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082Y1 -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 Google Patents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082Y1
KR200148082Y1 KR2019970010947U KR19970010947U KR200148082Y1 KR 200148082 Y1 KR200148082 Y1 KR 200148082Y1 KR 2019970010947 U KR2019970010947 U KR 2019970010947U KR 19970010947 U KR19970010947 U KR 19970010947U KR 200148082 Y1 KR200148082 Y1 KR 200148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per
settlement
wa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522U (ko
Inventor
염병호
Original Assignee
염병호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병호,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염병호
Priority to KR2019970010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08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9Displacement of the filtering material to a compartment of the filtering device for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여과재가 사용되는 여과지와 그 여과지로 부터 배출된 역세척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역세척 배출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여과재를 회수하는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침사지(10)의 바닥부에 유공 보호판(22)과 여과 스트레이너(23) 및 배수관(24)과 연결되는 여과집수부(21)가 구비된 바닥부 여과수단(20)을 설치함과 아울러, 침사지(10)의 출구측벽(15)에 다수의 여과 스트레이너(32)가 횡방향으로 배치된 벽체부 여과수단(30)을 설치하여, 침사지의 하부로 가라앉는 비중이 큰 여과재와 출구측으로 유출되는 유수중에 포함된 비중이 낮은 여과재를 함께 침강 및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역세척 배출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각종 여과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침강시켜 회수할 수 있게 하여, 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에서 유실되는 각종 여과재, 특히 안스라사이트나 입상 활성탄과 같은 고가의 여과재도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배출수의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펌프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후속 공정인 배출수지의 이용률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본 고안은 예를 들어 급속여과지나 입상활성탄여과지 등의 여과지와 이들 여과지에서 배출된 역세척수가 유입되는 배출수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지로 부터 역세척수와 함께 유출되는 각종 여과재를 효율적으로 침강 및 여과시켜 회수할수 있게 하는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여과지에는 여과층을 단순 모래로 구성한 단층형 모래여과지와, 여과층의 하층에는 모래를 넣고 그 상부에는 안스라사이트(파쇄 무연탄) 층을 구비한 구조의 2층 여과지와, 입상 활성탄을 여과재로 사용하는 활성탄 여과지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단층형 모래여과지는 여재 표면에서의 부착 응집에 따른 억류가 여과층의 표면에 집중되어 손실수두가 단시간에 증가하므로 여과재의 역세척을 자주 실시해야만 하며, 이와 같은 역세척시에는 역세척수와 함께 미세한 모래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여과사의 유출은 역세척수의 과다 및 불균등 등의 요인에 의해 상승유속이 빠를 경우 더욱 증가된다.
상기 2층 여과지에 있어서는 탁질의 대량 억류작용은 입경이 굵고 비중이 적은 상층의 안스라사이트층에서 행해지고, 고도의 억지기능은 하부의 모래층에서 각각 분담하게 되는 방식의 여과지이므로, 단층 모래여과지에 비하여 여과속도가 월등히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기 안스라사이트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여과층의 역세척시 상기 여과사의 유출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여과재 즉, 안스라사이트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입상 활성탄 여과지의 경우에는 원수의 수질이 악화된 정수처리공정에서 모래여과지의 다음에 설치하여 활성탄이 가지는 흡착기능과 미생물에 의한 여과방식에 의해 정수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고도의 정수처리방식의 대표적인 여과지이다. 이와 같은 활성탄 여과지에 사용되는 입상 활성탄은 그 비중이 상기 안스라사이트 보다도 낮으므로 역세척시 더욱 쉽게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침사지에는 상수도 시설기준에 의한 침사지가 있는 바, 이와 같은 일반 침사지는 하천 등의 수원으로 부터 취수된 물속의 모래가 도수관로내에서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취수구 부근의 안전한 제내지(堤內地)에 위치하여 물속의 모래와 기타 침전물 등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여과지 중, 전기한 단층형 여과지에 있어서는 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에서 유출되는 모래가 배출수지로 유입되어 그중 일부의 모래는 배출수지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일부는 회수펌프에 의해 착수정으로 회수된 후 침전지로 유입되는 바, 침전물이 농축조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침전물에 포함된 모래로 인하여 이송펌프를 쉽게 마모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탈수기로 이송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장애의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출수지에서는 여과사의 침적으로 인하여 배출수지의 저류용량이 저하될 뿐 아니라, 침전된 모래를 제거하기 위한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상기 2층여과지로 부터 유출되는 안스라사이트는 여과재의 값이 고가이며 유실에 따른 부족량 만큼 여과재를 지속적으로 보충해 주어야 만 하므로 유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여과재의 보충이 지연될 경우에는 정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역시, 상기 활성탄여과지의 경우에도 고가인 활성탄이 유실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대단히 크고, 유실된 활성탄층의 손실량 만큼 여과재의 재생 주기가 빨라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각종 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에서 역세척수와 함께 유출되는 여과재를 여과형 침사지를 통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후속 공정인 배출수지나 또는 회수조로 모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회수된 고가의 여과재를 재활용 할수 있게 하여, 배출수지의 이용율을 증대시키고 여과재의 유실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요인을 배제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침사지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침사지의 구성을 보인 도 1의 A -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여과수단의 구성을 보인 도 2의 B부분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여과수단의 구성을 보인 도2 의 C - C 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D - D 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1,10-2 : 침사지10a : 바닥부
10b : 외주벽 10c : 상부벽
11 :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 12 : 배수본관
13 : 내부 격벽14 : 정류벽
15 : 출구측벽16a,16b : 유입밸브
17 : 회수구18 : 출입계단
20 : 바닥부 여과수단21 : 여과집수부
22 : 유공 보호판23 : 스트레이너
24 : 배수관25 : 고정판
26 : 여과재30 : 벽체부 여과수단
31 : 고정판32 : 스트레이너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급속여과지의 역세척에 따라 배출되는 역세척수(이하, 역세척 배출수 또는 배출수라 칭함)가 배출수지(또는 회수조)로 유입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역세척 배출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여과재를 효율적으로 침강, 회수시키는 여과형 침사지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여과형 침사지는 상기 급속여과지와 그 여과지로 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지의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여과형 침사지는 침사지의 내부로 유입된 역세척 배출수로 부터 모래나 활성탄 등과 같은 여과재 만을 걸러내고 여과재 이외의 물은 배출시키는 스트레이너 방식의 여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여과형 침사지는 침사지의 하부 바닥면과 배출수의 출구측벽에 바닥부 여과수단과 벽체부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하부로 가라앉는 비중이 큰 여과재와 배출수지로 유출되는 유수중에 포함된 비중이 낮은 여과재를 함께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여과형 침사지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형 침사지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침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의 A - 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부 여과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부 여과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구에 연결되는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11)과 배출수지(또는 회수조)에 연결되는 배수본관(12)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침사지(10)의 바닥부(10a)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바닥층 하부로 유출되는 배출수 중에 포함된 여과재를 걸러 내는 바닥부 여과수단(20)과, 상기 배수본관(12)이 설치된 배출수 출구측에 설치되어 배수본관(12)측으로 흐르는 유수중의 여과재를 걸러내는 벽체부 여과수단(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사지(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외주벽(10b)과 침사지으로 둘러싸인 침사지의 중간부가 내부 격벽(13)으로 구획되어 복수개의 침사지(10-1)(10-2)로 분할되어 있고, 이와 같은 침사지의 유입구측에는 각 침사지(10:10-1,10-2)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편류를 방지하여 저류부의 전역에 걸쳐 균등한 배출수가 유입되게 하기 위한 정류벽(1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 즉 유입된 배출수의 출구측에는 침사지의 수위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벽체부 여과수단(30)이 설치되는 출구측벽(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11)이 설치된 침사지의 유입구측에는 상기 양쪽 침사지(10:10-1,10-2)의 바닥에 쌓인 여과재 및 기타 침전물의 회수작업시 해당 침사지(10-1)(10-2)로 유입되는 배출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유입밸브(16a)(16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침사지의 상부벽(10c)에는 침사지 바닥에 침전 여과된 여과재를 회수하기위한 수개의 회수구(1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 회수구(17)에는 침사지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계단(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침사지의 바닥부(10a)에 설치되는 바닥부 여과수단(2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지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배수용 여과집수부(21)와, 그 각 여과집수부(21)의 상부에 결쳐 설치되는 유공 보호판(22)과, 그 유공 보호판(22)의 하부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여과 스트레이너(23) 및,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각 여과집수부(2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침사지의 바닥층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수관(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여과집수부(21)는 침사지 바닥부(10a)의 폭방향에 결쳐 소정 폭과 깊이로 설치되고, 이와 같은 여과집수구(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공 보호판(22)은 일정 크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형(矩形)판체로 구성되고, 상기 침사지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어 그 유공 보호판(22)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22a)을 통해 침사지내의 배출수를 바닥층의 하부로 배수시키고 하부로 침강되는 여과재를 일차 걸러내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그 하부에 설치된 스트레이너(23)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유공 보호판(22)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레이너(23)는 일반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 및 형태의 스트레이너가 적용되고, 이들 각 스트레이너(23)는 여과집수부(21)의 중간 상측부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판(25)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트레이너 고정판(25)과 상기 유공 보호판(22)의 사이에는 자갈 등과 같은 여과재(26)가 충전된다.
상기 각 스트레이너(23)는 미세한 크기의 유출공(23a)이 형성된 캡(23b)이 수평 고정판(2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공(23a)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집수관(23c)이 고정판(23)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노출되는 하향식 배수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b 및 25b 는 상기 일정 규격을 가지는 유공 보호판(22)과 스트레이너 고정판(25)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필요시 상기 각 유공 보호판(22)과 고정판(25)을 들어 낼수 있게 한 손잡이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여과집수부(21)를 상호 연결하는 배수관(24)은 각 여과집수부(21)로 부터 유출되는 배출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유입구 측으로 부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배수관(24)의 설치 수량이 증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각 배수관(24)의 배수 단부(24a)는 상기한 벽체부 여과수단(30)이 설치되는 츨구측벽(15)의 하단 바깥쪽 즉, 상기 배수본관(12)이 설치되는 유출수 집수부(19)를 향하여 각각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벽체부 여과수단(30)은 상기 출구측벽(15)의 중간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판(31)과, 그 각 고정판(31)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레이너(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트레이너(32)는 상기한 바닥부 여과수단(20)의 스트레이너(23)와 같은 구조이나, 단지 각 스트레이너(32)가 침사지를 따라 흐르는 유수의 방향에 맞추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출구측으로 유출되는 배출수가 원활히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배출수 중에 포함된 여과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벽체부 여과수단(30)이 설치되는 상기 출구측벽(15)의 상단부는 그 외측 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월류 위어(weir:15a)로 형성되어 있어, 침사지의 여과저항이 증가되어 침사지의 수위가 만수위(LWL)를 벗어 날 경우 출구측벽(15)을 넘어 유출되는 배출수가 원활히 넘쳐 흐를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a,27b 및 33a,33b는 상기 각 여과수단(20),(30)의 각 고정판(25),(31)을 침사지의 바닥부(10a)와 출구측벽(15)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 및 너트를 보인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16c는 상기 유입밸브(16a,16b)를 개폐할 수 있도록 침사지의 상부벽(10c) 상에 설치된 통상의 조작핸들을 보인 것이다.
이상의 실시례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부 여과수단(20)이 침사지(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일례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의 설치방향은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할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침사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속여과지나 활성탄여과지와 같은 각종여과지와, 이들 여과지로 부터 배출된 역세척 배출수가 공급되는 배출수지(또는 회수조)의 사이에 설치되어 역세척 배출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활성탄 등의 여과재를 침강시켜 회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 침사지에 의한 여과재의 여과 작용 및 여과재의 회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과지로 부터 배출되어 본 고안 침사지(10)의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역세척 배출수는 상기 유입밸브(16a)(16b)를 통해 내부격벽(13)으로 분리된 각 침사지(10-1)(10-2)로 유입되고, 유입구부에 설치된 정류벽(14)에 의해 유입수의 편류현상이 방지되어 침사지(10-1)(10-2)의 전역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역세척 배출수는 출구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배출수 중에 포함된 일부 여과재 및 부유물 등이 하부로 침강하여 바닥부(10a)에 쌓이게 되는 바, 이때에 굵은 모래와 같이 비중이 높은 여과재는 유입구부에 곧 바로 침강하게 되고, 미세한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등과 같이 비중이 낮은 여과재 일수록 수류에 의해 출구측으로 흘러가면서 침강하게 되며, 보다 미세한 입자나 활성탄등과 같은 여과재는 상기 출구측벽(15)에 도달한 후 비로서 침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침사지(10)내의 침강 및 여과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저류(底流)측 배출수는 바닥부(10a)에 배치된 상기 각 바닥부 여과수단(20)의 여과집수부(21)를 통해 집수관(24)으로 배출되고, 모래등과 같은 여과재 및 기타 침전물은 여과집수부(21)의 상부 및 중간부에 설치된 유공 보호판(22)과 여과재(26) 및 스트레이너(23)에 의해 여과되어 바닥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침사지(10)의 배수 및 여과가 장시간 진행되어 바닥부에 쌓인 여과재 및 침전물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 측의 여과저항이 점차 증가되어 여과집수부(21) 및 배수관(24)을 통한 배출수의 유출량이 점차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침사지(10)내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침사지(10)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되면, 상기 출구측벽(15)의 벽체부 여과수단(30)에 설치된 스트레이너(32)에 의한 배출수의 유출이 개시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미세한 여과재 및 이물질등이 걸러져 침강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을 통해 유출되는 배출수의 양보다 상기 벽체부 여과수단(30)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출수의 유출 및 여과과정에서 상기 각 여과수단(20)(30)의 여과저항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각 여과수단(20)(30)의 스트레이너(23)(32)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양보다 침사지(10)내에 유입되는 배출수의 유량이 많아지게 됨으로써 침사지(10)내의 수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침사지(10)의 수위가 점차 높아 지게되면 상기 각 여과수단(20)(30)에 의한 여과재의 여과 및 배수기능은 점차 저하되나, 반대로 침사지(10)내에 유입된 배출수의 체류시간이 점차 길어지게 되므로, 배출수의 유출량 감소에 관계없이 배출수중에 포함된 여과재 등의 자연 침강작용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반면, 침사지(10)의 수위는 더욱 높아져 만수위(HWL)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사지(10)의 수위가 만수위(HWL)에 도달하게 되면 여과재 등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 배출수 만이 상기 출구측벽(15) 상단의 월류위어(15a)를 넘어 배수본관(12)측으로 유출되므로, 상당 시간 동안 월류위어(15a)를 통한 여과재의 유출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침사지(10)의 여과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침사지의 바닥부(10a)에 많은 량의 여과재가 침강되면, 배출수의 유입을 중단시키고 침강된 여과재를 회수하게 된다.
상기 침강 여과재의 회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침사지에 침강된 여과재의 회수시에는 먼저 상기 양쪽 침사지(10-1)(10-2)중 여과재를 회수하고자 하는 침사지(10-1 또는 10-2) 측의 역세척 배출수 유입밸브(16a 또는 16b)를 닫게 되면, 추가 배출수의 유입이 중단되므로 침사지(10)내에 유입된 배출수가 모두 배출되고, 침사지의 바닥부(10a)에는 여과재 등의 침강물 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상기 침사지(10)의 상부벽(10c)에 형성된 출입계단(18)을 통하여 작업자를 투입하고 인력으로 바닥부(10a)에 쌓인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여과재를 회수할 수가 있으며, 또는 상기 회수구(17)를 통해 콘베이어나 버키트컨베이어 등과 같은 회수설비를 설치하여 여과재를 침사지(10)의 상부로 회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여과재의 회수와 더불어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 및 벽체부 여과수단(30)을 비롯한 침사지내(10)의 설비를 점검 보수 및 수리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여과재의 회수 및 보수 수리 작업은 상기 유입밸브(16a,16b) 만을 닫으면 간단히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한쪽 침사지(10)에 대한 회수 및 보수시에도 다른 한쪽의 침사지에 의한 여과재의 침강작용은 계속 진행될 수 있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고안은 각종 여과재가 사용되는 여과지와 그 여과지로 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지나 또는 회수조의 사이에 바닥부 여과수단과 벽체부 여과수단이 구비된 여과형 침사지를 설치하여, 여과지의 역세척 배출수가 배출수지 또는 회수조로 유입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역세척 배출수로 부터 모래나 활성탄 등과 같은 여과재 만을 걸러내고 여과재 이외의 물은 배출시키되,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과 벽체부 여과수단에 각각 설치된 스트레이너 방식의 여과수단에 의해 침사지의 하부로 가라앉는 비중이 큰 여과재와 출구측으로 유출되는 유수중에 포함된 비중이 낮은 여과재를 함께 침강시켜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모래나 안스라사이트 또는 활성탄과 같은 각종 여과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침강, 회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에서 유실되는 각종 여과재, 특히 안스라사이트나 활성탄과 같은 고가의 여과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고, 배출수의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펌프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인 배출수지의 이용률을 월등히 증대시키고 배출수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11)과 배수본관(12)이 길이방향 양단부에 구비된 침사지(10)의 바닥부(10a)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바닥층 하부로 유출되는 배출수 중에 포함된 여과재를 자연 침강시켜 걸러 내는 바닥부 여과수단(20)과, 상기 침사지의 배수본관(12)이 설치된 배출수 출구측에 설치되어 배수본관(12)측으로 흐르는 유수중의 여과재를 걸러내는 벽체부 여과수단(30)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지(10)는 각종 입상 여과재를 사용하는 여과지와, 여과지의 역세척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지의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지(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외주벽(10b)과 상부벽(10c)으로 둘러싸인 침사지의 중간부가 내부 격벽(13)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침사지(10-1)(10-2)로 분할되고, 각 침사지(10-1,10-2)의 유입구측에는 유입수의 편류를 방지하여 저류부의 전역에 걸쳐 균등한 배출수가 유입되게 하기 위한 정류벽(14)이 설치된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은 침사지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배수용 여과집수부(21)와, 그 각 여과집수부(21)의 상부에 결쳐 설치되는 유공 보호판(22)과, 그 유공 보호판(22)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판(25)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여과 스트레이너(23) 및, 상기 각 여과집수부(2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침사지(10)의 바닥층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수관(24)로 구성된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여과수단(20)의 고정판(25)과 상기 유공 보호판(22)의 사이에는 자갈 등과 같은 여과재(26)가 충전되는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 여과수단(30)은 침사지 출구측벽(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판(31)과, 그 각 고정판(31)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트레이너(32)로 구성된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배출수 유입관(11)이 설치된 침사지(10)의 유입구측에는 각 단위 침사지(10-1,10-2)의 바닥에 쌓인 여과재 등 침강물의 회수작업시 해당 침사지(10-1,10-2)로 유입되는 배출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유입밸브(16a)(16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벽(10c)에는 바닥부(10a)에 침강 여과된 여과재를 지외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구(17) 및 출입계단(18)이 설치된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KR2019970010947U 1997-05-17 1997-05-17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KR200148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47U KR200148082Y1 (ko) 1997-05-17 1997-05-17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947U KR200148082Y1 (ko) 1997-05-17 1997-05-17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22U KR19980066522U (ko) 1998-12-05
KR200148082Y1 true KR200148082Y1 (ko) 1999-06-15

Family

ID=195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947U KR200148082Y1 (ko) 1997-05-17 1997-05-17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0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89B1 (ko) * 2007-03-23 2009-02-25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22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070098971A (ko) 도로의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KR101020864B1 (ko)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110037243A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10077955A (ko)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고액 분리장치
KR100537798B1 (ko) 수리동력학적 여과분리 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200148082Y1 (ko) 여과재 회수용 침사지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421273B1 (ko) 부유 물질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조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20170011353A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101052546B1 (ko)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RU2205924C2 (ru) Станци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стоков
KR20090117606A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KR100425380B1 (ko) 폐수처리장치
KR200225088Y1 (ko) 경사판침전조
KR102416436B1 (ko)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JP3106859B2 (ja) 沈澱池のろ過装置
JPH078001Y2 (ja) 汚泥処理用沈殿装置
KR102441986B1 (ko) 와류 및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