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07Y1 - 제1 그리드 뮤팅회로 - Google Patents

제1 그리드 뮤팅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07Y1
KR960006107Y1 KR2019930001189U KR930001189U KR960006107Y1 KR 960006107 Y1 KR960006107 Y1 KR 960006107Y1 KR 2019930001189 U KR2019930001189 U KR 2019930001189U KR 930001189 U KR930001189 U KR 930001189U KR 960006107 Y1 KR960006107 Y1 KR 960006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ing
grid
signal
video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802U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1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107Y1/ko
Publication of KR940019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 그리드 뮤팅회로
제1도는 종래의 뮤팅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제1 그리드 뮤팅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제1그리드 뮤팅회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뮤팅 검출부 20 : 비데오 뮤팅 제어부
30 : 비데오 콘트라스트부 40 : 제1리드 뮤팅 제어부
50 : 제1그리드 회로 R1∼14 : 저항
C1∼C7 : 콘덴서 ZD1∼ZD3 : 제너 다이오드
D1 : 다이오드 VR1, VR2 : 가변저항
Q1∼Q4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다중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모드 변환 또는 파워 온시 캐소드 레이튜브(Cathod Ray Tube : 이하, CRT라 칭함)의 제1그리드(G1)를뮤팅시킴으로써 라스터가 왜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그리드 뮤팅회로에 관한 것이다.
열전자를 방출시켜서 가느다란 전자빔으로 형광면에 충돌케 하며, 또 충돌하는 전자량을 임의로 제어하는 전자총은 원통형의 캐소드와 그리드 및 애노드로 이루어지며, 그리드중 제1그리드(G1)는 억제 그리드로서 캐소드에서 발산되는 전자의 양을 제어하여 휘도변화(밝기 변화)를 제어한다.
제1도는 종래의 뮤팅회로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제공받아 모드 변환시 또는 파워 온시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뮤팅검출부(1)과, 상기 뮤팅검출부(1)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로부터 뮤팅신호를 제공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오 뮤팅 제어부(2)와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에 연결되어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비데오 신호를 제어하여 휘도신호를 변화시키는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로 구성되어,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신호중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상기 뮤팅검출부(1)에 인가되면, 상기 뮤팅검출부(1)은 동기신호의 초기(즉, 파워 온시) 또는 주파수와 동기신호의 극성이 변경되었을 때 (즉 모드 변환)이를 검출한 후 뮤팅신호를 비데오 뮤팅 제어부(2)로 출력시킨다.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는 출력단에 연결된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의 제어가 최소가 되도록 컷오프(Cutoff)하여 비데오 뮤팅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는 컴퓨터 비데오 신호의 증폭을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뮤팅회로는 비데오 신호를 제어하게 되어 있으므로 백라스터를 살렸을 때, 즉 CRT를 컷오프에서 액티브로 전환하였을 때 모니터의 파워가 온되거나 모드 변환이 있으면 유저에게 라스터왜곡을 보여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비데오 신호와 CRT의 제1그리드를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에 뮤팅시켜줌으로써 파워 온이나 모드 변환시 라스터 왜곡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제1그리드 뮤팅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수평, 수직 동기신호를 제공받아 파워 온시 또는 모드 변환시에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뮤팅검출부와, 상기 뮤팅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오 뮤팅제어부와,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인가된 비데오 신호의 휘도를 제어하는 비데오 콘트라스트부로 이루어진 뮤팅회로에 있어서, 상기 뮤팅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그리드 뮤팅 제어부와, 상기 제1그리드 뮤팅 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리드 뮤팅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RT의 제1그리드를 제어하여 CRT의 백라스터를 제어하는 제1그리드 회로로 이루어지는 제1그리드 뮤팅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제1그리드 뮤팅회로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수평, 수직 동기신호를 제공받아 파워 온시 또는 모드 변환시에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뮤팅검출부(10)와,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와,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인가된 비데오 신호의 휘도를 제어하는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와,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와,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리드 뮤팅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RT의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RT의 제1그리드를 제어하여 CRT의 백라스터를 제어하는 1그리드 회로(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의 출력단에는 비데오 구동회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1그리드 회로(50)의 입력단에는 수직 블랭킹회로가 연결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상세 회로도로서, 비데오 뮤팅 제어부(20)는 상기 뮤팅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뮤팅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와 베이스단과 뮤팅검출부(10) 사이에는 바이어스용 저항(R6)과 콘덴서(C4)가 연결된다.
그리고,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는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PNP타입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는 전원 전압(12V)과 저항(R1) 및 콘덴서(C1, C2)를 통해 비데오 구동회로가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는 콘덴서(C3)와 저항(R3)을 통해 가변 저항(VR1)과 저항(R4, R5) 및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ZD1)가 연결되고 또한, 전원 전압(12V)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는, 상기 뮤팅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뮤팅신호에 따라 일정한 전압(30V)을 드롭시키는 제너 다이오드(ZD2, ZD3)가 상기 뮤팅검출부(10)과 저항(R7) 및 콘덴서(C5)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ZD3)의 애노드측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는 전원 전압(-30V)이 저항(R8)을 통해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전압을 분배시키는 저항(R11)과 가변 저항(VR2)이 저항(R9)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 및 저항(R10)에 연결되어 제1그리드 전압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1그리드 회로(50)는 수직 불랭킹회로가 저항(R14)과 콘덴서(C6)를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에는 다이오드(D1), 저항(R12) 및 콘덴서(C7)를 통해 제1그리드(G1)가 연결된다.
이때, 제1그리드(G1)는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저항(R10)에도 공통으로 접속된다.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제1그리드 뮤팅회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파형도로서, 제4도(a)는 뮤팅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뮤팅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고, 제4도(b)는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트단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고, 제4도 (c)는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 CRT의 어느 부분을 제어해도 상관없으나 이 고안은 제1그리드를 제어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아날로그 방식일 경우 백라스터를 살려주기 때문에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 라스터 왜곡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뮤팅검출부(10)에서는 수평, 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파워 온시 또는 변환시에 뮤팅신호를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와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로 출력한다.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에서는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가 컴퓨터로부터 인가된 비데오 신호를 제어하여 휘도를 제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에서는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1그리드 회로(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그리드 회로(50)가 CRT의 제1그리드를 제어하여 CRT의 백라스터를 제어하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컴퓨터에서 비데오 신호와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뮤팅검출부(10)는 현재 상태가 파워 온상태인지, 아니면 모드 변환상태인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의하여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의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어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에 아무런 제어도 행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에는 12V의 전원 전압이 저항(R4)과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 전압이 되고 이 일정 전압이 다시 가변 저항(VR1)과 저항(R5)에 의해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제어함으로써 저항(R2)을 통해 저항(R1)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와 저항(R2)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저항(R1)으로 인가된 전압은 콘덴서(C1, C2)를 통해 비데오 구동회로를 제어하여 비데오 신호를 가감시킨다.
여기서, 저항(R3)과 콘덴서(C3)는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원만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의하여 컴퓨터의 모니터 상태가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로 판별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으로부터 제4도(a)와 같이 하여 레벨의 뮤팅신호가 저항(R6)과 콘덴서(C4)를 통해 비데오 뮤팅제어부(20)의 트랜지스터(Q1)로 제공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상기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의 저항(R2)과 트랜지스터(Q2)에 의해 형성된 전압(X)을 제4도(b)와 같이 제어하여 저항(R1)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의하여 파워 온이나 모드 변환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그리드 회로(50)에 아무런 제어도 행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제1그리드 회로(50)의 트랜지스터(Q4)는 수직 블랭킹 회로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저항(R14)과 콘덴서(C6) 및 저항(R13)을 통해 제공받아 턴온/턴오프 됨으로써 상기 블랭킹 신호를 증폭하여 콘덴서(C7)를 통해 제1그리드(G1)에 공급한다.
여기서, 다이오드(D1)는 보호용 다이오드이다.
한편,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의하여 컴퓨터의 모니터 상태가 파워 온이나 모드 변환시로 판별되면 상기 뮤팅검출부(10)으로부터 제4도(a)와 같이 하여 레벨의 뮤팅신호가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와 동시에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저항(R7)과 콘덴서(C5)를 통하여 제너 다이오드(ZD2, ZD3)로 제공되어 30V 드롭된다. 그리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ZD2, ZD3)에서 드롭된 전압은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킨다.
여기서, 상기 저항(R7, R8)과 콘덴서(C5) 및 제너 다이오드(ZD2, ZD3)는 상기 트랜지스터(Q3)가 -30V커먼이므로 상기 뮤팅검출부(10)로부터 제공되는 뮤팅신호를 가지고 상기 트랜지스터(Q3)를 원만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저항(R10)에 연결된 저항(R11)과 가변 저항(VR2)은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 형성된 전압(Y)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3)가 제4도(c)와 같이 제1그리드 전압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은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 이를 검출한 후 제1그리드를 뮤팅시킴으로써 파워 온시나 모드 변환시 발생하는 라스터 왜곡이 제거되어 유저로 하여금 완벽한 화상을 볼수 있게 하며 제1그리드 제어를 위해 소형의 트랜지스터가 이용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평, 수직 동기신호를 제공받아 파워 온시, 동기신호 무시 또는 모드 변환시에 뮤팅신호를 출력하는 뮤팅검출부(10)와,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와,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데오 뮤팅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인가된 비데오 신호의 휘도를 제어하는 비데오 콘트라스트부(30)로 이루어진 뮤팅회로에 있어서,
    상기 뮤팅검출부(10)에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와,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RT의 제1그리드를 제어하여 CRT의 백라스터를 제어하는 제1그리드 회로(50)로 이루어지는 제1그리드 뮤팅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드 뮤팅제어부(40)는,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 출력단과 -30V 전원 전압단이 베이스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뮤팅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뮤팅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되는 -30V 커먼을 가지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뮤팅검출부(10)의 뮤팅신호 출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을 30V 드롭시키는 제너 다이오드(ZD2, ZD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제1그리드(G1)가 연결된 저항(R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콜렉터단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시켜 제1그리드를 제어하는 저항(R11) 및 가변 저항(VR2)으로 이루어지는 제1그리드 뮤팅회로.
KR2019930001189U 1993-01-30 1993-01-30 제1 그리드 뮤팅회로 KR960006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189U KR960006107Y1 (ko) 1993-01-30 1993-01-30 제1 그리드 뮤팅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189U KR960006107Y1 (ko) 1993-01-30 1993-01-30 제1 그리드 뮤팅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02U KR940019802U (ko) 1994-08-22
KR960006107Y1 true KR960006107Y1 (ko) 1996-07-20

Family

ID=1935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189U KR960006107Y1 (ko) 1993-01-30 1993-01-30 제1 그리드 뮤팅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02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5742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US5555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ideo state of a video display having a picture-in-picture function
KR960006107Y1 (ko) 제1 그리드 뮤팅회로
KR830002170B1 (ko) 자동 휘도 제어회로
US4584596A (en) Television receiver alignment system
US5463289A (en) First grid muting circuit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US6285143B1 (en) Video display protection circuit
US6137245A (en) Circuit for generating control grid voltage for cathode ray tube
KR19980047486U (ko) 멀티싱크 모니터에 있어서 g1 전압 뮤팅회로
KR100190110B1 (ko) 전원 오프시 화면 밝아짐 개선회로
KR200150311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KR200158597Y1 (ko) 비디오 뮤트 회로
JPH09163173A (ja) 陰極線管駆動回路
KR200175684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포트 킬러 회로
KR940002188Y1 (ko) 모니터 화면 안정화 회로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KR100229511B1 (ko) 제 1 그리드 뮤팅회로
JP2743412B2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KR100220347B1 (ko) 편향 ic의 전원입력장치
US6307335B1 (en) Braun tube discharge apparatus
KR840001465B1 (ko) 영상신호 처리회로
KR960008269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예약 설정 안정화 회로
KR100466325B1 (ko) 불안정한 화면상태 제거장치
KR1999004224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키 재정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