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014Y1 -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014Y1
KR200149014Y1 KR2019960041899U KR19960041899U KR200149014Y1 KR 200149014 Y1 KR200149014 Y1 KR 200149014Y1 KR 2019960041899 U KR2019960041899 U KR 2019960041899U KR 19960041899 U KR19960041899 U KR 19960041899U KR 200149014 Y1 KR200149014 Y1 KR 20014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frame
mounting structure
long sid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865U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1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프레임에 PCB의 장·탈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개선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는, 프레임(100)의 양장변 내측의 장변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PCB(1)의 양장변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부재(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에 PCB를 장착함에 있어서 별도의 PCB 가이드와 리셉터클 (receptacle)을 장착한 그 라운드용 와이어없이 간단하게 장·탈착되고 PCB의 동박판 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작업공수 및 인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
본 고안은 프레임의 PCB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에 PCB의 장·탈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개선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V나 VCR등의 모든 전자제품들은 각종 전자부품들이 소정의 회로를 형성하면서 PCB상에 접합되고, 이러한 PCB는 프레임에 장착되며, 그 프레임을 TV나 VCR등의 하우징 내에서, 장착시켜서 구성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과 PCB의 결합 구조는 크게 프레임(10), 돌출부(11), PCB가이드(20), 걸림턱(21)을 포함한다. 이때, PCB가이드(20)는 PCB(1)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그 장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레일(22)이 형성된다.
종래의 프레임(10)과 PCB(1)의 결합은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우선, 별도로 구비되는 PCB가이드(20)의 가이드레일(22)에 PCB(1)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장착한 다. 그리고 PCB(1)가 장착된 후, 그 PCB가이드(20)의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1)을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에 장착함으로써 세팅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장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는 별도의 PCB가이드(20)를 필요로 하며 또한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 필요시 별도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장착한 그 라운드용 와이어가 필요하게 되므로 프레임에의 PCB 장착이 불편하고 이중, 삼중의 작업공수 및 인원을 필요로 하게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PCB 가이드와 리셉터클(receptacle)을 장착한 그라운드용 와이어없이 간단하게 장 ·탈착됨과 동시에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개선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종래의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a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나타낸 것로서, b는 프레임에 PCB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에 PCB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프레임의 단변방향으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CB 1a : 고정홀
10 : 프레임(종래) 11 : 돌출부
20 : PCB 가이드 21 : 걸림턱
22 : 가이드 레일 100 : 프레임(본 고안)
111 : 고정부재 113 : 걸림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프레임에의 PCB 장착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양 장변내측의 장변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PCB의 양 장변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부재는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게 프레임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고정부재대신에 프레임의 장변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ㄴ자형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과; PCB의 양 장변방향으로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걸림틱과 결합되어 PCB가 장착되도록 하는 소정의 다수개의 고정홀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한 것으로서 a에는 본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그 장착구조는 프레임(100)의 양 장변내측의 장변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부재(111)를 구비한다.
이때, 그 고정부재(111)는 PCB(1)의 동박판과 프레임(100)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게 그 프레임(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의 b는 프레임에 PCB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0)의 PCB(1) 장착구조에 의한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전자부품(도시생략)들이 소정의 회로를 형성하면서 접합된 PCB(1)를 프레임(100)의 양 장변내측의 장변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11)중 전방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11)의 서로 대향하는 사이에 PCB(1)의 양장변을 맞춘후 그 PCB(1)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삽입한다. 계속해서 슬라이딩시키면서 후방의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11)의 서로 대챵하는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한다. 이때 그 각각의 고정부재(111)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PCB(1)가 삽입된때 약간 서로 대향되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졌다가 그 PCB(1)가 완전히 삽입된 후, 다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그 PCB(1)를 강고히 장착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111)가 프레임(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장착한 그라운드용 와이어(도시생략)를 사용하지 않아도 PCB(1)의 동박판과 프레임(100) 간의 그라운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100)에 PCB(1)가 장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프레임(100)의 단변방향으로의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프레임(100)의 PCB(1)장착구조는 제2도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111)대신, 그 프레임(100)의 양 장변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ㄴ자형 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113)과, 그 PCB(1)의 양 장변방향 으로 걸림턱(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걸림틱(113)과 결합되어 PCB(1)가 장착되도록 하는 소정의 다수개의 고정홀(1a)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PCB(1)의 양 장변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홀(1a)을 프레임 (100)의 양 장변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13)에 맞춘다. 그리고 나서 PCB(1)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관통홀(1a)을 걸림턱(113)에 끼운다. 이때걸림턱(113)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외측으로 벌어 졌다가 관통홀(1a)이 완전히 끼워지 면 그와 동시에 다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PCB(1)를 고정하게 된다. PCB(1)를 탈착할시에는 상술한 장착방법과는 반대의 방법으로 걸림턱(113)을 관통홀(1a)의 상단으로부터 젖혀서 이탈시키고 PCB(1)를 프레임(100)으로부터 탈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는 별도의 PCB 가이드와 리셉터클(receptacle)을 장착한 그라운드용 와이어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장·탈착됨과 동시에 PCB의 동박판과 프레임간의 그라운드가 직접 가능하여 재료비 절감은 물론 불필요한 작업공수 및 인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에의 PCB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양 장변내측의 장변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PCB(1)의 양 장변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각각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부재(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1)는 상기 PCB(1)의 동박판과 프레임(100)간의 그라운드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1)대신, 상기 프레임(100)의 양 장변방향으 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ㄴ자형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 (113)과; 상기 PCB(1)의 양 장변방향으로 상기 걸림틱(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걸림턱(113)과 결합되어 그 PCB(1)가 장착되도록 하는 소정의 다수 개의 고정홀(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
KR2019960041899U 1996-11-26 1996-11-26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KR20014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99U KR200149014Y1 (ko) 1996-11-26 1996-11-26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99U KR200149014Y1 (ko) 1996-11-26 1996-11-26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865U KR19980028865U (ko) 1998-08-05
KR200149014Y1 true KR200149014Y1 (ko) 1999-06-15

Family

ID=1947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899U KR200149014Y1 (ko) 1996-11-26 1996-11-26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461A (ko) * 1998-01-26 1999-08-16 윤종용 모니터의 접지조립체
KR100607853B1 (ko) * 1998-09-04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46691B1 (ko) * 2006-09-20 2007-08-06 주식회사 대한전광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865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9014Y1 (ko) 프레임의 피씨비장착구조
JPH0617345Y2 (ja) ジャックの取付け装置
JP2567212B2 (ja) 個別呼出用受信機の液晶
KR20020015937A (ko) 전기기기의 스위치 붙임구조
KR890007036Y1 (ko) 전기 · 전자기기의 파워트랜스 부착장치
KR930008440Y1 (ko) 전기전자 기기의 내장물 결합 장치
KR880000870Y1 (ko) 휴대용 테레비젼의 전원회로용 기판
JPH0438546Y2 (ko)
KR200150496Y1 (ko) 파워코드 스토퍼의 고정체
US6018190A (en) I/O card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960010731Y1 (ko) 튜너샤시의 단자핀 결합장치
JPH0319262Y2 (ko)
JPS6235271Y2 (ko)
JPS6088446U (ja) 電気機器の固定装置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JPH0119778Y2 (ko)
KR100382494B1 (ko) 회로기판지지프레임-회로기판 어셈블리
KR0125032Y1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메인pcb기판 접지장치
KR200159249Y1 (ko) 모니터의 내부 마이크로 폰 고정장치
KR910003968Y1 (ko) 인쇄회로기판(pcb) 고정장치
KR970005030Y1 (ko) 모니터의 일체형 시일트 케이스
JPH0142368Y2 (ko)
KR890005514Y1 (ko) 텔레비젼 튜너의 안테나 단자구(端子具) 결합장치
JPS5816209Y2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取付装置
KR0139031Y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