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312Y1 -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312Y1
KR200149312Y1 KR2019960002918U KR19960002918U KR200149312Y1 KR 200149312 Y1 KR200149312 Y1 KR 200149312Y1 KR 2019960002918 U KR2019960002918 U KR 2019960002918U KR 19960002918 U KR19960002918 U KR 19960002918U KR 200149312 Y1 KR200149312 Y1 KR 200149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oor
boss
remote controll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023U (ko
Inventor
권도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2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312Y1/ko
Publication of KR970053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부케이스의 상부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스위치를 설치하고, 도어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도어를 개폐할 때 삽입돌기가 요홈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도어가 열렸을 때에 상부케이스의 요홈을 통하여 스위치가 노출되고, 도어 내측면의 삽입돌기(8)가 돌출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스위치(15)를 회전하는 도어(11)의 보스(12)에 접촉되게 설치하고, 상기 보스(12)에는 스위치(15)의 단자(17)가 놓여지는 단자수용공간(19)을 형성하여 도어(11)를 개폐할 때에 보스(12)에 의하여 스위치(15)를 작동시키므로써 스위치(15)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본 고안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도어로 작동되는 스위치를 은폐시키므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모콘 콘트롤러의 도어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모트 콘트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열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치 장치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장치를 제1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케이스(1)에 힌지(2)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3)는 상부케이스(1)에 형성되는 걸림홈(4)과 도어(3)의 회전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에 의하여 닫혀졌을 때에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부 케이스(1)에 형성된 걸림홈(4)의 일측에는 요홈(6)이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7)가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도어(3)의 걸림돌기(5)일측에는 상기 요홈(6)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장치는 도어(3)를 닫으면 걸림돌기(5)가 걸림홈(4)에 결합되어 도어(3)의 회전단부가 상부케이스(1)에 고정되면서 삽입돌기(8)가 요홈(6)에 삽입되어 스위치(7)를 눌러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고, 도어(3)를 열면 삽입돌기(8)가 요홈(6)에서 빠져나오면서 스위치 접점이 해제되면서 콘트롤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도어(3)가 열렸을 때에 상부케이스(1)의 요홈을 통하여 스위치(7)가 노출되고, 도어(3)내측면의 삽입돌기(8)가 돌출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은 것이어서 고급의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서는 부적합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스위치를 은폐시키고, 스위치작동을 위한 돌출물을 삭제하므로써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스위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의 보스 안쪽으로 스위치를 근접되게 설치하여 스위치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고, 보스의 외주에는 도어가 열릴 때에 스위치의 단자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보스에 의하여 스위치 접점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일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어가 열린상태의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케이스 11 : 도어
12 : 보스 13 : 고정축
15 : 스위치 18 : 요홈
19 : 단자수용공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10)의 한쪽에는 도어(11)의 보스(12)가 고정축(13)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14)에 스위치(15)가 보스(12)에 근접되게 고정되어 있고, 보스(12)에 근접하는 측벽(16)에는 스위치(15)의 단자(17)가 끼워지는 요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12)의 외주에는 스위치(15)의 단자(17)가 놓여지는 단자수용공간(19)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용공간(19)은 보스(12)의 외주면으로부터 점차 안쪽으로 경사지는 면으로 형성되어 단자(17)가 보스(12)회전시 자유롭게 출몰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15)의 단자(17)는 보스(12)의 수평중심선의 아래쪽에 놓여져서 요홈(18)을 통하여 보스(12)의 외주에 접촉하여 눌려지게 되어 스위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고, 단자수용공간(19)에 놓여짐에 의하여 스위치접점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3도에 보는 바와 같이 도어(11)가 닫혀지면 단자수용공간(19)에 스위치(15)의 단자(17)가 놓여져서 스위치(15)의 접점이 떨어진 상태가 되어 콘트롤회로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11)를 열면 단자수용공간(19)의 경사면에 단자(17)가 접촉하면서 눌려지기 시작하고, 도어(11)가 완전히 열리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17)가 보스(12)의 외주면에 눌려져서 스위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어 콘트롤회로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단자는 보스(12)의 수평중심선의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도어(11)의 개폐부여에 관계없이 언제나 음폐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리모트콘트롤러의 도어개폐시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제품의 미관을 좋게하여 외관디자인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케이스(10)의 일측에 도어(11)의 보스(12)가 고정축(13)으로 고정된 리모트 콘트롤러에 있어서, 고정축(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11)의 보스(12)안쪽으로 스위치(15)를 근접되게 설치하여 스위치(15)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고, 보스(12)의 외주에는 도어(11)가 닫힐 때에 스위치(15)의 단자(17)를 수용하는 공간(19)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보스(12)에 의하여 스위치 접점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KR2019960002918U 1996-02-21 1996-02-21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KR200149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918U KR200149312Y1 (ko) 1996-02-21 1996-02-21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918U KR200149312Y1 (ko) 1996-02-21 1996-02-21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023U KR970053023U (ko) 1997-09-08
KR200149312Y1 true KR200149312Y1 (ko) 1999-06-15

Family

ID=1945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918U KR200149312Y1 (ko) 1996-02-21 1996-02-21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3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91B1 (ko) * 2002-08-08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91B1 (ko) * 2002-08-08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023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312Y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스위치 장치
WO2001087027A3 (en) Electronic device cabinet and electronic device
JP2021523994A (ja) タワー・ファンにおける水タンク・ボタン装置及びタワー・ファン
CN213898464U (zh) 一种智能门锁上的螺纹孔隐藏装置
CN209544220U (zh) 一种可零位按平的旋钮开关
KR200182266Y1 (ko) 자동 도어 자물쇠
KR200288706Y1 (ko) 압력밥솥의 손잡이잠금장치
KR940004167Y1 (ko) 휴대용 PC의 스위치 온-오프(on-off)장치
KR200208963Y1 (ko) 밀폐용 도어핸들
KR10024642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및 방법
KR950007407Y1 (ko) 잭 코넥터 박스
KR200160289Y1 (ko) 액정 캠코더의 액정 패널 온/오프 장치
CN208258230U (zh) 安装外壳
JPH0733331Y2 (ja) 室内電源の開閉装置
KR910006203Y1 (ko) 휴대용 라디오
KR0117880Y1 (ko) 냉장고
KR200176688Y1 (ko) 카메라 부착 도어폰의 체결부 커버 힌지장치
JPS6026386Y2 (ja) 冷蔵庫
KR200176224Y1 (ko) 커버 개폐장치
KR200217768Y1 (ko) 냉장고의홈바용도어스위치고정구조
KR200368149Y1 (ko) 보호덮개가 설치된 멀티탭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KR930008452Y1 (ko) 원격제어용 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