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60Y1 - 음극선관 노광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노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60Y1
KR200147760Y1 KR2019960009440U KR19960009440U KR200147760Y1 KR 200147760 Y1 KR200147760 Y1 KR 200147760Y1 KR 2019960009440 U KR2019960009440 U KR 2019960009440U KR 19960009440 U KR19960009440 U KR 19960009440U KR 200147760 Y1 KR200147760 Y1 KR 200147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exposure apparatus
light source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776U (ko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9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60Y1/ko
Priority to JP03503997A priority patent/JP3182364B2/ja
Priority to DE19711968A priority patent/DE19711968A1/de
Priority to CN97104575A priority patent/CN1083612C/zh
Priority to MYPI97001347A priority patent/MY132486A/en
Priority to BR9701925A priority patent/BR9701925A/pt
Priority to MXPA/A/1997/003059A priority patent/MXPA97003059A/xx
Publication of KR970059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7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8Application of light absorbing material, e.g. between the luminescent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하나의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세 가지 크기의 음극선관 패널을 노광시키기 위한 음극선관 노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노광장치는 패널에 빛을 조사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광원과, 패널과 광원 사이에 설치되어 패널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하는 노광렌즈와, 노광렌즈의 상측에 설치되어 패널이 놓이는 부분에 제1구멍이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 패널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패널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변환수단과,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을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비된 노광장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하여 크기가 다른 여러 가지 패널을 효과적으로 교체하여 노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노광장치
제1도는 종래의 노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일반적인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노광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패널 110 : 이동수단
120 : 베이스프레임 130 : 광원
140 : 노광렌즈 160 : 이동프레임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블랙메트릭스(Black Metrics)를 형성시키기 위한 음극선관 노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세 가지 크기의 음극선관 패널을 노광시키기 위한 노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시킬 때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광장치를 이용한다. 노광장치는 패널(1)의 내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베이스프레임(2)에 설치된 광원(3)과, 패널(1)과 광원(3) 사이에 설치되어 패널(1)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하는 노광렌즈(4)와, 패널(1)을 지지하는 이동프레임(6)과, 이동프레임(6)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1)과 광원(3) 사이의 거리(d)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의 크기에 따라 달리 해야한다. 예컨대, 14패널을 노광할 때와, 20패널을 노광할 때와, 21패널을 노광할 때에는 각 패널(1)과 광원(3) 사이의 거리(d)를 각각 달리하여 노광해야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된 모터(11)와, 모터(11)의 축에 연결된 스크류(12)와, 이동프레임(6)에 고정되며 스크류(12)와 결합된 너트부재(13)와, 이동프레임(6에 형성된 슬라이드(14)와, 베이스프레임(6)에 고정된 가이드(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은 모터(1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동프레임(6)을 소정 거리 왕복 이동시킨다.
제1도에 도시된 이동프레임(6)에 형성된 구멍(5) 주위에는 3개의 패드(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패드(7) 위에 패널(1)이 놓여진다. 패널(7)의 두께는 광원(3)에서 패널(1)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다.
패널(1)을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이유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널(1)의 내면에 3가지의 색깔에 대응되는 블랙메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함이며, 패널(1)을 패드(7) 위에 올려놓는 이유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널(1)을 이동프레임 (6)에 올려놓을 때 패널(1) 봉착면의 평면도와 이동프레임(6) 상면의 평면도가 달라 적절하게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종래에 따른 노광장치는 20패널을 노광하다가 21패널을 노광할 때는 아무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20패널을 노광하다가 21패널을 노광할 때에는 패드(7)의 두께를 적절히 두껍게 하여, 21패널과 광원(3)까지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 하면 된다.
그러나 14패널을 노광하다가 21패널을 노광하기 위하여 패드(7)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패드(7)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여러 가지 면에서 좋지 않다. 즉, 외부의 광이 노광장치 내부로 들어가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고, 이동프레임(6)에 마련된 구멍(5)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적절한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이동프레임(6)과 너트부재(12) 등을 분해하고 다른 이동프레임(6)으로 교체하여 노광하였다. 즉, 적절한 길이의 너트부재가 고정되며 적절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다른 이동프레임으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였다.
이와 같이 이동프레임(6)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주변의 다른 부품들 또한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많은 노력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광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어도 세 개의 크기가 다른 패널을 교체하여 노광할 수 있는 노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는
첫째, 패널에 빛을 조사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하는 노광렌즈와 ,
상기 노광렌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이 놓이는 부분에 제1구멍이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패널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제1구멍이 형성된 상기 이동프레임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구멍에 대응하는 제2구멍이 형성된 두께가 다른 적어도 2개의 보조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두께가 다른 보조프레임을 바꾸어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함에 따라 상기 광 상기 광원과 상기 패널 사이의 거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하여 크기가 다른 여러 가지 패널을 교체하여 노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음극선관의 패널(101) 내면에 블랙메트릭스(8)를 형성시킬 때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노광장치는 패널(101)의 내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베이스프레임(120)에 설치된 광원(130)과, 패널(101)과 광원(130) 사이에 설치되어 패널(101)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하는 노광렌즈(140)와, 패널(101)을 지지하는 이동프레임(160)과, 이동프레임 (160)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161)과, 이동프레임(16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101)과 광원(130) 사이의 거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널(101)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14패널을 노광할 때와, 20패널을 노광할 때와, 21패널을 노광할 때에는 각 패널과 광원(130) 사이의 거리를 패널(101)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달리하여 노광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는 종래의 노광장치와는 달리 보조프레임(161)이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패널(101)과 광원(130) 사이의 거리를 패널(101)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가 다른 여러개의 보조프레임(161)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조프레임(161 )은 노광될 패널(101)의 크기에 따라 여러개가 마련된다.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161)은 14패널 또는 15패널을 노광하기 위한 것이며 , 제4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161')은 20패널 또는 21패널을 노광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61,161')에 형성된 제2구멍(162,162') 주위에는 3개의 패드(170,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패드(170,170')의 위에 패널(101)이 놓여진다. 패드(170,170')의 두께는 광원(130)에서 패널(101)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다.
패널(101)이 안착되는 보조프레임(161,1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164)에 의하여 이동프레임(160)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160)이 이동수단(110)에 의하여 이동함에 따라 보조프레임(161,161')과 패널(101)은 소정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동수단(110)은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된 모터(111)와, 이 모터(111)의 축에 연결된 스크류(112)와, 이동프레임(160)에 고정되며 스크류(112)와 결합된 너트부재(113)와, 이동프레임(160에 형성된 슬라이드(140)와,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된 가이드(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수단(110)은 모터(11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동프레임(160)을 이동시킨다.
패널(101)을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이유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널(101)의 내면에 3가지의 색깔에 대응되는 블랙메트릭스(8,제2도참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며, 패널(101)을 패드(170,170') 위에 올려놓는 이유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널(101)을 보조프레임(161,161')에 올려놓을 때 패널(101) 봉착면의 평면도와 보조프레임 (161,161') 상면의 평면도가 달라 적절하게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는 14패널을 노광하다가 20패널을 노광할 때는 제3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161)을 제4도에 도시된 보조프레임(161')으로 교체하여 노광하면 된다. 그리고, 20패널을 노광하다가 21패널을 노광할 때에는 패드(170')의 두께를 적절히 두껍게 하여, 21패널과 광원(130)까지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적어도 세 개의 패널을 노광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노광장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하여 크기가 다른 여러 가지 패널을 쉽고 편리하게 교체하여 노광할 수 있다.

Claims (2)

  1. 패널에 빛을 조사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광원과, 상기 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에 도달하는 빛을 조절하는 노광렌즈와, 상기 노광렌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이 놓이는 부분에 제1구멍이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패널과 광원사이의 거리조정이 가능하도록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각각마다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어 패널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이동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 패널이 놓여지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노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스크류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와 결합된 너트부재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드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노광장치 .
KR2019960009440U 1996-04-26 1996-04-26 음극선관 노광장치 KR200147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440U KR200147760Y1 (ko) 1996-04-26 1996-04-26 음극선관 노광장치
JP03503997A JP3182364B2 (ja) 1996-04-26 1997-02-19 陰極線管パネルの露光装置
DE19711968A DE19711968A1 (de) 1996-04-26 1997-03-21 Vorrichtung zum Belichten der Frontplatte einer Kathodenstrahlröhre
CN97104575A CN1083612C (zh) 1996-04-26 1997-03-27 阴极射线管面板曝光装置
MYPI97001347A MY132486A (en) 1996-04-26 1997-03-28 Crt panel exposing apparatus
BR9701925A BR9701925A (pt) 1996-04-26 1997-04-24 Aparelho de exposição de tubos de raios catódicos (crt)
MXPA/A/1997/003059A MXPA97003059A (en) 1996-04-26 1997-04-25 Appliance for rayoscatodi tube panel expo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440U KR200147760Y1 (ko) 1996-04-26 1996-04-26 음극선관 노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76U KR970059776U (ko) 1997-11-10
KR200147760Y1 true KR200147760Y1 (ko) 1999-06-15

Family

ID=1945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440U KR200147760Y1 (ko) 1996-04-26 1996-04-26 음극선관 노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182364B2 (ko)
KR (1) KR200147760Y1 (ko)
CN (1) CN1083612C (ko)
BR (1) BR9701925A (ko)
DE (1) DE19711968A1 (ko)
MY (1) MY132486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940A (ja) * 1984-04-06 1985-10-25 Hitachi Ltd カラ−ブラウン管用露光装置
KR100312698B1 (ko) * 1994-12-26 2001-12-28 김순택 음극선관용노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1925A (pt) 1998-11-10
JPH09293452A (ja) 1997-11-11
CN1083612C (zh) 2002-04-24
DE19711968A1 (de) 1997-10-30
CN1177823A (zh) 1998-04-01
KR970059776U (ko) 1997-11-10
MX9703059A (es) 1998-05-31
JP3182364B2 (ja) 2001-07-03
MY132486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4695A (ko) 노광 장치
ATE165187T1 (de) Bildanzeigegerät
KR200147760Y1 (ko) 음극선관 노광장치
JP3286589B2 (ja) 表示装置
DE69833640T2 (de) Abgeschirmte Schweisseinrichtung für optische Fasern
JPS6273263A (ja) 透過、反射両用検版装置
SE9500267D0 (sv) Faltsignal
JPH08306617A (ja) 露光装置
US4322161A (en) Stripper's table and method of compositing lithographic work pieces
JPS59115849A (ja) スクリ−ン印刷版の位置決め装置
KR200147701Y1 (ko) 이동대가 장착된 노광장치
JPH0469942B2 (ko)
KR0131598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조정장치
KR980011661A (ko) 평면브라운관의 마스크 스트레칭 장치
DE10354195B4 (de) Dualmodus-LCD-Projektor
KR0139143Y1 (ko) 노광장치
RU1817267C (ru) 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130590B2 (ja) ラインチャート切換え装置
JP2773409B2 (ja) フィルム画像変換装置
JPS6261935B2 (ko)
JP34763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511531B2 (ja) 写真焼付け装置
JP2522252Y2 (ja) カメラの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KR970071046A (ko) 광학계의 광량 조절장치
JP2005236004A (ja) 二段式フライアイレン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