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51Y1 -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51Y1
KR200151251Y1 KR2019960029253U KR19960029253U KR200151251Y1 KR 200151251 Y1 KR200151251 Y1 KR 200151251Y1 KR 2019960029253 U KR2019960029253 U KR 2019960029253U KR 19960029253 U KR19960029253 U KR 19960029253U KR 200151251 Y1 KR200151251 Y1 KR 200151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exhaust grill
opening
exhaust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971U (ko
Inventor
김내정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60029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5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몸체(10)의 뒤쪽면에 청소기몸체(10)에 설치된 페이퍼백(20)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3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그릴(40)이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호스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블로워구멍(42)을 소정형상의 탄발부재(50)에 의해 탄력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폐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개폐부재(60)가 열리고 호스연결구가 결합된 때 모터(30)를 통해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된 배출구(43)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블로워구멍(42)만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청소기몸체(10)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부재(60)와 밀착되는 배기통로분리벽(44)이 설치되어, 배기그릴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불어내어 집진함으로써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그릴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해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불어내어 집진함으로써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은 페이퍼백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종래 배기그릴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제1도 내지 제3도을 참조로 설명하면, 청소기몸체(10)의 뒤쪽면과 결합되도록 베이스부(41)가 형성되고, 이 베이스부(41)의 소정위치에는 청소기몸체(10)에 설치된 페이퍼백(20)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3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출구(4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그릴은 상기 페이퍼백(20)에서 집진된 공기가 모터(30)로 흡입되어 배출될 때, 이 배출공기를 별도로 이용하지 못하는 구조이므로,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청소할 때는 입으로 불거나 별도로 준비된 빗자루 등을 사용하여 올라오게 한 뒤, 흡입하므로 청소하기가 곤란한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기그릴의 베이스부에 호스연결구가 끼워지는 블로워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블로워구멍의 주위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삽입구멍을 닫는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구멍에 호스연결구를 끼워서 배기그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던 공기를 블로워구멍으로만 통과시켜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불어낸 다음 집진함으로써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소기몸체의 뒤쪽면에 청소기몸체에 설치된 페이퍼백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그릴이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의 베이스부에 형성되어 호스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블로워구멍을 소정형상의 탄발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폐부재가 설치되고, 이 개폐부재가 열리고 호스연결구가 결합된 때 모터를 통해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그릴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블로워구멍으로 만 배출되도록 상기 청소기몸체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부재와 밀착되는 배기통로분리벽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모터에서 배기된 공기가 배기그릴쪽으로 배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소기몸체 20 : 페이퍼백
30 : 모터 40 : 배기그릴
41 : 베이스부 42 : 블로워구멍
43 : 배출구 44 : 배기통로분리벽
45 : 탄발부재설치부 46,47 : 힌지구멍
50 : 탄발부재 60 : 개폐부재
61,62 : 상·하돌기 63 : 블로워구멍막음부
64 : 복원돌기 65 : 도피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모터에서 배기된 공기가 배기그릴쪽으로 배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이다.
본 고안은, 청소기몸체(10)의 뒤쪽면에 청소기몸체(10)에 설치된 페이퍼백(20)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3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그릴(40)이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이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호스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블로워구멍(42)을 소정형상의 탄발부재(50)에 의해 탄력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폐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개폐부재(60)가 열리고 호스연결구가 결합된 때 모터(30)를 통해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된 배출구(43)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블로워구멍(42)으로 만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청소기몸체(10)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부재(60)와 밀착되는 배기통로분리벽(4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배기그릴(40)에는, 상기 탄발부재(50)가 설치되는 탄발부재설치부(45)가 갖춰지고, 이 탄발부재설치부(45)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의 상하돌기(61,62)가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된 힌지구멍(46,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기 힌지구멍(46,47)에 끼워져 상기 블로워구멍(42)을 막을 수 있도록 돌출된 블로워구멍막음부(63)와, 상기 탄발부재(50)의 선단이 밀착되어 상기 블로워구멍(42)쪽으로 밀어붙이도록 구비된 복원돌기(64)와, 회전시 상기 탄발부재(50)의 선단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도피홈(65)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블로워구멍(42)에 호스연결구를 끼우고 전원을 넣으면 상기 페이퍼백(20)과 모터(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기통로분리벽(44)에 밀착된 개폐부재(60)에 의해 배출구(43)로 배출되지 않고 블로워구멍(42)을 통해 배출되게 되어, 이 배출공기로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먼지나 이물질을 간단히 불어내어 흡입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이 개폐부재(60)는 호스연결구가 제거되면 상기 탄발부재(50)에 의해 복원되어, 이 개폐부재(60)의 블로워구멍막음부(63)가 블로워구멍(42)을 막게 되므로, 상기 배기그릴(40)의 배출구(43)로 배기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호스연결구가 끼워지는 블로워구멍(42)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블로워구멍(42)의 주위에는 탄발부재(50)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블로워구멍(42)을 닫는 개폐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구멍(42)에 호스연결구를 끼워서 배기그릴(40)의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던 공기를 블로워구멍(42)으로만 통과시켜, 문틀이나 구석진 곳의 이물질을 불어낸 다음 집진함으로써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기몸체(10)의 뒤쪽면에 청소기몸체(10)에 설치된 페이퍼백(20)을 통과한 공기가 모터(3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그릴(40)이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상기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되어 호스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블로워구멍(42)을 소정형상의 탄발부재(50)에 의해 탄력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폐부재(60)가 설치되고, 이 개폐부재(60)가 열리고 호스연결구가 결합된 때 모터(30)를 통해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그릴(40)의 베이스부(41)에 형성된 배출구(43)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블로워구멍(42)으로 만 배출되도록 상기 청소기몸체(10)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부재(60)와 밀착되는 배기통로분리벽(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40)에는, 상기 탄발부재(50)가 설치되는 탄발부재설치부(45)가 갖춰지고, 이 탄발부재설치부(45)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0)의 상하돌기(61,62)가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된 힌지구멍(46,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기 힌지구멍(46,47)에 끼워져 상기 블로워구멍(42)을 막을 수 있도록 돌출된 블로워구멍막음부(63)와, 상기 탄발부재(50)의 선단이 밀착되어 상기 블로워구멍(42)쪽으로 밀어붙이도록 구비된 복원돌기(64)와, 회전시 상기 탄발부재(50)의 선단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도피홈(65)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KR2019960029253U 1996-09-13 1996-09-13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KR200151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53U KR200151251Y1 (ko) 1996-09-13 1996-09-13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253U KR200151251Y1 (ko) 1996-09-13 1996-09-13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71U KR19980015971U (ko) 1998-06-25
KR200151251Y1 true KR200151251Y1 (ko) 1999-07-15

Family

ID=1946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253U KR200151251Y1 (ko) 1996-09-13 1996-09-13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71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1268A (ko) 청소기
KR200151251Y1 (ko) 진공청소기용 배기그릴의 블로워장치
KR100233369B1 (ko) 흡입과 송풍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US20050071945A1 (en) Airflow diverter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and upright-type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208640609U (zh) 清洁机器人
KR10044547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KR10057288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US20050188497A1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KR19990059538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200154072Y1 (ko) 업라이트(upright)형진공청소기의커버개폐장치
CN219166324U (zh) 污水箱及洗地机
CN220860009U (zh) 清洁机器人设备
JPH0985029A (ja) 空気清浄機
KR200249501Y1 (ko) 진공청소기의 커버장치
KR200161649Y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의 전방커버설치구조
KR10087253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헤드램프 스위칭장치
KR100654976B1 (ko)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기 노출방지구조
KR100357517B1 (ko) 진공청소기
KR0136999Y1 (ko) 진공 청소기의 송풍장치
KR0136310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팩보강부재의 고정수단
CN116965747A (zh) 清洁机器人设备
KR20060019661A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GB2608158A (en) Vacuum cleaner
KR0114576Y1 (ko) 진공청소기의 퓨우즈 장치
CN117982064A (zh) 集尘组件、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