 삽입되어 상기한 케이블 홀더(12)는 보스(8)에 장착 고정되어 위치 고정되고,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는 하우징(2)의 고정부(16)에 삽입된 도전 고무(14)와 접속된다.
상기한 하우징(2)의 내부에는 외주에 다수개의 단자(20)가 장착되어 있는 고압 보빈(22)이 저압 보빈의 외주에 중첩 배치되어 있고, 상기한 고압 보빈(22)의 외주에 장착된 단자(20)중 하우징(2)의 고정부(16)측 단자(20)는 상기한 고정부(16)를 향해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부(16)의 도전 고무(14)와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자들이 배치된 하우징(2)의 내주로 에폭시수지가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 접속 구조에서,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 접속부의 주변이 삽입홈(23)으로 삽입되는 돌출부(25)와, 삽입홈(24)의 내주로 삽입되는 삽입 돌기(28)에 의하여 2중으로 밀폐되는 것이므로,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와 고압 보빈(22)의 단자(20)의 접속부의 주변으로 누설되는 고압이 하우징(2)의 외주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보스(8)와 케이블 홀더(12) 사이로 누설되는 고압이 상기한 삽입공(23)의 내주로 삽입되는 돌출부(25)와, 삽입홈(24)의 내주로 삽입되는 삽입 돌기(28)에 의하여 하우징(2)의 외주로 고압이 누설되지 않게 되어 음극선관으로 정격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정부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케이블 홀더의 돌출부와, 하우징의 소정 개소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주로 삽입되는 케이블 홀더의 삽입 돌기에 의해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의 접속부의 주변이 2중으로 밀폐되는 것이므로, 상기한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와 고압 보빈의 단자의 접속부 주변으로 누설되는 고압이 하우징의 외주로 누설되지 않게 되어, 음극 선관에 정격 전압이 전달되는 것이므로, 조립 완제품의 특성이 안정하게 됨과 동시에, 불량율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압 보빈의 단자와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고정부(16)의 케이블 홀더(12)측 단부에 소정 형상의 삽입공(23)이 형성되고, 고정부(16)의 외주와 보스(8)의 내주 사이에 삽입홈(24)이 케이블 홀더(12)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하우징(2)과, 상기한 고정부(16)의 삽입공(23)과 대응되는 단부에는 애노우드 케이블의 나선부(18)가 돌출되는 돌출부(25)가 상기한 삽입공(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삽입홈(24)과 대응되는 소정 개소에는 상기한 삽입홈(24)의 치수에 대응되는 삽입 돌기(28)가 일체로 형성되는 케이블 홀더(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19960068129U 1996-12-31 1996-12-31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52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29U KR200152077Y1 (ko) 1996-12-31 1996-12-31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29U KR200152077Y1 (ko) 1996-12-31 1996-12-31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30U KR19980054930U (ko) 1998-10-07
KR200152077Y1 true KR200152077Y1 (ko) 1999-07-15

Family

ID=1948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129U KR200152077Y1 (ko) 1996-12-31 1996-12-31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0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30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077Y1 (ko)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S59215177A (ja) 電子ビ−ム偏向用トランス
KR200152069Y1 (ko)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2316Y1 (ko)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2004319617A (ja) 電磁装置、高電圧パルス発生器および高輝度放電灯点灯装置
KR20014578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3755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
KR19980015844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2317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5206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00214212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3755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지지 구조
KR2001761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01405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 보빈
KR20015207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고정 구조
KR19980054929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9980028073U (ko) 고압 누설 방지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9980051479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231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19980051478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4057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 보빈
KR960032515A (ko) 플라이백 변성기
KR980009595U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포커스 팩
KR0140589Y1 (ko) 포커스 팩의 입력 단자 결합구조
KR19980014890U (ko) 애노우드 케이블 록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