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311Y1 -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311Y1
KR200150311Y1 KR2019960024129U KR19960024129U KR200150311Y1 KR 200150311 Y1 KR200150311 Y1 KR 200150311Y1 KR 2019960024129 U KR2019960024129 U KR 2019960024129U KR 19960024129 U KR19960024129 U KR 19960024129U KR 200150311 Y1 KR200150311 Y1 KR 200150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terminal
vertical deflection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680U (ko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24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31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5Zener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CRT) 표시 장치는, 수평 편향과 관련된 회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수직 편향 회로가 손상되어 수직 편향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 CRT(6)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횡일선에 의해 그것의 형광막이 타버려 CRT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 내 트랜지스트(Q1)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의 전압일 때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사 구간 동안에 제어 그리드(G1)로 바이러스 전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CRT 보호 회로(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WITH CATHODE RAY TUBE PROTECTION FUNCTION)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의 주 장치(main unit), 게임 기기, 영상 장치 등과 같은 호스트(host)에 연결되어 주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은 음극선관(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편향(vertical deflection)과 관련된 회로들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해 CRT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CRT 표시 모니터 장치의 전형적인 예로서 컴퓨터 시스템용 모니터 장치의 수직 편향 회로 주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고, 제2a도 및 b도는 수직 편향 전압(Vout) 및 전류의 파형이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 편향 회로는 발진에 의해 수직 편향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발진부(10)와, 상기 편향 신호를 증폭하는 수직 증폭부 또는 수직 구동부(12), 수직 편향 요크(18)에 톱니파 전류 신호(도 2b 참조)를 공급하는 수직 출력부(14) 및, 톱니파 신호의 찌그러짐을 보정하는 파형 보정부(16)를 구비한다.
수직 편향 회로로부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수직 편향 신호(Vout)가 발생되면 이 신호에 의해 수직 편향 요크(18)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게 된다.
수직 편향 신호의 한 주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사 구간(Ts)과 귀선 구간(Tr)으로 구성되며 (도 3 참조), 주사 구간(Ts) 동안에는 CRT 화면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전자 빔들의 편향이 이루어지고, 귀선 구간(Tr) 동안에는 다음의 편향을 위해 CRT 화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전자 빔(electron beam)들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귀선 구간(Tr)은 주사 구간(Ts)보다 짧으며, 이 구간(Tr) 동안에는 다음의 편향을 위해 전자 빔들의 CRT의 상부로 옮겨지기 때문에 CRT 화면상의 빔들이 표시될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한 회로가 바로 도 1에 도시된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grid voltage control circuit)(20)이다.
이 회로(20)는 귀선 구간 동안에 CRT의 그리드 G1로 소정의 음의 전압(예컨대, -30 V)을 공급하여 전자 총들로부터 CRT의 형광막으로 전자 빔들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는 종래의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은 제너 다이오드(ZD1)와, 저항기들(R1∼R6), NPN 트랜지스터(Q1), 다이오드들(D1, D2), 커패시터들(C1∼C4) 및, 가변 저항기(VR1)로 구성된다. 제너 다이오드(ZD1)의 캐소우드(cathode)는 수직 편향 회로의 출력부(14)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편향 신호(Vout)에 연결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노우드(anode)에는 저항기(R1)의 한 단자와 커패시터(C1)의 한 단자가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항기(R1)의 다른 단자에는 커패시터(C2)의 한 단자와 저항기(R2)의 한 단자 밑 NPN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는 저항기(R3)의 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저항기(R3)의 다른 단자는 전원 전압(Vcc)에 연결된다.
다른 하나의 전원 전압인 접지 전압(GND)에는 커패시터(C1)의 다른 단자, 커패시터(C2)의 다른 단자, 저항기(R2)의 다른 단자 및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가 각각 연결된다.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그것의 애노우드는 접지 전압(GND)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3)의 한 단자도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그것의 다른 단자는 CRT(6)의 그리드(G1)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항기(R4)를 통하여 가변 저항기(VR1)의 가변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가변 저항기(VR1)의 한 단자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는 저항기(R5)가 연결되고, 상기 가변 저항기(VR1)의 다른 접지 전압(GND) 사이에는 저항기(R6) 및 커패시터(C4)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저항기(R6) 및 상기 커패시터(C4)의 접속 노드에는 다이오드(D2)의 애노우드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는 음의 전원 전압(-VBB)에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에서, 제너 다이오드(ZD1)와 커패시터들(C1, C2) 및 저항기들(R1, R2)은 주사 구간(Ts)과 귀선 구간(Tr)을 검출하는 구간 검출부로서 작용하고, 저항기들(R4∼R6)과 가변 저항기(VR1), 커패시터(C4), 다이오드(D2) 및 전원 전압(-VBB)은 노드(N2)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구간 검출부(ZD1, C1, C2, R1, R2)가 주사 구간을 검출할 때 오프(OFF)되고, 귀선 구간을 검출할 때 온(ON)되는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편향 신호(Vout)는 주사 구간(Ts)에서 보다 귀선 구간(Tr)에서 더 높은 전압으로 유지된다.
주사구간(Ts)에서의 수직 편향 신호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나 귀선 구간(Tr)에서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검출된다.
주사구간(Ts) 동안에는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수직 편향 신호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트래지스터(Q1)의 베이스는 개방(open)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1)는 부도통(turn-off)된다.
따라서, 이때 노드(N1)의 전압은 하이 레벨(high level) 즉, VCC-I×R3(여기서, I는 R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으로 된다.
반면, 귀선 구간 동은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수직 편향 신호 전압이 검출되고, 검출된 전압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Q1)가 도통(turn-off)된다.
따라서, 노드(N1)의 전압은 로우 레벨(low level) 즉, 접지 전압(GND)으로 된다.
결국,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수직 편향 신호(Vout)가 연속적으로 그리드 전압 제어부(20)로 제공되면, 노드(N1)의 전압은 교대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로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리드(G1)는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드(G1) 전압의 가변 범위는 통상 -30V에서 OV의 범위를 갖는다.
그리드(G1)의 전압이 가변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는 경우에는 전자총에서 발생되는 전자량은 최대가 되고, 최소가 되는 경우에는 전자량이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그리드(G1) 전압의 가변 범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자총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량이 조절된다.
그리드(G1) 전압의 조절은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첫째,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화면의 밝기 조절은 가변 저항기(VR1)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변 저항기(VR1)의 저항값을 조절하게 되면 그리드(G1)의 전압이 가변되는 범위를 조절된다.
즉, 그리드(G1) 전압의 가변 범위를 전체적으로 높게하거나 낮게 하게 된다.
그리드(G1) 전압의 최대치가 높게 설정되면 화면은 밝아지게 되고, 낮게 설정되면 화면은 어두워지게 된다.
둘째, 주사 구간(Ts)에서는 그리드(G1) 전압이 가변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어 전자총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자빔이 출력하게 하며, 귀선 구간(Tr)에서는 그리드(G1)전압이 최소가 되어 전자빔이 출력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CRT(6)의 전자총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그리드(G1)의 전압을 가변시키는 것이 필요한 데, 통상 상기 그리드(G1)의 전압은 -30∼0V의 범위내에서 가변된다.
노드(N2)의 전압이 0V가 되면 전자총들로부터 최대량의 전자들이 방출되어 CRT(6)의 화면이 가장 밝아지고, -30V가 되면 최소량의 전자들이 방출되어 CRT(6)의 화면이 가장 어두워진다.
따라서 귀선 구간(Tr) 동안에는 노드(N2)의 전압이 -30V가 되도록 하면 CRT(6)의 화면에는 전자빔들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는 그것의 다음단으로 직류 성분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나 교류 성분은 전달되도록 하는 특성을 가진다.
커패시터(C3)는 노드(N1)의 교류적인 전압 파형을 노드(N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주사 구간(Ts) 동안에 노드(N1)는 하이 레벨의 전압(VCC1-I×R3, VCC=30V)을 유지한다.
그리고 노드(N2)는 거의 0V의 전압을 유지한다.
그러다 귀선 구간(Tr)으로 되면, 노드(N1)의 전압은 접지전압(GND)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노드(N2)의 전압레벨은 노드(N1)의 변화량만큼 전압 강하가 이루어져 거의 -30V로 변화된다.
그리고 다시 주사 구간(Ts)으로 변화되면 노드(N1)은 다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노드(N2) 전압도 거의 0V로 변환되다.
이러한 과정은 수직 편향 신호(Vout)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반복된다.
그러나, 종래의 CRT 표시 모니터 장치에서, 호스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수평 편향 회로는 정상적이지만 수직 편향 회로가 손상되면 수직 편향 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전자 빔들의 수평 편향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수직 편향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CRT의 화면상에 횡일선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상태가 오랫 동안 지속되면 횡일선이 나타난 곳의 형광막이 타버려 결국 CRT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CRT 표시 장치에서 수직 편향과 관련된 회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됨으로 인해 CRT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1도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 표시 모니터 장치의 수직 편향과 관련된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제2도는 수직 편향 전압 및 전류의 개략적 파형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보호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음극선관 10 : 수직 발진부
12 : 수직 증폭부 14 : 수직 출력부
16 : 파형 보정부 18 : 수직 편형 요크
20 : 그리드 전압 제어부 100 : 음극선관 보호 회로
D1, D2 : 다이오드 ZD1, ZD2 : 제너 다이오드
R1∼R9 : 저항기 C1∼C6 : 커패시터
VR1 : 가변 저항기 Q1, Q2 : 트랜지스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CRT 표시 장치는; 형광막과, 상기 전자 총들로터의 전자 빔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그리그(G1)를 가지는 CRT와; 수직 편향 신호(Vout)의 주사 구간(Ts) 동안에 상기 제어 그리드로 소정의 제1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빔들이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 편향 신호의 귀선 구간(Tr) 동안에 소정의 제2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빔들이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 및; 상기 수직 편향 신호가 정상적인 파형을 갖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수직 편향 신호가 정상적인 파형을 갖지 않을때, 상기 주사 구간 동안에 상기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그리드로 상기 제2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CRT 보호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주사 구간 및 상기 귀선 구간을 검출하는 구간 검출 수단과; 소정의 제1전원 전압(Vcc)에 연결되는 저항 수단과; 상기 제어 그리드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저항 수단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소정의 제2전원 전압(GND)에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는 제어 단자를 가지고, 상기 구간 검출 수단이 상기 주사 구간을 검출할 때 오프 상태로 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귀선 구간을 검출할 때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단자의 전압을 상기 제어 그리드로 전달하여 상기 단자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CRT 보호 수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단장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과;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소정 레벨 이하의 전압을 검출할 때 상기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출력 전압을 실질적으로 상기 제2전압까지 강하시키는 전압 강하 수단을 구비한다.
[실시예]
다음에는 도 4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CRT 보호 회로를 가지는 CRT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에 연결되는 CRT 보호 회로 (100)를 구비한다.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의 제너 다이오드(ZD1)와, 커패시터들(C1, C2) 및 저항기들(R1, R2)은 수직 편향 신호(Vout)의 주사 구간(Ts) 및 귀선 구간(Tr)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항기들(VR1, R4∼R6)과 커패시터(C4) 및 다이오드(D2)는 노드(N2)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한다.
NPN 트랜지스터(Q1)은 수직 편향 신호의 주사 구간이 검출될 때 오프 상태로 되고, 귀선 구간이 검출될 때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커패시터(C3)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노드(N1)에 나타나는 전압 파형을 노드(N2)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켈렉터 전압의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변화되도록 한다.
즉, 구사 구간(Ts) 동안에는 노드(N1)는 하이 레벨의 전압(Vcc1-I×R3), Vcc=30V)을 유지한다.
그리고 노드(N2)는 거의 0V의 전압을 유지한다.
그러다 귀선 구간(Tr)으로 되면 노드(N1)의 전압은 접지 전압(GND)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노드(N2)의 전압 레벨은 노드(N1)의 변화량만큼 전압 강하가 이루어져 거의 -30V로 변화된다.
그리고 다시 주사 구간(Ts)으로 변화되면 노드(N1)은 다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노드(N2) 전압도 거의 0V로 변화된다.
이러한 과정은 수직 편향 신호(Vout)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반복된다.
CRT 보호 회로(100)는 커패시터들(C5, C6)과, 제너 다이오드(ZD2), 저항기들(R7∼R10) 및, PNP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커패시터(C5)의 한 단자는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 내의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즉, 노드(N1)에 연결되고, 그것의 다른 단자는 제너 다이오드(ZD2의 캐소우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ZD2)의 애노우드에는, 커패시터(C6) 및 저항기들(R7, R10) 각각의 한 단자가 연결된다.
저항기(R7)의 다른 단자에는 PNP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저항기들(R8, R9)에는 그것의 에미터 및 컬렉터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저항기(R8)의 다른 단자는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 내의 가변 저항기(VR1)와 커패시터(C4)의 접속 노드(N4)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6)와 저항기(R9) 및 저항기(R10) 각각의 다른 단자는 접지 전압(GND)에 연결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동작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CRT 보호 회로(100)에서, 커패시터들(C5, C6), 제너 다이오드(ZD2) 및 저항기들(R7, R10)은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저항기들(R8, R9) 및 트랜지스터(Q2)는 상기 켈렉터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일 때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바이어스 수단(VR1, R4∼R6, C4, D2)의 출력 전압을 전자총들로부터 전자빔이 형광막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전압(예컨대 -30V 정도)까지 강하시키는 전압 강하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이,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 내의 제너 다이오드(ZD1)와 커패시터들(C1, C2) 및 저항기들(R1, R2)은 주사 구간(Ts)과 귀선 구간(Tr)을 검출하는 구간 검출부로서 작용하고,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구간 검출부(ZD1, C1, C2, R1, R2)가 주사 구간을 검출할 때 오프되고 귀선 구간을 검출할 때 온 되는 스위치로서 작용한다.
커패시터(C3)는 노드(N1)의 교류적인 전압을 노드(N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저항기들(R4∼R6), 가변 저항기(VR1), 캐패시터(C4), 다이오드(D2) 및, 전원 전압(-VBB)은 노드(N2)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가변 저항기(VR1)의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수직 편향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수직 편향 신호(Vout)가 그리드 전압 제어 회로(20)로 연속적으로 제공되면, 스위칭 소자인 트랜지스터(Q1)의 노드(N1)의 전압은 교대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로 된다.
이때, CRT 보호 회로(100) 내의 커패시터들(C5, C6) 및 제너 다이오드(ZD2)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즉, 노드(N1)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로서 작용한다.
CRT 보호 회로(100) 내의 저항기들(R7∼R10)과 PNP 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전압 검출부(C5, C6, ZD2)의 출력 전압에 의해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바이어스 전압을 강하시킨다.
CRT 표시 장치의 수직 편향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즉 수직 출력부(14)로 부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파형의 수직 편향 신호(Vout)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노드(N1)의 전압이 상기 수직 편향 신호의 주사 구간(Ts) 동안에는 하이 레벨로 그리고 귀선 구간(Tr) 동안에는 로우레벨로 된다. 주사 구간(Ts) 동안의 하이레벨 전압은 커패시터(C6)를 충전한다.
귀선 구간(Tr)동안에 상기 커패시터(C6)의 전압은 저항(R10)을 통하여 약간 방전되나 상기 커패시터(C6)의 전압은 접지 전압(GND) 이상으로 유지된다.
커패시터(C6)의 전압은 저항(R7)을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2)는 부도통된다.
그 결과, 노드(N2)로는 정상적인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다음, 호스트로부터 CRT 표시 장치로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지 않거나, CRT의 동기 신호 처리기 직접 회로의 오동작 또는 수직 편향 직접 회로의 불량 등으로 인해 수직 편향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드(N1)에는 직류 전압이 공급되므로 노드(N1)의 전압은 계속 하이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드(N1)의 전압도 변화가 없으므로 0V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11)의 전압은 커패시터(C5)에 의해 커패시터(C6)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커패시터(C6)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기(R10)를 통해 방전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는 접지 전압(GND)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저항기(R10)는 수직 편향과 관련된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외부 요인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커패시터(C6)에 충전된 전압을 신속히 방전시킨다.
이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면, 저항기(R6)에 저항기들(R8, R9)이 병렬로 연결되어 노드(N3)와 노드(N4) 양단의 저항값이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부도통 상태에 있을 때보다 훨씬 감소하게 된다.
이는 결국 노드(N2)로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하강을 초래하여 제어 그리드(G1)로 공급되는 전압 즉, 노드(N2)의 전압이 -30V로 대폭 낮아져 CRT(6)의 화면 상에서 래스터(rester)가 발생되지 않음로써 CRT가 보호된다.
이상과 같이, 수직 편향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저항기(R6)의 양단에 저항기들(R8, R9)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여 전체 저항값을 낮게 함으로 그리드(G1)로 공급되는 전압을 0V에서 -30V로 낮게하여 전자 빔의 발생을 막는다.
비록 여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용 모니터 장치를 예로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CRT를 사용하는 어떤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호스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공급되지 않거나 수평 편향 회로는 정상적이지만 수직 편향 회로가 손상되어 수직 편향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 CRT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횡일선으로 인해, CRT의 형광막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형광막과, 상기 전자 총들로부터의 전자 빔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그리그(G1)를 가지는 CRT(6)를 구비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수직 편향 신호(Vout)의 주사 구간(Ts) 동안에 상기 제어 그리드(G1)로 소정의 제1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빔들이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 편향 신호의 귀선 구간(Tr) 동안에 소정의 제2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빔들이 상기 형광막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20) 및; 상기 수직 편향 신호(Vout)가 정상적인 파형을 갖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수직 편향 신호가 정상적인 파형을 갖지 않을 때, 상기 주사 구간 동안에 상기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그리드로 상기 제2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CRT 보호 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은 0V이고, 상기 제2전압은 -3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전압 제어 수단은; 상기 주사 구간 및 상기 귀선 구간을 검출하는 구간 검출 수단(ZD1, C1, C2, R1, R2)과; 소정의 제1전원 전압(Vcc)에 연결되는 저항 수단(R3)과; 상기 제어 그리드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수단(VR1, R4~R6, C4, D2)과; 상기 저항 수단에 연결되는 제1단자와, 소정의 제2전원 전압(GND)에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는 제어 단자를 가지고, 상기 구간 검출 수단이 상기 주사 구간을 검출할 때 오프 상태로 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귀선 구간을 검출할 때 온 상태로 되는 스위칭 수단(Q1)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단자의 전압을 상기 제어 그리드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 단자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수단(C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RT 보호 수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과;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소정 레벨 이하의 전압을 검출할 때 상기 수직 편향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바이어스 수단의 출력 전압을 실질적으로 상기 제2전압까지 강하시키는 전압 강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제2전원 전압(GND)에 한 단자가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4)와, 상기 제1커패시터(C4)의 다른 단자에 에노우드가 연결되고 소정의 제3전원 전압(-VBB)에 캐소우드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제2전원 전압과 상기 다이오드(D2)의 상기 애노우드 사이에 순차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저항기들(R5, VR1, R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수단은, 상기 제1커패시터와 연결된 상기 제3저항기(R6)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4 및 제5저항기들(R8, R9)과, 상기 제4 및 제5저항기들(R8, R9)에 전류 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상기 소정 레벨 이상의 소정 레벨 이상의 전압을 검출할 때 오프 상태로 되고,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상기 소정 레벨 이하의 전압을 검출할 때 온 상태로 되는 다른 하나의 스위칭(Q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단자에 한 단자가 연결되는 제2커패시터(C5)와; 상기 제1커패시터의 다른 단자에 캐소우드가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우드에 한 단자가 연결되는 제6저항기(R7)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애노우드와 상기 제6저항기 사이에 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 전압에 다른 단자가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6)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의 상기 애노우드와 상기 제6저항기 사이에 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 전압에 다른 단자가 연결되는 제7저항기(R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스위칭 수단(Q2)은, 에미터 및 컬렉터가 상기 제4 및 제5저항기들(R8, R9)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상기 제6저항기(R7)에 연결되는 PNP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KR2019960024129U 1996-08-10 1996-08-10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KR200150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129U KR200150311Y1 (ko) 1996-08-10 1996-08-10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129U KR200150311Y1 (ko) 1996-08-10 1996-08-10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680U KR19980010680U (ko) 1998-05-15
KR200150311Y1 true KR200150311Y1 (ko) 1999-07-01

Family

ID=1946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129U KR200150311Y1 (ko) 1996-08-10 1996-08-10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3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356B1 (ko) * 1999-11-08 2002-06-03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방전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680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5742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JP2876093B2 (ja) 映像管用グリッドバイアス制御回路
CA2041228C (en) Protection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KR100659989B1 (ko) 투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교정 방법
CA2041229C (en) Projection tv deflection loss protection circuit
KR200150311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JP4172823B2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JP3432508B2 (ja) 垂直偏向回路
KR19990083508A (ko) 고전압전원회로
KR100364735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밝기에 따른 고압 출력부 제어 회로
JPH07212679A (ja) Crtの高圧放電回路
KR960006107Y1 (ko) 제1 그리드 뮤팅회로
JP2865145B2 (ja) 陰極線管のバックラスタ制御装置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KR200159449Y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 회로
KR950001131B1 (ko) 모니터의 비임전류제어회로
KR0160826B1 (ko) 모니터의 과열 방지회로
KR200327956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200349506Y1 (ko) 모니터의 레귤레이션 보정회로
KR200158597Y1 (ko) 비디오 뮤트 회로
KR20030045953A (ko) 모니터의 레귤레이션 회로
KR920000910Y1 (ko) 음극선관의 빔전류 제한회로
KR19990039763U (ko) 디스플레이의 화면크기 보상회로
KR19980053013A (ko) 모니터에서 자동 휘도제한시 비디오신호 보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