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70Y1 -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 Google Patents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70Y1
KR200151270Y1 KR2019970002245U KR19970002245U KR200151270Y1 KR 200151270 Y1 KR200151270 Y1 KR 200151270Y1 KR 2019970002245 U KR2019970002245 U KR 2019970002245U KR 19970002245 U KR19970002245 U KR 19970002245U KR 200151270 Y1 KR200151270 Y1 KR 200151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ing
effective ring
potential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920U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2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7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1Generating ringing or calling signals or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9Analysis, i.e. separating and studying components of a greater wh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여 유효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링신호를 발생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라인으로부터 교류신호를 입력받아 일 크기와 다른 크기로 각각 전위를 강하하여 출력하는 교류신호 분별부와, 훅크 온시 상기 교류신호를 상기 링신호 분별부에 제공하는 제1훅크 스위치와, 상기 일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의 전위가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보다 클 때만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를 가지는 유효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유효링 검출부와,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주파수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면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링거부와, 상기 다른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티브되며, 액티브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직류변환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와, 훅크 온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훅크 스위치와,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에 따라 링을 발생하는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링거회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본 고안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링거회로에서 본 고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라인 인터페이스부 및 스피치부, 다이얼러 등을 생략한 링거회로를 도시한 것이 도 1이다. 도 1에서 외부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신호는 A,B단자를 통하여 링거회로로 입력된다.
훅크 온된 경우에, 제1훅크스위치(HSW1)는 오프된다. 이에따라 A,B단자로 유입되는 신호는 콘덴서(C1)로 입력된다. 상기 콘덴서(C1)은 상기 A,B단자로부터 직류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A,B단자로부터 유입되는 교류신호는 콘덴서(C1)를 통하여 유효링 검출부(14)에 입력된다. 상기 유효링 검출부(14)는 상기 교류신호가 유효링신호의 전압범위안에 속하는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유효링 검출부(14)는 상기 교류신호가 유효링신호의 전압범위안에 속하면 상기 교류신호에 따른 유효링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교류신호는 유효링 검출부(14)의 제너 다이오드(ZD)에 입력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전압은 유효링신호의 최저전압이 된다. 이에따라 상기 제너 다이오드(ZD)는 상기 교류신호가 유효링신호의 최저전압인 제너전압보다 클때만 제너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출력이 유효링 검출신호가 된다. 즉,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는 상기 교류신호가 유효링신호의 최저전압보다 클 경우에 제너전압으로 나타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영(0) 전위로 나타난다.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는 저항(R2)을 통하여 링거부(10)의 유효링 검출회로의 입력단(FC1)으로 입력된다.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링거부(10)로의 입력경로에는 상기 병렬연결된 콘덴서(C2)와 저항(R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거부(10)에 내장되어 있는 유효링 검출회로는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주파수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 범위안에 속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유효링 검출신호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 범위안에 속하면 링거부(10)는 출력단자(MO)에서 피에조 스피커(Piezo-Electric Loudspeaker) 구동부(12)를 액티브시키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는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 제어신호에 따라 액티브된다.
한편, A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콘덴서(C1)와 저항(R1)을 통하여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입력된다. 그리고 B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는 입력신호를 정류하여 출력한다.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은 제2훅크 스위치(HSW2)와 LIU 또는 전화기부로 입력된다. 상기 제2훅크 스위치(HSW2)는 제1훅크스위치(HSW1)와 연동한다. 상기 제2훅크 스위치(HSW2)는 훅크 온시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을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에 제공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는 액티브되었을 경우에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하여 피에조 스피커(SP)에 제공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의 출력을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라 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SP)는 피에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링을 발생한다.
한편, 스위스 통신규격 NET4, 6.2.1 Ringing Signal Detector Sensitivity에서는 유효링신호를 전압 20∼90[Vacrms], 주파수 21∼55[Hz]의 신호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스위스 통신규격 NET4, 6.2.3 Immunity To Decodic Dailing From Parallel TE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최대 14[H]의 인덕턴스 성분이 존재하는 라인에 팩시밀리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와 전화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전화기에서 발생한 다이얼 펄스가 라인을 통하여 송출될 때, 상기 라인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한 기생펄스가 상기 다이얼 펄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다이얼 펄스의 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상기 NET, 6.2.1은 다이얼 펄스가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통신단말기가 상기 다이얼 펄스를 유효링신호로 오인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제, 다이얼 펄스에 기생펄스가 포함되어 다이얼 펄스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것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통상의 다이얼 펄스의 파형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다이얼 펄스의 주기 T는 100[㎳]이다. 상기 다이얼 펄스의 메이크 구간 T1은 40[㎳]이고, 브레이크 구간 T2는 60[㎳]이다. 이에따라 다이얼 펄스의 주파수 f1은 수학식 1에 따라 10[㎐]이 된다.
[수학식 1]
상기 다이얼 펄스에 기생펄스가 포함된 예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다이얼 펄스의 하강에지와 상승에지에서 기생펄스(P1,P2)가 발생한다. 이에따라 기생펄스가 포함된 다이얼 펄스의 주기 T'는 40[ms]인 T3과 3[ms]이하인 ΔT를 포함하므로, 40[ms]≤T'≤43[ms]이 된다. 이에따라 주파수 f2는 수학식 2에 따라 23[Hz]≤f2≤25[Hz]이 된다.
[수학식 2]
상기와 같이 선로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하여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의 주파수는 상기 NET4, 6.2.1의 유효링신호의 주파수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통상 유효링 검출부의 기준전압은 링발생시 링신호의 전위가 강하되는 것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이에따라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의 전압은 유효링 검출부의 기준전압보다 높다.
상기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가 팩시밀리에 입력되면, 팩시밀리의 링거회로는 상기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를 유효링신호로 오인식하여 링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발생한 링은 팩시밀리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더구나 상기 팩시밀리가 자동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링에 응답하여 수신상태로 돌입하는 등의 이상동작을 한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를 유효링신호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거회로의 유효링검출부의 기준전압을 기생펄스를 포함한 다이얼 펄스보다 높게 설정하였다. 이에따라 유효링 검출부가 기생펄스를 포함한 다이얼펄스에 의한 오 유효링 검출신호를 생성하지 않았다.
상기 방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통상 기생펄스를 포함한 다이얼펄스의 전압은 18[V]이하이다. 이에따라 통상 유효링 검출부의 기준전압은 18[V]인데, 기생펄스를 포함한 다이얼펄스를 유효링신호로 오인식하지 않기 위하여 유효링 검출부의 기준전압을 20[V]정도로 설정한다.
상기 기준전압이 20[V]이면 유효링 검출부는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펄스에 따른 오 유효링검출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런데, 유효링신호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와 유효링 검출부로 입력된다. 이에따라 유효링 검출부에 입력되는 유효링신호의 전압이 강하된다. 특히 유효링신호의 전압이 20[V]이하로 강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유효링 검출부는 실제 유효링신호가 입력됨에도 불구하고 유효링신호에 따른 유효링 검출신호를 생성하지 못한다. 이에따라 링거회로는 유효링신호를 입력받아도 링을 발생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팩시밀리와 전화기가 인덕턴스 성분이 존재하는 라인으로 병렬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전화기에서 다이얼하면, 상기 라인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하여 기생펄스가 발생하여 다이얼 펄스에 유입되었다. 이때 종래 팩시밀리의 링거회로는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를 유효링신호로 오인식하여 링을 발생하였다. 이에따라 팩시밀리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팩시밀리가 자동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상태로 돌입하는 등 이상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링거회로의 유효링 검출부의 기준전압을 기생펄스를 포함한 다이얼 펄스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은 링거회로가 유효링신호도 검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여 유효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링신호를 발생하는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의 링거회로의 개략도,
도 2는 통상의 다이얼 펄스의 타이밍도,
도 3은 기생펄스가 포함된 다이얼 펄스의 타이밍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등가회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라인으로부터 교류신호를 입력받아 일 크기와 다른 크기로 각각 전위를 강하하여 출력하는 교류신호 분별부와, 훅크 온시 상기 교류신호를 상기 링신호 분별부에 제공하는 제1훅크 스위치와, 상기 일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의 전위가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보다 클 때만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를 가지는 유효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유효링 검출부와,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주파수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면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링거부와, 상기 다른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티브되며, 액티브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직류변환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와, 훅크 온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훅크 스위치와,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에 따라 링을 발생하는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링거회로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에 링거회로의 구성과 교류신호 분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종래와 동일한 링거회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의 상세회로도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상기 링거회로의 교류신호 분별부(16)는 A단자에 병렬로 연결된 제1콘덴서(C1)와 제2콘덴서(C2)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A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는 제1콘덴서(C1)와 제2콘덴서(C2)에 입력된다. 제1콘덴서(C1)로 입력된 신호는 저항(R1)과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과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2콘덴서(C2)로 입력된 신호는 유효링 검출부(14)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교류신호 분별부(16)는 A단자의 신호를 입력받아 교류 임피던스를 달리하여 유효링 검출부(14)와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에 입력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스 통신규격에서 유효링 신호를 전압 20∼90[Vacrms], 주파수 21∼55[Hz]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통상 기생펄스가 포함된 다이얼 펄스의 전압은 18[V]이다. 이때 통상의 유효링 검출부(14)의 기준전압은 링이 발생될 경우에 유효링 검출부(14)로 입력되는 유효링신호가 강하되는 것을 고려하여 18[V]로 하였다.
본 고안의 제2콘덴서(C21)는 A단자로부터 직류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A단자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를 1[V]만큼 강하한다. 이에따라 제2콘덴서(C21)를 거친 유효링신호의 전압은 19∼89[Vacrms]가 된다. 그리고, 제2콘덴서(C21)를 거친 기생펄스가 포함된 다이얼 펄스의 전압은 17[V]가 된다.
상기 유효링 검출부(14)는 기준전압이 18[V]이므로, 유효링신호에 따른 유효링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는 링거부(10)에 입력되고, 링거부(10)는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주파수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면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는 상기 신호에 의해 액티브된다.
한편 제1콘덴서(C11)는 A단자로부터 직류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A단자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를 저항(R1)을 통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입력한다. 브리지 다이오드(BD)는 상기 교류신호를 정류하여 제2훅크스위치(HSW2)를 통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에 제공한다.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는 액티브시에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을 직류변환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피에조 스피커(SP)는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링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분별부(16)의 제1콘덴서(C1)를 1[㎌]으로, 제2콘덴서(C2)를 68[㎋]로 설정하였을 때에 유효링 검출부(14)에 입력되는 신호의 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생펄스를 포함하는 다이어 펄스의 주파수가 23[Hz]∼25[Hz]일 경우에 제1 내지 제2콘덴서(C12,C21)의 임피던스는 수학식 3에 따른다.
[수학식 3]
상기를 기준으로 한 도 4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상기 도 5에서 링전류 Iac가 3[㎃]일 경우에 제1콘덴서(C1)와 제2콘덴서(C2)의 뒷단에 있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12)와 유효링 검출부(14)와 링거부(10)의 부하를 생략하면 링거부(10)로 입력되는 전류는 수학식 4에 의한다.
[수학식 4]
따라서 XC2에 의한 손실은 약 0.9[V]정도가 된다. 이에따라 A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제2콘덴서(C21)을 거치면서 약 0.9[V]정도가 전압 강하된다. 즉, 유효링 검출부(14)에 입력되는 유효링신호의 전압은 19∼89[Vacrms]가 되고, 기생펄스가 포함된 다이얼 펄스의 전압은 17[V]가 된다.
이에따라 유효링 검출부(14)는 유효링신호만에 의한 유효링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링거회로에서 최대 14[H]의 인덕턴스 성분이 존재하는 라인에 팩시밀리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와 전화기를 병렬로 연결한 뒤, 전화기에서 발생한 다이얼 펄스의 주파수가 인덕턴스 성분에 의하여 10[Hz]의 주파수가 23[㎐]이상으로 변하여도, 링거회로에서 유효링신호로 오인식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거회로는 기생펄스가 유입된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여 유효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에따라 기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에 있어서,
    라인으로부터 교류신호를 입력받아 일 크기와 다른 크기로 각각 전위를 강하하여 출력하는 교류신호 분별부와,
    훅크 온시 상기 교류신호를 상기 교류신호 분별부에 제공하는 제1훅크 스위치와,
    상기 일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의 전위가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보다 클 때만 최저 유효링신호의 전위를 가지는 유효링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유효링 검출부와,
    상기 유효링 검출신호의 주파수가 유효링신호의 주파수범위에 속하면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링거부와,
    상기 다른 크기 전위만큼 강하된 교류신호를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피에조 구동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액티브되며, 액티브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직류변환하여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와,
    훅크 온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을 피에조 스피커 구동부에 제공하는 제2훅크 스위치와,
    상기 피에조 스피커 구동신호에 따라 링을 발생하는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신호 분별부가,
    상기 교류신호를 입력받아 일 크기의 전위만큼 강하하여 상기 유효링 검출부에 입력하는 제1콘덴서와,
    상기 교류신호를 입력받아 다른 크기의 전위만큼 강하하여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입력하는 제2콘덴서를 구비하는 제2콘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 크기의 전위가,
    약 1V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제1콘덴서의 용량이 1㎌이고,
    제2콘덴서의 용량이 68㎋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KR2019970002245U 1997-02-14 1997-02-14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KR200151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45U KR200151270Y1 (ko) 1997-02-14 1997-02-14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245U KR200151270Y1 (ko) 1997-02-14 1997-02-14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20U KR19980057920U (ko) 1998-10-26
KR200151270Y1 true KR200151270Y1 (ko) 1999-07-15

Family

ID=1949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245U KR200151270Y1 (ko) 1997-02-14 1997-02-14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20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06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telephone line
EP06132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tilizing a public line
US5659602A (en) Telephone apparatus for caller ID
EP0089687B1 (en) Method of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the lifting of the telephone handset in presence of ringing current
EP0116291B1 (en) Ring trip detection system
KR200151270Y1 (ko) 다이얼펄스와 유효링신호를 분별하는 링거회로
US3936617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US4152549A (en) Suppressor of spurious ringing currents for telephone apparatus
US6556673B1 (en) Telephone ring signal detector
EP0267808B1 (en) Telephone circuit for supplying ringing signals to a subscriber telephone line and for detecting unhooking
JPH01279667A (ja) 自動遠隔通信装置及び方法
US4374307A (en) Ringer system for a telephone
CN1094281C (zh) 电话讯号检测电路
JP2872479B2 (ja) リンガー検出回路
JP3057930B2 (ja) 端末網制御装置
US6665397B1 (en) Telephone signal detecting circuit
JPH0432580B2 (ko)
JP2984431B2 (ja) 網制御装置
US55442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hibiting unauthorized use of a telecommunication line
US4001708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including a-peak-to-peak gain controlled amplifier
EP1339241B1 (en) Dual hysteresis signal detection circuit
JPH0450788B2 (ko)
KR20010058802A (ko) 국선 점유 상태 표시 전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3233029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4531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