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56Y1 -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56Y1
KR200151256Y1 KR2019970023080U KR19970023080U KR200151256Y1 KR 200151256 Y1 KR200151256 Y1 KR 200151256Y1 KR 2019970023080 U KR2019970023080 U KR 2019970023080U KR 19970023080 U KR19970023080 U KR 19970023080U KR 200151256 Y1 KR200151256 Y1 KR 200151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ultrasonic generator
power supply
supply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771U (ko
Inventor
박규창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23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면 등의 먼지 등을 청소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소정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소정전원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로 구성되어, 청소중이 아니라도 소비자는 청소기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해충 또는 쥐 등을 퇴치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부가기능으로 인해 판매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본 고안은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기의 소정부분에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하여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 및 쥐 등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바닥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기본체 내에 구비된 집진봉투로 집진시킴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가정에 청소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바닥면 등의 청소시를 제외하고는 청소기의 활용도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한편, 각 가정 내에는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해충들이 침입하여 인간들에게 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쥐들이 들끌어 인간에게 유해한 바이러스, 전염병 등을 옮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청소기에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해충 및 쥐들을 퇴치하여 청소기의 활용도를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충동시킬 수 있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면 등의 먼지 등을 청소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소정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소정전원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의 외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음파 발생장치 110 : 전원공급부
120 : 스위치 130 : 초음파 발생부
140 : 표시부 200 : 청소기본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100)는, 전원공급부(110), 스위치(120), 초음파 발생부(130) 및 표시부(140)로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전원공급부(110)는 소정전원(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교환가능한 건전지로서 3V정도임)을 제공하는 것이고,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초음파 발생장치의 구동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부(130)는 스위치(12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소정전원(3V)에 의해 구동되어 초음파를 발생하고, 표시부(140)는 스위치(12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소정전원(3V)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130)의 동작여부를 표시한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의 외부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스위치(120)는 초음파 발생부(130)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초음파 발생부(130)는 청소기(200)의 외부로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의 효과적인 방출은 물론, 소비자가 초음파 발생장치의 구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초음파 발생부(130)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청소기(200)의 외부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부(130) 주위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청소기(200)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120)를 온상태로 전환시키면,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소정전원(3V)이 초음파 발생부(130)와 표시부(14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소정전원(3V)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130)가 구동되어 초음파가 발생되므로써, 청소기(200)의 주변에 있는 해충 또는 쥐들이 퇴치되는 동시에, 초음파 발생부(130)의 구동중임이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초음파 발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청소기(200)를 이용한 청소중이나 청소기(200)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기(200)의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200)의 판매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해충이나 쥐 등의 퇴치기능을 부가적으로 광고함으로써, 청소기(200)의 판매효율을 높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면, 청소중이 아니라도 소비자는 청소기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해충 또는 쥐 등을 퇴치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부가기능으로 인해 판매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면 등의 먼지 등을 청소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소정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소정전원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소정전원에 의해 상기 초음파 발생부의 구동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일회용 밧데리를 외부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청소기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청소기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2019970023080U 1997-08-25 1997-08-25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200151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080U KR200151256Y1 (ko) 1997-08-25 1997-08-25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080U KR200151256Y1 (ko) 1997-08-25 1997-08-25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1U KR19990009771U (ko) 1999-03-15
KR200151256Y1 true KR200151256Y1 (ko) 1999-07-15

Family

ID=1950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080U KR200151256Y1 (ko) 1997-08-25 1997-08-25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1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820B2 (en)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JP2857250B2 (ja) 昆虫の電子的捕獲
BR112016025055B1 (pt) armadilha para insetos
TR200002108T2 (tr) Panel elementleri içeren aktif akustik cihazları.
KR200487431Y1 (ko) 휴대용 선풍기
KR1010362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200440653Y1 (ko) 다기능 해충퇴치기
JP2003014267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JPS63269936A (ja) 首輪取付装置付のみ駆除装置
KR200151256Y1 (ko)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101471572B1 (ko) 휴대용 모기퇴치기
KR200425661Y1 (ko) 자동 주파수변환제어에 의한 해충퇴치기
JP6356003B2 (ja) 電気掃除機
GB2236467A (en) Portable insect catching device
CN212015452U (zh) 杀螨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JP2003251239A (ja) 超音波噴霧装置
CN112088872A (zh) 新型灭蚊驱鼠器
KR20030043901A (ko) 해충 유인살충 겸용 퇴치기
JP2005110966A (ja) 掃除機用吸い込み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掃除機
KR0123638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선풍기회로
JPH0629985Y2 (ja) 携帯用電気式殺虫具
CN220557249U (zh) 一种除螨仪
CN217364416U (zh) 一种组合式物理驱蚊器
CN216931617U (zh) 一种声光灭蚊驱鼠组合器
KR10055807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