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925Y1 -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925Y1
KR200148925Y1 KR2019960029408U KR19960029408U KR200148925Y1 KR 200148925 Y1 KR200148925 Y1 KR 200148925Y1 KR 2019960029408 U KR2019960029408 U KR 2019960029408U KR 19960029408 U KR19960029408 U KR 19960029408U KR 200148925 Y1 KR200148925 Y1 KR 200148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earing
motor shaft
automobiles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114U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준
Priority to KR2019960029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9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주요구성요소로 채택되어 모터축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모터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본체 저부측으로 소정높이 및 소정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부를 돌출형성하여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부는 모터의 몸체 일측으로 강제 압입되도록 구성하여, 모터축의 각도변환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상기한 모터축의 각도변환을 소정범위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각도 조절되어져 모터 축과의 중심을 항상 일치시킴으로써, 모터축과 베어링의 각도편차에 따른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을 차단하여 모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작업공수 및 생산단가를 월등히 절감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에 적용되는 베어링의 구성 및 설 치상태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에 적용되는 자동조심형 베어링의 구 성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적용례를 나타낸 발췌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적용례가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100 : 베어링 2, 2' : 모터 몸체
110 : 본체 120 : 지지돌기부
130 : 흡진, 흡음부재 M :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
MS : 모터축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축을 지지하도록 된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기능을 갖는 베어링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모터축과 베어링의 각도편차에 따른 소음, 진동 및 과부하 등의 발생을 차단하고, 작업공수 및 제작단가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이하 「모터 」라 한다)에서는 상기 모터를 이루는 모터축의 양끝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필수구성요소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베어링의 구성 및 설치상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의 분말 야금법으로 제작된 원통형의 베어링(1)을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모터(M)의 몸체(2) 일측으로 강제 압입시킨 다음 모터축(MS)을 삽입시켜 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베어링(1)과 모터축(MS)과의 조립, 결합과정에서 상호간에 그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매우 까다롭고, 모터(M)의 기능에 의해 모터축(MS)의 각도가 변환될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베어링(1)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국 모터축(MS)과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1)간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어짐으로써, 이로인한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으로 모터(M)의 과열을 초래하여 모터(M) 성능에 치명적인 지장을 초래하는 실정이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베어링(1)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모터축 (MS)의 각도변환에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각도가 자동조 절되는 자동조심형 베어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베어링의 구성 및 설치상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M)의 몸체(2)내에서 어느정도 유동 될 수 있도록 구형의 형태를 갖는 베어링(10)과, 상기 베어링(10)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20)로써 결합구성되며, 상기한 베어링(10)을 몸체(2) 일측에 내장시킨 후 리테이너(20)를 압입시킨 상태에서 모터축(MS)을 베어링(10)내에 삽입시켜 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베어링(10)은 모터축(MS)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상기 모터축(MS)의 각도변환에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요동되어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모터축(MS)과 베어링(10)과의 중심을 항상 정확하게 일치시키게 되어 상호간 중심의 불일치로 인한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모터(M)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은 베어링(10)에서는 그 제작에 있어 상당한 정도의 정밀도를 요하게 되고, 베어링(10)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리테이너(20)를 구비해야 하는 부담과 함께 이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공수의 증가로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결국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에 적용되어 모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모터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본체 저부측으로 소정높이 및 소정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부를 돌출형성하여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부는 모터의 몸체 일측으로 강제 압입되도록 구성하여, 모터축의 각도변환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상기한 모터축의 각도변환을 소정범위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각도조절되어져 모터축과의 중심을 항상 일치시킴으로써, 모터축과 베어링의 각도편차에 따른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을 차단하여 모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작업공수 및 생산단가를 월등히 절감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M)의 모터축(MS)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00)을 이루는 본체(110)의 저부측으로 소정높이 및 소정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부(120)를 돌출형성하여 이룬다.
이때, 상기 베어링(100)의 지지돌기부(120)는 모터(M)의 몸체(2) 일측으로 강제 압입시켜 몸체(2)상에 지지돌기부(120)만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케 하면서 상기한 베어링(100)으로 모터축(MS)을 삽입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로써 2'는 모터(M)의 금속재몸체를, 3은 모터(M)의 하우징을, 4는 모터(M)의 회전자를, 5는 모터(M)의 기어조립부를, 130은 흡진, 흡음 부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통상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모터(M)의 몸체(2) 내부 일측으로 압입, 설치되어 모터축(MS)의 일단 또는 양단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모터(M)의 기능 또는 모터축(MS)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축(MS)과 기설치된 베어링(100)간에 각도편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베어링(100)은 모터(M)의 몸체(2)상에 지지돌기부(120)만이 압입,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모터축(MS)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소정범위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모터축(MS)의 각도변환시 베어링(100) 역시 함께 요동되어 자동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모터축(MS)과 베어링(100) 상호간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게 되고 이로인해 모터축(MS)과 베어링(100) 사이의 마찰저항이 극소화되어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베어링(100)을 모터(M)의 몸체(2)상에 압입시키는 단순공정으로 그 설치가 견고한 상태에서 완료되게 되며, 리테이너등과 같은 별도 이탈방지부재의 구비없이도 몸체(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M)에 대한 베어링(100)의 설치작업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7도 내지 제8도는 모터(M)의 몸체(2)가 금속재로 형성된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베어링(100)의 지지돌기부(120)가 내부 일측으로 압입되는 소정형상의 흡진, 흡음부재(130)를 별도 구비하되, 상기 흡진, 흡음부재(130)는 모터(M)의 금속재 몸체(2') 일측으로 조립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베어링(100)과 금속재 몸체(2')와의 직접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발생을 상기 흡진, 흠음부재(130)가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모터(M) 자체에 무리한 피로를 주지 않아 최종적으로는 모터(M)의 제품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축의 각도변환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상기한 모터축의 각도변환을 소정범위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각도조절됨으로써, 모터축과의 중심을 항상 정확하게 일치시켜 모터축과 베어링과의 각도편차에 따른 소음 및 진동, 과부하 등의 발생을 차단하여 모터의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작업공수 및 제작단가를 월등히 절감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여러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M)의 모터축(MS)을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10)의 저부측으로 소정높이 및 소정형상을 갖는단수개의 지지돌기부(120)를 돌출형성하여 베어링(100)을 이루되, 상기 베어링(100)의 지지돌기부(120)는모터(M)의 몸체(2) 일측으로 강제 압입시켜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하여 모터축(MS)의 각도변환에 따라 소정범위내에서 상기 베어링(100)의 각도가 자동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00)의 지지돌기부(120)가 내부 일측으로 압입되는 소정형상의 흡진, 흡음부재(130)를 별도 구비하되, 상기 흉진, 흡음부재(130)는 모터(M)의 몸체(2') 일측으로 조림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KR2019960029408U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KR200148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08U KR200148925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08U KR200148925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14U KR19980016114U (ko) 1998-06-25
KR200148925Y1 true KR200148925Y1 (ko) 1999-06-15

Family

ID=1946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408U KR200148925Y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9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14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3961A (en) Electric motor having rotation detection sensor
US4690581A (en) Ball joint
US4795288A (en) Yoke member connecting device in windshield wiper
US4092078A (en) Elastic connection for an axial joint with connecting linkage of a motor vehicle steering gear
JPS6383460A (ja) 窓開閉装置の伝動装置
JPH01172610A (ja) ポ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12436A (ja) 駆動装置
US5022779A (en) Ball joint
US4920289A (en) Bearing holder with resilient retaining pawls
JPH0144924B2 (ko)
US6220760B1 (en) Three-ring needle bearing
US4533260A (en) Positioning and play-compensating device for the shaft of an electric motor
JP2016056828A (ja) ターボ機械
KR200148925Y1 (ko) 자동차용 소형 dc 모터의 자동조심형 베어링
JPS59166711A (ja) ブッシュ
US6713917B2 (en) Drive device
JPH053809Y2 (ko)
US4634298A (en) Self-aligning bearing retention system
JP4864341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WO2006120787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101905815B1 (ko) 메탈 베어링 홀더
US6227747B1 (en) Shaft retaining apparatus
EP0059230A1 (fr) Palier élastique autolubrifiant
JPS6338732A (ja) 弾性支持マウント
JP3507558B2 (ja) 回転軸の制振装置および回転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