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036Y1 -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2036Y1 KR200152036Y1 KR2019950027936U KR19950027936U KR200152036Y1 KR 200152036 Y1 KR200152036 Y1 KR 200152036Y1 KR 2019950027936 U KR2019950027936 U KR 2019950027936U KR 19950027936 U KR19950027936 U KR 19950027936U KR 200152036 Y1 KR200152036 Y1 KR 2001520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wall
- itself
- baseboard
- recess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2—Plinths fixed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벽체에 클립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미감이 좋으며 경제성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2)와, 이 오목부(12)의 양측으로 일체 형성된 경사부(14)를 가지는 탄성편(16)과 상기 오목부(12)의 배면부를 벽체(70)에 맞닿도록 하여 체결고정하는 체결보울트(30)로 구성되는 웅체(10)와, 수직편(26)의 양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구부림편(22)과, 이 구부림편(22)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24)으로 구성되는 자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웅체(10)와 자체(20)가 클립형식으로 상호결합하므로써 바닥(60)과 접하는 벽체(7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보호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며,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조립된 자체 및 웅체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를 활용하여 전선이나 각종의 케이블을 은폐할 수 있어 미적 감각이 있는 마감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웅체(雄體) 12 : 오목부(중앙부)
14 : 경사부 16 : 탄성편
20 : 자체(雌體) 22 : 구부림편
24 : 걸림편 26 : 수직편
30 : 체결 보울트 40 : 공간부
50 : 캡 52 : 케이블 통과구멍
60 : 바닥 70 : 벽체
본 고안은 건축물의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에 클립방식으로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미감이 좋으며 경제성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받이(baseboard 또는 scrubboard)란,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상가, 인테리어 등 각종 건축물의 실내구조에 있어서 벽체와 바닥면이 맞닿는 부위에 맞대어 설치한 길다란 띠형상의 마감재로써,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에 벽면에 걸레의 측부가 접촉하여 마모되거나 벽지 등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미려한 구석부로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말한다.
이러한 걸레받이는, 종래에 PVC재의 보드로 벽에 고정하거나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붙이거나 목재 스트립을 이용하여 못으로 고정설치한 것이었다.
이 걸레받이는 걸레받이 밑선(shoe) 및 양측의 걸레받이 두겁(base cap)으로 마감하는 형식의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가연성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화재시, 다른 가연성 재료와 함께 불에 타면서 유독가스를 내뿜어 인명사고를 증가하는 요인이 되어 왔다.
또 고급 합성수지재나 목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원자재의 상승, 인건비의 상승 및 시공상의 불편함으로 전체 건축비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시공후의 뒤틀림 변형, 해충의 서식 적용되는 무늬도 다양하지 못하여 옵션건축 추세에 있는 오늘날의 경향에 적절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마감재로서의 재활용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참고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제87-14964호)에는 웅체상단에 탄지부와 하단에 끼움턱을 형성하고 자체 상단에 걸림부와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착탈식 걸레받이를 소개하고 있으나, 취급이 불편하고 탄성이 부족하여 시공이 어려웠고 조그만 충격에도 탈리되기 일쑤였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취급이 용이한 불연성 걸레받이 내지 미감이 곁들여진 걸레받이의 출현을 요망하여 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클립형식의 암수(자웅) 결합구조이면서 불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화재시에 불에 타지 않으며 미관이 우수하여 산뜻한 느낌을 주고, 나아가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안가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양측으로 일체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탄성편과 상기 오목부의 배면부를 벽체에 맞닿도록 하여 체결고정하는 체결보울트로 구성되는 웅체와, 수직편의 양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구부림편과, 이 구부림편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되는 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웅체와 자체가 클립형식으로 상호결합하므로써 바닥과 접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는, 걸레받이 자체가 2개로 분리된 형태이고 그 전체가 금속재이므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보호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며 웅체를 체결 보울트로 간단하게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자체를 클립 형식으로 끼워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조립된 자체 및 웅체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를 활용하여 전선이나 각종의 케이블을 은폐할 수 있어 미적 감각이 있는 마감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발휘하며, 경제적이며 자체와 웅체가 분리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무늬의 외장재를 교체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옵션품목으로서의 기능도 다하며, 불연성이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를 내뿜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일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10은 웅체(雄體), 20은 자체(雌體)이다. 이들 웅체(10)와 자체(20)는 클립형식으로 끼워져서 상호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웅체(10)는 통상의 벽체(70)에 소정의 고정수단, 예를 들면 체결보울트(30)에 의하여 그 오목부(12)(중앙부)가 고정되므로써 전체가 고정된다.
이 웅체(10)는 그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2) 형상으로 되어 그 배면부가 벽체(70)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12)의 양측으로 각각 경사부(14)를 가지는 2개의 탄성편(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4)는 후술하는 자체(20)의 구부림편(22)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24)과의 탄성적 결합으로 인하여 웅체(10)와 자체(20)를 결합한다.
상기 자체(20)는 수직편(26)의 양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진 구부림편(22)과, 이 구부림편(22)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2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체(20)와 웅체(10)가 결합했을 때에 상기 웅체(10)의 오목부(12)가 벽체(70)에 맞닿아 있으므로 상기 수직편(26)과 오목부(12) 사이에는 공간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웅체(10) 및 자체(20)로 구성된 걸레받이는 일반 내연성이 향상된 PVC압출물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인화성이나 유동성고려시 철재,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50은 상기 자체(20)의 양측단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는 케이블 통과구멍(52)이 형성된 마감재로서 캡, 부호 60은 통상의 바닥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웅체(10)를 오목부(12)에 형성된 체결 보울트 통과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체결 보울트(30)를 상기 벽체(70)에 체결한다. 이 웅체(10)는 상기 자체(20)를 고정하는 브라케트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므로 상기 자체(20)의 전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벽체(70)에 고정된 웅체(10)에 상기 자체(20)를 끼워맞춤한다. 이때, 상기 자체(20)의 구부림편(22)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24)이 상기 웅체(10)의 경사부(14) 상에 실리면서 이를 압박하여 밀고 들어간다. 상기 경사부(14)와 구부림편(22)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24)은 일반 철재,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이므로 탄성이 있기 때문에, 양자가 결합되는 초기에는 서로 밀려 나면서 자체(20)는 줄어들고 웅체(10)는 벌려지면서 서로를 받아들인 후 상기 걸림편(24)이 경사부(14)에 이를 때에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완전하게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클립이 끼워지듯이 상기 자체(20)와 웅체(10)가 결합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써 걸레받이의 시공은 완료되며, 제2도의 걸레받이 돌출형이나 제3도의 매립형 모두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에 의하면, 걸레받이 자체가 2개로 분리된 형태이고 그 전체가 금속재이므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보호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며 웅체를 체결 보울트로 간단하게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자체를 클립 형식으로 끼워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조립된 자체 및 웅체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를 활용하여 전선이나 각종의 케이블을 은폐할 수 있어 미적 감각이 있는 마감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발휘하며, 때가 타지 않아 청결하고 목재의 약 20~25% 정도의 원자재 비용만으로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자체와 웅체가 분리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무늬의 외장재(자체)를 교체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옵션 품목으로서의 기능도 다하며, 불연성이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를 내뿜는 일이 없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웅체(10)와 자체(20)로 구성된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에 있어서,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2)와, 이 오목부(12)의 양측으로 일체 형성된 경사부(14)를 가지는 탄성편(16)과 상기 오목부(12)의 배면부를 벽체(70)에 맞닿도록 하여 체결고정하는 체결보울트(30)로 구성되는 웅체(10)와, 수직편(26)의 양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구부림편(22)과, 이 구부림편(22)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24)으로 구성되는 자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웅체(10)와 자체(20)가 클립형식으로 상호결합하므로써 바닥(60)과 접하는 벽체(7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7936U KR200152036Y1 (ko) | 1995-10-06 | 1995-10-06 |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7936U KR200152036Y1 (ko) | 1995-10-06 | 1995-10-06 |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8188U KR970018188U (ko) | 1997-05-26 |
KR200152036Y1 true KR200152036Y1 (ko) | 1999-07-15 |
Family
ID=1942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7936U KR200152036Y1 (ko) | 1995-10-06 | 1995-10-06 |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203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3004B1 (ko) * | 2007-05-17 | 2007-08-30 |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
-
1995
- 1995-10-06 KR KR2019950027936U patent/KR2001520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3004B1 (ko) * | 2007-05-17 | 2007-08-30 |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8188U (ko) | 1997-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60262A1 (en) | Interlocking interior trim | |
CA2044829A1 (en) | Expansion joint cover assemblies | |
KR200456095Y1 (ko) |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 |
KR200152036Y1 (ko) | 건물 벽체의 걸레받이 | |
US3016116A (en) | Retaining means for construction panels | |
US4541215A (en) | Snap-in ceiling system | |
US2007025685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aling conduit | |
KR200162025Y1 (ko) | 걸레받이 | |
CN213204855U (zh) | 内收式踢脚装饰线 | |
KR200238760Y1 (ko) |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 |
JPH07217181A (ja) | 壁部化粧材取付構造 | |
CN212405947U (zh) | 一种宽线式装饰线组件 | |
JPH0419149Y2 (ko) | ||
JP2003035031A (ja) | 室内の巾木構造 | |
KR200257772Y1 (ko) | 건물용 조립식 마감재 | |
JP3611647B2 (ja) | バルコニーの防水パンの固定構造 | |
CN2327106Y (zh) | 高低槽体三角形反扣线槽 | |
JPH0214591Y2 (ko) | ||
JP3840623B2 (ja) | 隅部構造 | |
KR20020019810A (ko) | 걸레받이 | |
JPS6328775Y2 (ko) | ||
CN115928986A (zh) | 一种墙体系统 | |
KR950006797Y1 (ko) | 조립식 천정둘레연 | |
JPS6246724Y2 (ko) | ||
KR0125806Y1 (ko) | 건물용 선반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