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798Y1 -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798Y1
KR200149798Y1 KR2019960019964U KR19960019964U KR200149798Y1 KR 200149798 Y1 KR200149798 Y1 KR 200149798Y1 KR 2019960019964 U KR2019960019964 U KR 2019960019964U KR 19960019964 U KR19960019964 U KR 19960019964U KR 200149798 Y1 KR200149798 Y1 KR 200149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achine tool
control circuit
machine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957U (ko
Inventor
최종철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60019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798Y1/ko
Publication of KR980006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4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compensation, e.g. for backlash, overshoot, tool offset, tool wear, temperature, machine construction errors, load, inerti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시간지연회로를 연결구성하여 터치센서의 충격에 의한 오동작에 따른 공구보정량 입력을 방지하여 공작기계를 운전하던 도중 기계의 충돌을 막는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보정의 개략적인 전체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의 전체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터치센서부 2, 30 : PLC입력부
20 : 지연회로 LS1~LS4 : 터치센서
R1~R4 : 저항 C1~C4 : 콘덴서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시간지연회로를 연결구성하여 터치센서의 충격에 의한 오동작에 따른 공구보정량 입력을 방지하여 공작기계를 운전하던 도중 기계의 충돌을 막는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공작기계 공구보정제어회로는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를 병렬로 연결하는 터치센서부(1)와, 상기한 터치센서부(1)의 출력신호로 공구보정량으로 입력하는 PLC입력부(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구보정회로장치는 선반의 공구 각각을 터치센서부(1)의 터치센서(LS1~LS4)에 접촉시키므로서 자동으로 공구의 마모량을 보정하는 장치로서 공구형상에 따라 터치센서(LS1~LS4)에 접촉되면 PLC입력부(2)가 온되고 수치제어장치는 자동으로 현재의 좌표를 계산하여 보정량을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구가 센서에 접촉되었을 때만 공구보정량이 입력되어야 하며 센서에 충격이 가해짐 경우에도 센서의 LS1~LS4가 순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수치제어기는 현재의 공구위치나 마모량에 관계없이 공구보정량으로 입력되므로 기계는 충돌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자기계의 공구마모보정용 타치센서가 오동작하지 않도록 전압이 소장시간동안 흐르지 않도록 시간을 지연하여 PLC입력부에 신호가 입력되므로 기계충돌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의 전체블럭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공구마모보정용 터치센서의 오동작으로 공작기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를 병렬로 연결된 터치센서(LS1~LS4)를 갖는 터치센서부(10)와, 상기한 터치센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한 시간지연회로부(20)와, 상기한 시간지연부(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가 되도록 연결하여 PLC입력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시간지연회로부(30)는 저항(R1~R4)과 콘덴서(C1~C4)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터치센서부(1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시간이 지연되도록 연결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공구마모보정용 터치센서의 오동작으로 공작기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센서부(10)의 터치센서(LS1~LS4)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순간적으로 센서가 접촉되어 온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전압은 시간지연회로부(20)의 저항에 의해 전압이 강하되고 콘덴서(C1~C4)는 충전을 개시하여 콘덴서(C1~C4) 양단의 전압(Vc)가 약 24V전압이 될 때 까지 소정시간동안은 PLC입력부(30)가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터치센서(LS1~LS4)가 소정시간 이상접촉하게 되면 PLC입력부(30)가 동작하게 되어 수치제어기는 자동으로 공구보정량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구보정회로내에 시간지연회로를 연결구성하여 터치센서의 충격에 의한 오동작에 따른 공구보정량 입력을 방지하여 공작기계를 운전하던도중 기계의 충돌을 막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를 병렬로 연결된 터치센서(LS1~LS4)를 갖는 센서부(10)와, 상기한 터치센서부(1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여 시간이 지연되도록 저항(R1~R4), 콘덴서(C1~C4)를 각각 연결하는 시간지연회로부(20)와, 상기한 시간지연부(20)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가 되도록 연결하여 공작기계를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PLC입력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KR2019960019964U 1996-07-04 1996-07-04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KR200149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64U KR200149798Y1 (ko) 1996-07-04 1996-07-04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964U KR200149798Y1 (ko) 1996-07-04 1996-07-04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57U KR980006957U (ko) 1998-04-30
KR200149798Y1 true KR200149798Y1 (ko) 1999-06-15

Family

ID=1946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964U KR200149798Y1 (ko) 1996-07-04 1996-07-04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7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84A (ko) 2021-01-15 2022-07-22 아이에스오에스컨설팅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공구의 보정 알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26B1 (ko) * 2004-08-13 2006-03-24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공구 자동 보정 계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84A (ko) 2021-01-15 2022-07-22 아이에스오에스컨설팅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공구의 보정 알람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5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4966B1 (en) A battery powered key entry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and a power conservation system
EP0071525B2 (en) A power processing reset system for a microprocessor responding to sudden deregulation of a voltage
KR970707373A (ko) 차량 구동 유닛의 제어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US4660140A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adjusting mechanism having a self checking, reduced terminal, microcomputer
KR970701946A (ko) 정전용량에 민감한 스위치와 스위치 배열(Capacitance sensitve switch and switch array)
KR200149798Y1 (ko) 공작기계의 공구보정 제어회로
GB1597919A (en) Electronic switchgear
US5162631A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GB2215893A (en) Information handling and control systems
US4303957A (en) Gap condition sensing circuit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power supply
US7078861B2 (en) Vehicle lamp controll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ntrolling method
US11675023B2 (en) Control device for industrial machines
JPH1168626A (ja) 電力線利用の電流通信回路
KR970007126Y1 (ko) 컴퓨터 수치제어(cnc)공작기계의 오일유니트 제어장치
JPS57103501A (en) Fail-safe system of engine electronic controller
SE8505537D0 (sv) Kontinuerligt likformig regleranordning
KR0180402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JPS61232944A (ja) 車両積載用計算機制御システムの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JPS57195640A (en) Control system for tire press
KR940003666Y1 (ko) 센서의 오픈체크회로
JPS5549046A (en) Change-over state detection circuit of change-over switch
KR100461948B1 (ko) 공작기계의트랜지스터를이용한스위칭회로
KR900008032Y1 (ko) 순간정전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에러방지 회로
KR0184107B1 (ko) 로보트용 입력전원이상유무검출장치
JP2941677B2 (ja) デジタル信号伝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