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972Y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972Y1
KR200151972Y1 KR2019970010727U KR19970010727U KR200151972Y1 KR 200151972 Y1 KR200151972 Y1 KR 200151972Y1 KR 2019970010727 U KR2019970010727 U KR 2019970010727U KR 19970010727 U KR19970010727 U KR 19970010727U KR 200151972 Y1 KR200151972 Y1 KR 200151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chamber
clothes
driving for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328U (ko
Inventor
김양경
강형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0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97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공기와 전자파를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도록 함에 따라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변형 및 손상됨이 없도록 함과 함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지지된 건조실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로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건조실 내에 구동력을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건조실에 일단이 연결되고 투입구에 타단이 연결된 공기순환로와,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공기순환팬과,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발열체와, 상기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부와 연통된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로 구성하여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
본 고안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공기와 전자파를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끝난 젖은 상태의 의류를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한 기기로서, 근래에 들어서면서 주부들의 의식구조가 서구화되어 가고 있음에 따라 그 수요도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에 있고 이에 더불어 관련 기술의 개발도 가속화 되고 있다.
종래 의류건조기는 본체(101) 내부에 건조실(10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1)의 전면에는 건조실(102) 내로 의류를 투입하도록 투입구(10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는 도어(104)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본체(101) 내의 상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모터(105)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실(102)은 모터(105)의 구동력을 건조실용 벨트(106)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02)의 내측 둘레에는 건조실의 회전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도록 복수개의 날개(107)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102)에는 공기순환로(108)의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투입구(103)에는 공기순환로(108)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는 건조실(102)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도록 공기순환팬(10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순환팬은 모터(105)의 구동력을 팬용 벨트(11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공기순환로(108) 상에는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도록 히터(1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순환로(108)에는 건조실(102) 내의 공기순환시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로(108)로 공급되도록 공기공급로(112)가 열결됨과 함께 공기의 순환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배출로(11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04)를 열어 본체(101)의 전면에 고정된 투입구(103)를 개방한 다음 상기 투입구를 통해 건조실(102) 내로 건조하고자 하는 의류를 투입시키고, 이후 도어(104)를 다시 닫아 투입구(103)를 폐쇄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콘트롤판넬(도시는 생략함) 상의 건조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01) 내의 상부에 부착된 모터(105)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구동력은 건조실용 벨트(106)를 통해 건조실(102)로 전달되므로 상기 건조실이 회전하는데, 이때 건조실 내로 투입되어 있는 의류는 상기 건조실(102)의 내측 둘레에 일체화된 복수개의 날개(107)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다음 자중에 의해 다시 하부로 떨어지면서 섞이게 된다.
이와같은 작용에 의해 건조실(102) 내로 투입되어 있는 의류가 교반을 행할 때 공기순환로(108) 상에 설치된 공기순환팬(109)이 상기 모터(105)의 구동력을 팬용 벨트(11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함과 함께 히터(111)가 발열하는데, 이때 건조실(102) 내의 공기가 공기순환로(108)를 통해 순환되는 과정에서 히터(111)의 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상기 가열공기가 건조실(102) 내로 투입되어 있는 의류의 표면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의류가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건조실(102)의 공기가 순환되면서 의류가 상기 건조실 내에서 건조될 때 공기순환팬(109)이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외부의 공기는 공기순환로(108)에 연결된 공기공급로(112)를 통해 상기 공기순환로(108)로 공급되어 기 순환되는 공기와 함께 혼합되면서 순환되고, 상기 공기순환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중의 수분은 응축되면서 공기순환로(108)에 연결된 응축수배출로(113)를 통해 본체(10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건조실(102) 내에서 의류가 건조될 때 건조실 내에 설치된 센서(도시는 생략함)가 상기 건조실(102)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계속해서 보내주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습도값이 기준값에 도달할 경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05)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히터(111)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건조장치는 후술하는 바와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가열된 공기에 의해서만 의류를 건조하므로 적정시간 내에 의류의 건조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히터를 높은 온도대로 유지시켜 상기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어야 함에 따라 결국 건조되는 의류가 공기의 높은 온도에 의해 열변형되거나 심할 경우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둘째, 가열된 공기가 의류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침투하지 못하므로 상기 가열된 공기가 침투되지 못한 부분의 의류는 그외 부분의 의류(가열된 공기가 침투된 부분의 의류)에 비해 건조가 상당시간 늦어지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의류의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졌었다.
셋째,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건조실이 직접적으로 계속 회전하므로 상기 의류의 건조실 마찰율이 높아져 의류에 보푸라기가 다량 발생됨과 함께 소음발생도 커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의류를 건조하도록 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더라도 그 낮추어진 온도 만큼을 전자파가 보상하여 주도록 함에 따라 의류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구석구석까지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건조실이 직접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의류의 건조실 마찰율이 낮아지게 함에 따라 상기 의류의 보푸라기 발생을 줄이면서 소음도 저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지지된 건조실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로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건조실 내에 구동력을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건조실에 일단이 연결되고 투입구에 타단이 연결된 공기순환로와,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공기순환팬과,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발열체와, 상기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부와 연통된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로 구성하여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한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지지된 건조실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로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건조실 내에 구동력을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건조실에 연결되어 외부공기의 공급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공급로와, 상기 건조실에 연결되어 건조실 내부공기의 배출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배출로와, 상기 공기공급로 상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발열체와, 상기 공기배출로 상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주는 공기배출팬과, 상기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부와 연통된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로 구성하여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한 의류건조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의류건조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의류건조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2. 건조실
3. 투입구4. 도어
6. 교반날개7. 공기순환로
9. 공기순환팬10. 히터
13. 도파관14. 전자파발생기
16. 전자파분산팬17. 공기공급로
18. 공기배출로20. 공기배출팬
21. 공급공기센서22. 배출공기센서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의류건조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 일 실시예는 본체(1) 내부에 건조실(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건조실(2) 내로 의류를 투입하도록 투입구(3)를 고정하며, 상기 투입구는 도어(4)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2) 내에는 모터(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도록 교반날개(6)를 설치한다.
또한 건조실(2)에는 공기순환로(7)의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투입구(3)에는 공기순환로(7)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는 모터(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건조실(2)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도록 공기순환팬(9)을 설치하며, 상기 공기순환로(7) 상에는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도록 히터(10)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순환로(7)에는 건조실(2) 내의 공기순환시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순환로(7)로 공급되도록 공기공급로(11)를 열결함과 함께 공기의 순환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배출로(12)를 연결한다.
그리고 건조실(2)의 외측 적소에는 건조실 내부와 연통되게 도파관(13)을 고정하고, 상기 도파관에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도록 전자파발생기(14)를 부착함과 함께 모터(15)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도파관(13)을 따라 공급되는 전자파를 건조실(2) 내의 전부분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주도록 전자파분산팬(16)을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본체(1)의 전면에 고정된 투입구(3)를 통해 상기 본체(1) 내에 지지된 건조실(2) 내로 건조하고자 하는 의류를 투입한 상태에서 건조모드를 선택하면, 건조실(2) 내에 설치된 교반날개(6)가 모터(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준다.
이와같이 하여 건조실(2) 내로 투입된 의류가 섞어질 때 공기순환로(7) 상에 설치된 공기순환팬(9)이 모터(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함과 함께 히터(10)가 작동하여 발열하므로 건조실(2) 내의 공기가 공기순환로(7)를 통해 순환되는 과정에서 히터(10)의 열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따라 상기 가열공기가 건조실(2) 내로 투입되어 있는 의류의 표면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므로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작용이 행하여 지는데, 이때에는 기 설명된 종래와 동일하게 외부공기가 공기순환로(7)와 연결된 공기공급로(11)를 통해 공급되고 가열공기의 순환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공기순환로(7)와 연결된 응축수배출로(12)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공기순환로(7) 상의 공기순환팬(9)이 회전함과 함께 히터(10)가 발열하여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작용이 행하여 질 때 건조실(2)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실과 연통된 도파관(13) 상의 전자파발생기(14)가 작동하여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전자파는 상기 도파관(13)을 통해 건조실(2) 내로 공급되는데, 이때 전자파분산팬(16)이 모터(15)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전자파를 상기 건조실(2)의 전부분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주므로 상기 전자파에 의해 의류의 표면 수분이 가열되면서 증발되고 이에따라 결국 전자파에 의해서도 의류가 건조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의류건조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 다른 실시예는 본체(1) 내부에 건조실(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건조실(2) 내로 의류를 투입하도록 투입구(3)를 고정하며, 상기 투입구는 도어(4)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건조실(2) 내에는 모터(5)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도록 교반날개(6)를 설치한다.
또한 건조실(2)에는 외부공기의 공급통로 역할을 하도록 공기공급로(17)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건조실(2) 내부공기의 배출통로 역할을 하도록 공기배출로(18)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공급로(17) 상에는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도록 히터(10)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로(18) 상에는 모터(19)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건조실(2)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공기배출팬(20)을 설치한다.
그리고 건조실(2)의 외측 적소에는 건조실 내부와 연통되게 도파관(13)을 고정하고, 상기 도파관에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도록 전자파발생기(14)를 부착함과 함께 모터(15)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도파관(13)을 따라 공급되는 전자파를 건조실(2) 내의 전부분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주도록 전자파분산팬(16)을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다른 실시예는 본체(1)의 전면에 고정된 투입구(3)를 통해 건조실(2) 내로 투입된 의류가 모터(5)의 구동에 따른 교반날개(6)의 회전에 의해 섞어질 때 공기배출로(18) 상에 설치된 공기배출팬(20)이 모터(19)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므로 상기 건조실(2) 내의 공기가 본체(1) 외부로 배출됨과 함께 상기 공기의 배출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공기공급로(17)를 통해서는 외부의 공기가 건조실(2) 내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공급공급로(17) 상에 설치된 히터(10)가 작동하여 발열하므로 외부 공기가 건조실(2) 내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히터(10)의 열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따라 가열공기가 건조실(2) 내로 투입되어 있는 의류의 표면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어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작용이 행하여 진다.
상기와 같이 가열공기에 의해 의류의 건조가 행하여 질 때 도파관(13) 상에 설치된 전자파발생기(14)가 작동하여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전자파는 상기 도파관(13)를 통해 건조실(2) 내로 골고루 분산되면서 가열된 공기와 함께 의류를 건조시킨다.
한편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서 의류의 건조는 건조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행하여 짐을 알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공기공급로(17)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보내주는 공급공기센서(21)를 설치함과 함께 공기배출로(18) 내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보내주는 배출공기센서(22)를 설치하여 이 측정된 값의 비에 의한 건조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히터(10)와 전자파발생기(1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서 의류를 건조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기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의류를 건조하므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의 온도를 종래에 비해 충분히 낮추어도 건조효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에 따라 가열된 공기에 의한 의류의 열변형 및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음 물론 상기 전자파는 의류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면서 건조시켜 주므로 모든 의류가 골고루 신속하게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실이 유동되지 않으므로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건조실과의 마찰율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의류에 보푸라기가 쉽게 발생되지 않음과 함께 소음발생도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지지된 건조실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로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건조실 내에 구동력을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건조실에 일단이 연결되고 투입구에 타단이 연결된 공기순환로와,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공기순환팬과,
    상기 공기순환로 상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발열체와,
    상기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부와 연통된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로 구성하여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도파관에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전자파분산팬을 설치하여 건조실 내로 공급되는 전자파를 상기 전자파분산팬이 골고루 분산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지지된 건조실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로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건조실 내에 구동력을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의류를 섞어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건조실에 연결되어 외부공기의 공급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공급로와,
    상기 건조실에 연결되어 건조실 내부공기의 배출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배출로와,
    상기 공기공급로 상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켜 주는 발열체와,
    상기 공기배출로 상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주는 공기배출팬과,
    상기 건조실의 외측 적소에 고정되어 건조실 내부와 연통된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에 부착되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발생기로 구성하여 가열공기와 전자파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도파관에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전자파분산팬을 설치하여 건조실 내로 공급되는 전자파를 상기 전자파분산팬이 골고루 분산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공급로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보내주는 공급공기센서를 설치함과 함께 공기배출로 내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보내주는 배출공기센서를 설치하여 이 측정된 값의 비에 의한 건조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히터와 전자파발생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서 의류를 건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2019970010727U 1997-05-15 1997-05-15 의류건조기 KR200151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727U KR200151972Y1 (ko) 1997-05-15 1997-05-15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727U KR200151972Y1 (ko) 1997-05-15 1997-05-15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28U KR19980066328U (ko) 1998-12-05
KR200151972Y1 true KR200151972Y1 (ko) 1999-07-15

Family

ID=195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727U KR200151972Y1 (ko) 1997-05-15 1997-05-15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9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64B1 (ko) * 2005-09-22 2007-07-0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18B1 (ko) * 2002-12-1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14855410B (zh) * 2022-06-07 2023-10-10 木卫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及打散器
WO2024090986A1 (ko) * 2022-10-25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WO2024101817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유로전환유닛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64B1 (ko) * 2005-09-22 2007-07-0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28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495B1 (en)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CA2753314C (en)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JP3102637B2 (ja) マイクロ波洗濯乾燥機
KR101063701B1 (ko) 건조기의 부하 제어방법
CN102094309A (zh) 带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KR200151972Y1 (ko) 의류건조기
KR100480725B1 (ko) 건조기의 포량감지장치
KR100209687B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장치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10050449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209685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장치
KR10110804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2981843B (zh) 洗涤干燥机
WO2021186887A1 (ja) 乾燥機
KR20040055944A (ko) 세탁기용 건조장치의 제어 방법
JP2003144791A (ja) 洗濯乾燥機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JP3035186B2 (ja) 乾燥機付洗濯機
KR100570530B1 (ko) 의류건조기
KR101241876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JP2004194942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021461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겸용 세탁기
JP2004222764A (ja) 洗濯乾燥機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