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892Y1 -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892Y1
KR200151892Y1 KR2019950020059U KR19950020059U KR200151892Y1 KR 200151892 Y1 KR200151892 Y1 KR 200151892Y1 KR 2019950020059 U KR2019950020059 U KR 2019950020059U KR 19950020059 U KR19950020059 U KR 19950020059U KR 200151892 Y1 KR200151892 Y1 KR 200151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ixer
guide
discharged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854U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50020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892Y1/ko
Publication of KR970010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혼합기로 투출되는 원료가 혼합기의 중심부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료가 물과 혼합되지않고 혼합기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케비넷(10), 케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원료통(40), 케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20), 원료통과 물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시키는 혼합기(50), 원료통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혼합기로 안내하는 상광하협의 원료가이드(60)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원료가이드에는 투출되는 원료가 혼합기의 중심부로 투출되도록 하는 안내부재(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자동판매기의 도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 원료혼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종래 원료혼합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료혼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료혼합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비넷 11 : 컵인출부
12 : 음료안내관 13 : 노즐
20 : 물통 21 : 온수통
30 : 컵디스펜서 31 : 컵가이드
40 : 원료통 41 : 커피류 원료통
42 : 차 및 음료류 원료통 50 : 혼합기
53 : 혼합용기 54 : 교반기
60 : 원료가이드 70 : 안내부재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료통에서 투출된 원료를 혼합장치로 안내하는 역삼각형 형태의 원료가이드에 안내부재를 설치하여 양 측면에서 투출되는 원료가 관성력에 의하여 혼합장치의 측벽으로 투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외부에서 컵을 인출할 수 있는 컵인출부(11)가 마련된 캐비넷(1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20)과, 커피나 국산차 등의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통(41)(42)과 컵인출부(11)로 컵을 공급하는 컵디스펜서(30)가 설치된다. 컵인출부(11)의 하측에는 투출되는 컵을 컵인출부(11)로 안내하기 위한 컵가이드(31)가 설치되고, 원료통(41)(42)의 하측에는 원료통(41)(42)과 물통(20)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료와 물을 혼합시켜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51)(52)가 설치된다. 원료통(41)(42)의 하측에는 투출되는 원료를 혼합기로 안내하는 원료가이드(60)가 설치되며, 혼합기(51)(52)의 하측에는 혼합된 음료를 컵인출부(11)의 컵까지 안내하기 위한 음료안내관(12)과 노즐(13)이 설치된다.
이때, 원료통(41)(42)은 일반커피, 고급커피, 프림 및 설탕을 저장하는 커피류 원료통(41)과 국산차와 냉음료 등의 원료를 저장하는 차 및 음료류 원료통(42)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혼합기(51)(52)는 물과 선택적으로 일반 커피, 고급커피, 설탕, 프림을 공급받아 혼합하여 커피를 만드는 커피 혼합기(51)와 각각의 차 및 음료류 원료통(42)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들 원료와 물을 혼합하는 차 및 음료류 혼합기(52)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원료가이드(60)는 다수개 횡으로 설치된 커피류 원료통(41)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커피류 혼합기(51)로 안내하는 제1원료가이드(61)와 차 및 음료류 원료를 각각의 차 및 음료류 혼합기(52)로 안내하는 제2원료가이드(62)로 구분설치된다. 이때 제1원료가이드(61)와 제2원료가이드(62)는 역삼각형 형태로 설치되는데, 제1원료가이드(6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된 커피류 원료통(41)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커피류 혼합기(51)로 안내하기 때문에 상단 폭과 하단 폭은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역삼각으로 설치된다. 커피류 혼합기(51)는 혼합용기(53)와 혼합용기(53)에 입설되어 원료와 물을 혼합시키는 교반기(54)와 교반기(54)를 회전시키는 모터(5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는 미도시된 금전투입구로 일정액의 돈을 투입한 후 일반커피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컵디스펜서(30) 저장된 컵이 투출되어 컵가이드(31)를 따라 컵인출부(11)로 공급된다. 그리고 커피류 원료통(41)에 저장된 커피, 프림 및 설탕이 투출되어 제1원료가이드(61)를 따라 커피류 혼합기(51)로 공급됨과 동시에 물통(20)의 물이 커피류 혼합기(51)로 공급된다. 이후 교반기(54)가 회전하여 커피, 프림, 설탕 및 물을 혼합시키며, 혼합된 커피는 음료안내관(12)을 통하여 컵인출부(11)에 수납된 컵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는 제1원료가이드를 통하여 커피류 혼합장치로 투출되는 커피, 설탕, 프림이 투출관성력에 의하여 혼합기의 내측면으로 투출됨으로써 물 등과 혼합되지 않고 적층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출되는 원료는 제1원료가이드(61)를 따라 하측으로 미끄럼 운동하여 커피류 혼합기(51)에 투출되는데, 제1원료가이드(61)의 좌우 양측면으로 투출되는 원료는 제1원료가이드(61)의 측면이 내향 경사졌기 때문에 좌측으로 투출되는 것은 커피류 혼합기(51)의 우측면쪽으로 투출되고, 우측으로 투출되는 것은 좌측면측으로 투출됨으로써 혼합기(51)의 측면에 직접떨어지거나 물위에 떨어지더라도 교반기의 교반회전중심을 벗어나 투출되어 교반기의 회전(수평회전)시 혼합기의 측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혼합기로 투출되는 원료가 혼합기의 중심부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료가 물과 혼합되지 않고 혼합기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비넷, 케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료통, 케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 원료통과 물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시키는 혼합기, 원료통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혼합기로 안내하는 상광하협의 원료가이드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원료가이드에는 투출되는 원료가 혼합기의 중심부로 투출되도록 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료혼합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외부에서 컵을 인출할 수 있는 컵인출부(11)가 마련된 케비넷(1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20)과 물을 가열하여 보관하는 온수통(21)과 커피나 국산차 등의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통과 컵인출부(11)로 컵을 공급하는 컵디스펜서(30)가 설치된다. 컵인출부(11)의 하측에는 투출되는 컵을 컵인출부(11)로 안내하기 위한 컵가이드(31)가 설치되고, 원료통(40)의 하측에는 원료통(40)과 물통(20)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료와 물을 혼합시켜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50)가 설치된다. 원료통(40)의 하측에는 투출되는 원료를 혼합기(50)로 안내하는 원료가이드(60)가 설치되며, 혼합기(50)의 하측에는 혼합된 음료를 컵인출부(11)의 컵까지 안내하기 위한 음료안내관(12)과 노즐(13)이 설치된다.
이때 원료통(40)은 일반커피, 고급커피, 프림 및 설탕을 저장하는 커피류 원료통(41)과 국산차와 냉음료 등의 원료를 저장하는 차 및 음료류 원료통(42)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혼합기(50)는 물과 선택적으로 투출되는 일반 커피, 고급커피, 설탕과 프림을 공급받아 혼합하여 커피를 만드는 커피혼합기(51)와 차 및 음료류 원료통(42)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들 원료와 물을 혼합하는 차 및 음료류 혼합기(52)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원료가이드(60)는 횡으로 다수개 설치된 커피류 원료통(41)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커피류 혼합기(51)로 안내하는 제1원료가이드(61)와 차 및 음료류 원료통(42)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투출되는 각각의 차 및 음료류 혼합기(52)로 안내하는 제2원료가이드(62)로 구분설치된다.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기(50)은 혼합용기(53)와 혼합용기(53)에 입설되어 원료와 물을 혼합시키는 교반기(54)와 교반기(54)를 회전시키는 모터(55)를 포함하며, 제1원료가이드(61)는 4개의 원료통(41)에서 선택적으로 투출되는 원료를 하나의 커피 혼합기(51)로 안내해야 하기 때문에 원료가 유입되는 상측이 넓고 투출되는 하측이 좁은 역삼각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제1원료가이드(61)의 중심부에는 제1원료가이드(61)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판상의 안내부재(70)가 상하로 설치되어 제1원료가이드(61)의 좌우 양외측면에서 투출되는 원료가 혼합용기(53)의 내측면(51)측으로 투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밀크커피의 투출과정을 설명하면, 도시되지 않은 금전투입기에 일정액의 돈을 투입한 후, 밀크커피의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컵디스펜서(30)에 저장된 컵에 투출되어 컵가이드(31)를 따라 컵인출부(11)로 이동한다. 이후 온수통(21)에 저장된 뜨거운 물이 커피류 혼합기(51)로 공급됨과 동시에 커피류 원료통(41)에 저장된 커피, 설탕 및 프림이 투출되어 제1원료가이드(61)를 따라 커피류 혼합기(51)로 투출된다. 이때 제1원료가이드(61)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투출됨으로서 혼합용기(53)의 내측면(53') 즉, 우측면과 좌측면측으로 투출되려는 원료는 중심부에 입설된 안내부재(70)에 부딪친 후, 안내부재(70)의 하측, 즉 혼합용기(53)의 중심부로 투출된다. 이후 교반기(54)가 회전하여 커피, 설탕 및 프림과 물을 혼합하여 액상의 커피를 만든다. 이후, 커피는 음료안내관(12)을 통하여 컵인출부(11)에 위치된 컵으로 투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는, 원료의 투출시 원료가 교반기의 교반중심에서 벗어나 투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혼합되지 않고 혼합용기의 내측면에 원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케비넷(10),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료통(40), 상기 케비넷의 내부에 마련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20), 상기 원료통과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시키는 혼합기(50), 상기 원료통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상기 혼합기로 안내하는 상광하협의 원료가이드(60)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원료가이드에는 투출되는 원료가 상기 혼합기의 중심부로 투출되도록 하는 안내부재(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원료가이드의 중심부에 상하로 입설되며 하측단은 상기 원료가이드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KR2019950020059U 1995-08-03 1995-08-03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KR20015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59U KR200151892Y1 (ko) 1995-08-03 1995-08-03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59U KR200151892Y1 (ko) 1995-08-03 1995-08-03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54U KR970010854U (ko) 1997-03-29
KR200151892Y1 true KR200151892Y1 (ko) 1999-07-15

Family

ID=1942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059U KR200151892Y1 (ko) 1995-08-03 1995-08-03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8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54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1892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JP2000298769A (ja) 飲料提供装置
JP5082521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3785346B2 (ja) 原料液注出装置および飲料提供装置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0151888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KR200151887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JP2007108937A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0292340B1 (ko) 자동판매기
KR100224299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JP3854491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74019A (ko)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100694184B1 (ko) 음료자동판매기
KR100222437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19990021532A (ko)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S5846755B2 (ja) 飲料供給装置
JPS5880792A (ja) 飲料供給装置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JPH0343893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200163003Y1 (ko) 자동판매기의 누설원료 집진구조
KR200162570Y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JPH07272113A (ja) 飲料撹拌装置
JP2007094488A (ja) 飲料自動販売機
KR19980082280A (ko) 자동판매기의 자동세척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