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292Y1 - 에어컨 - Google Patents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292Y1
KR200148292Y1 KR2019960068212U KR19960068212U KR200148292Y1 KR 200148292 Y1 KR200148292 Y1 KR 200148292Y1 KR 2019960068212 U KR2019960068212 U KR 2019960068212U KR 19960068212 U KR19960068212 U KR 19960068212U KR 200148292 Y1 KR200148292 Y1 KR 200148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ensers
condenser
disposed
conden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013U (ko
Inventor
김해덕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68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29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진행방향 전면에 배치되며, 압축기로 부터의 냉매가 유입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2 응축기와, 제 1, 2 응축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 3, 4 응축기를 갖는 응축기 유닛과; 응축기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2 증발기를 갖는 증발기 유닛과; 응축기 유닛과 증발기 유닛 사이의 관로상에 위치되며, 냉매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리시브 드라이 어;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응축기 유닛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전면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인 냉각작동을 행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팽창밸브를 통해 냉각 사이클을 행하도록 된 것이어서, 단가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각종 라인이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본 고안은 에어컨(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버스(bus)나 열차(train)에 사용되는 대용량의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각시키는 에어컨 은 주지하다시피 냉매(冷媒)를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킨뒤 응축기 (condenser)에서 액화시키고,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 에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로,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자동차에 있어서도 여름철 무더운 날씨에 쾌적한 차내환경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승용차등의 소형차량은 냉각할 공간이 좁으므로 소형의 냉각시스템 (cooling system)으로도 충분하여 그 엔진에 의해 구동되나, 버스등과 같은 대형차량 은 냉각할 공간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대형의 냉각시스템이 채용되고 별도의 전용 서브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따라 대형차량의 에어컨은 그 구조상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에어컨을 특히 루프형 에어컨이라 일컫는다. 이와같은 루프형 에어컨은 차량의 지붕위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있다. 제1도에는 이와같은 버스나 기타 열차 등에 적용되고 있는 에어컨의 일반예가 도시 되어 있다.
이는, 크게 압축기(compressor;1)와, 이 압축기(1)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며, 화 살표로 도시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진행방향 후면에 배치되는 응축기 유닛(condenser unit;2)과, 이 응축기 유닛(2)의 전면에 배치되는 증발기 유닛 (evaporator unit;3)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응축기 유닛(2)은,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 3, 4 응축기 (2a,2b,2c,2d)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된 제 1,3 응축기(2a,2c)와 제 2, 4 응축기(2b,2d) 사이에는 복수개의 응축팬(2e,2f)들이 배열 설치된다. 한편,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전면에 배치되는 증발기 유닛(3)의 구조를 보면,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 증발기(3a,3b)를 구비하는 바, 이 제 1,2 증발기(3a,3b)의 각 외면에는 하나의 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증발기 팬 (3c,3d)가 각각 위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1)로 부터의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서로 병렬 연결된 제 1, 2, 3, 4 응축기(2a,2b,2c,2d)로 각각 유입되어 액화되며, 동시에 보수개의 팽창밸브(4)를 통해 제 1, 3 응축기(2a,2c)와, 제 2, 4 응축기(2b,2d)와 연결된 제 1, 2 증발기(3a,3b) 로 유입되어 기화됨으로써 이 기화열을 통해 냉각작용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에어컨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도시된 바와 같기 압축기(1)와 응축기(2)를 연결하기 위한 라인과, 재순환을 위한 라인이 모두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였으며, 이에따라 용접 및 체결작업 공수가 많아 누설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복수개의 증발기(3a,3b)에 각각 팽창밸브(4)를 마련하여야 함으로써 단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실질적으로 외기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져야 하는 응축기 유닛(2)이 증발기 유닛(3)의 후면에 위치됨으로써, 즉,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후면에 응축기 유닛(2)이 위치됨으로써 냉각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였으며, 이에따라서는 전체 에어컨의 냉각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에어컨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관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응축기의 냉각성능을 향상시켜 전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진행방향 전면에 배치되며, 압축기로 부터의 냉매가 유입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2 응축기와, 제 1, 2 응축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 3, 4 응축기를 갖는 응축기 유닛과; 상기 응축기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2 증발기를 갖는 증발기 유닛과; 상기 응축기 유닛과 증발기 유닛 사이의 관로상에 위치되며, 냉매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리시브 드라이어;를 포함하여 된 것 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에어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20 : 응축기 유닛
21,22,23,24 : 제 1, 2, 3, 4 응축기 25,26 : 응축팬
30 : 증발기 유닛 31,32 : 제 1, 2 증발기
33,34 : 증발팬 40 : 리시브 드라이어
50 : 팽창밸브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은, 크게 압축기 (compressor;10)와, 이 압축기(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며, 화살표로 도시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진행방향 전면에 배치되는 응축기 유닛(condenser unit;20)과, 이 응축기 유닛(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증발기 유닛(evaporator unit;30) 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전면에 배치되는 응축기 유닛(2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제 1, 2, 3, 4 응축기(21,22,23,24)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2 응축기(21,22)는 서로 병렬 연결되어 압축기(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며, 제 3, 4 응축기(23,24)는 각각 제 1, 2 응축기(21,22)와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2 응축기(21,22) 사이와 제 3, 4 응축기(23,24) 사이에는 방열을 위한 응축팬(25,26)이 각각 복수개 위치된다. 한편, 증발기 유닛(30)븐 응축기 유닛(20)의 후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즉,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 증발기(31,32)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증발기(31)는 제 1, 3 응축기(21,23)와 연결되어 즉, 제 3 응축기 (23)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며, 제 2 증발기(32)는 제 2, 4 응축기 (22,24)와 즉, 제 4 응축기(24)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냉매가 유입된다 또한 제 1, 2 증발기(31,32)의 각 외측부에는 냉기를 실내로 유입시킥 위한 다수의 증발팬(33,34)이 배치된다. 한편, 전술한 응축기 유닛(20)와 증발기 유닛(30) 사이의 관로(管路) 상에는 순환되는 냉매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리시브 드라이어(40)가 위치되며, 또한 응축기 유닛(20)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팽창밸브(5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10)로 부터의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서로 병렬 연결된 제 1, 2 응축기(21,22)로 각각 유입되어 제 1차로 액화되며, 동시에 각각 연결된 제 3,4응축기(23,24)로 유입되어 2차로 액화된다.
이와같이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닛(20)과 증발기 유닛(30)사이의 관로상에 마련된 하나의 팽창밸브(50)를 통해 서로 병렬 연결된 제 1,2 증발기 유닛(31,32)으로 유입되어 기화되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기화열을 통해 냉각작용을 행하게 된다.
한편, 이때 전술한 응축기 유닛(20)은 즉, 서로 병렬 뎐결된 제1, 2응축기(21, 22)와 , 이 제 1,2 응축기(21,22)에 각각 직렬 연결된 제3, 4응축기(23, 24)는 차량으이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에 위치된 것이다. 따라서 응축팬(25, 26)을 통한 냉각 작동 및 특히 외기에 의힌 냉각 작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인 냉각 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라인이 차량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하나의 팽창밸브(50)를 통해 냉각 사이클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가 절감을 도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에 의하면, 응축기 유닛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전면에 배치되는 젓이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인 냉각작동 을 행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팽창밸 브를 통해 냉각 사이클을 행하도록 된 것이어서, 단가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각종 라인이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하여 진행방향 전면에 배치되며, 압축기로 부터 의 냉매가 유입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2 응축기와, 제 1, 2 응축기와 직렬 연결되는 제 3, 4 응축기를 갖는 응축기 유닛과; 상기 응축기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 1,2 증발기를 갖는 증발기 유닛과; 상기 응축기 유닛과 증발기 유닛 사이의 관로상에 위치되며, 냉매중의 불순 물을 제거하는 리시브 드라이어 ;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KR2019960068212U 1996-12-31 1996-12-31 에어컨 KR200148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212U KR200148292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212U KR200148292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013U KR19980055013U (ko) 1998-10-07
KR200148292Y1 true KR200148292Y1 (ko) 1999-06-15

Family

ID=1948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212U KR200148292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2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013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0786B1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242532B2 (en) Air conditioner system control method for vehicle
EP1651456B1 (en) A climate control system with a vapour compression circuit combined with an absorption circuit
WO2011087001A1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US20140060102A1 (en) Mild ambient vehicular heat pump system
US4384608A (en) Reverse cycle air conditioner system
WO1999055544A3 (de) Fahrzeugklimaanlage und deren verwendung
US20020178745A1 (en) Heat exchanger for a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2021147044A (ja) 車室の空気を空調して自動車の駆動部品を通じて熱伝達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の動作方法
KR20180003986A (ko) 자동차의 객실 공기를 조화하고 드라이브 컴포넌트들을 이용해 열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952115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 및 드라이브 부품 냉각 시스템 그리고 상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0148292Y1 (ko) 에어컨
KR20210079741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359106B1 (ko) 승객실의 에어 컨디셔닝 및 자동차의 구동 부품과의 열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 작동 방법
EP1623857B1 (en) HVAC Systems
WO1998034807A1 (en) Thermal system for a vehicle
JPS63159123A (ja) 空調装置
KR100214956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냉각장치
JP3358303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9980028552U (ko) 차량용 듀얼방식 에어컨
JPH1068562A (ja) 冷凍装置用レシーバ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89847Y1 (ko) 버스에어컨의 동력원 변환형 이중압축기시스템
KR200181126Y1 (ko) 자동차용 에어컨시스템의 컨덴서
JPH03148326A (ja) 車載エアコン装置
KR0131403B1 (ko) 자동차용 듀얼방식 에어컨의 서브 응축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