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648Y1 -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 Google Patents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648Y1
KR200147648Y1 KR2019960012667U KR19960012667U KR200147648Y1 KR 200147648 Y1 KR200147648 Y1 KR 200147648Y1 KR 2019960012667 U KR2019960012667 U KR 2019960012667U KR 19960012667 U KR19960012667 U KR 19960012667U KR 200147648 Y1 KR200147648 Y1 KR 200147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ush button
tact switch
poin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064U (ko
Inventor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12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648Y1/ko
Publication of KR970064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용 푸쉬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버튼과 가동레버를 구비하되 그 축선이 편심된 택트스위치용 푸쉬버튼에 있어서, 가압버튼(11)의 자유단(A)과 가동레버(19)의 끝단(B) 사이를 연결하는 법선(C)에 대하여 중앙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D)상에 피봇점(CP)이 놓여지도록 텐션부재의 끝단을 몸통에 형성하여, 가압버튼과 가압레버가 동일한 회전반경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는 가압버튼을 가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놓여지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보다 정확히 가압할 수 있으며, 제품의 구조적인 제약 혹은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제품설계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제1도는 종래의 푸쉬버튼의 일 예를 예시하는 요부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푸쉬버튼이 제품의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푸쉬버튼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가압버튼, 텐션부재 및 가동레버를 와이어 프레임으로 도시한 와이어 프레임이다.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다른 응용예를 도시하는 와이어 프레임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푸쉬버튼 11 : 가압버튼
13 : 체결부 15 : 몸통
17 : 텐션부재 19 : 가동레버
20 : 택트스위치 A : 가압포인트
B : 가동포인트 C : 법선
CP : 피봇점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용 푸쉬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버튼과 일체로 형성된 가압버튼과 가동레버의 회전반경이 서로 다르게 회동되는 것을 동일한 회전반경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보다 정확히 가압할 수 있는 푸쉬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전제품들은 전자부품의 소형화로 인해 자체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그에 따른 부품의 경량화 및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가전제품에 내장되는 각종 부품 예를 들어 각종 기능을 회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Tact Switch) 스위치 역시 매우 최소화되었다. 택트스위치는 부피가 매우 작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은 제품, 즉 미니카세트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일반 가전제품 등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택트스위치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회로적으로 ON 혹은 OFF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누르면 ON 혹은 OFF 기능을 전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택트스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소형으로 제작된 관계로 손으로 직접 조작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어 별도의 조작용 버튼 즉, 푸쉬 버튼이 요구된다.
푸쉬버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택트스위치를 회로적으로 ON 혹은 OFF시키기 위해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누르기 위해 사용되는데, 대개 탄성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푸쉬버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탄성수단으로는 푸쉬버튼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거나, 푸쉬버튼을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시 비교적 얇게 텐션부재를 형성하여 가압버튼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작된 것도 있다.
전자의 경우 푸쉬버튼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해야 함으로 불필요하게 부품을 사용하는 결과를 낳게 되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텐션부재를 이용한 후자의 푸쉬버튼 구조가 주로 응용되고 있다.
텐션부재를 이용한 푸쉬버튼의 일 예는 제1도 및 제2도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푸쉬버튼(10)은 케이스의 내벽에 결합되는 체결부(13)를 갖는 몸통(15)상에 비교적 가늘게 형성된 텐션부재(17)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작된 가압버튼(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푸쉬버튼(10)은 가압버튼(11)을 눌렀을 때 택트스위치(20)의 접점(21)까지 그 끝단이 도달되도록 가동레버(19)가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푸쉬버튼(10)은 가동레버(19)의 끝단과 택트스위치(20)의 접점(2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케이스(30, 제2도참조)에 조립되게 됨으로 그 간격의 증감에 따라 택트스위치의 기능이 원활하게 동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동레버의 끝단과 택트스위치의 접점간의 간격이 넓을 경우 가동레버의 끝단이 접점을 누르지 못하여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택트스위치(20)의 스위칭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푸쉬버튼(10)의 구조적인 측면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서, 가압버튼(11)을 누르는 힘의 방향은 직선방향으로 작용되더라도 가동레버(19)는 텐션부재(17)를 Q지점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 가동레버의 끝단이 택트스위치의 접점(21)을 정 확하게 누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푸쉬버튼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가동레버(19)가 회동될 것을 예상하여 가동레버의 회전반경상에 택트스위치의 접점 이 놓이도록 설계하기도 하지 만 근본적인 해결책이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푸쉬버튼(10)을 케이스(30)의 내부에 결합하는 과정에 그 구조적 특성에 맞는 푸쉬버튼이 요구되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가압버튼과 가동레버의 축선편차가 심하게 차이가 나도록 설계되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조작불량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푸쉬버튼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압버튼과 가동레버의 회전반경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택트스위치의 동작 불량이 최소화되도록 다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압버튼과 가동레버가 회동되어 질 때, 가압포인트와 가동 포인트를 동일한 궤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그 회전 회전반경상에 스위치의 접점이 위치되도록 설치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제약에 따른 설계제한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설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푸쉬버튼은 가압버튼의 가압포인트와 가동레버의 가동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그 직선의 중싱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선상에 피봇점을 갖는 텐션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동포인트와 가압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푸쉬버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쉬버튼(10)은 데이스(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형성된 보스상에 나사결합되는 몸통(15)과 몸통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텐션부재(17)에 가압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버튼(11)의 일측 끝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재(19a)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가동레버(19)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푸쉬버튼에 대하여 설명의 명료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4도의 각 구성요소를 와이어 프레임으로 도시하는 제5도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포인트 A는 사용자가 택트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가압버튼(11)을 누르는 가압포인트이고, 포인트 B는 푸쉬버튼에 의해 연동되는 가동레버(19)가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가압하는 가동포인트이며, C는 포인트 A와 B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이고, D는 선 C의 중심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텐션부재(17)에 해당한다.
포인트 A와 B는 각각 포인트 A와 포인트 B로부터 선 D의 임의의 한 지점을 연결하여 피봇점(CP)으로 가정하고 그 CP지점으로 연결된 A1과 B1선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됨으로 가압버튼(11)을 눌렀을 때 동일한 회전반경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가압버튼(11)을 눌렸을 때, 가압버튼(11)과 가동레버(19)는 몸통(15)과 접하는 텐션부재(17) 사이를 중심으로 즉, CP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동일한 궤적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궤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압버튼과 가동레버의 회전에 따른 웨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고려하여 그 회전반경 상에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위치시킴으로써 가동레버(19)와 스위치의 접점 사이의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지 않더라도 스위칭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 택트스위치는 가압버튼과 가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놓여지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11)의 축선에 대한 C선의 각도를 보다 크게 즉, 가압포인트(A)와 가동포인트(B)를 연결하는 C선의 각도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적인 제약 혹은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제품설계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당해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형예나 응용예 들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및 이하에서 규정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1)

  1. 가압버튼(11)과 가동레버(19)를 구비하되 그 축선이 편심된 택트스위치용 푸쉬버튼(10)에 있어서, 상기 가압버튼(11)의 자유단(A)과 가동레버(19)의 끝단(B) 사이를 연결하는 법선(C)에 대하여 중앙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D)상에 피봇점(CP)이 놓여지도록 텐션부재(17)의 끝단이 몸통(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KR2019960012667U 1996-05-20 1996-05-20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KR200147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667U KR200147648Y1 (ko) 1996-05-20 1996-05-20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667U KR200147648Y1 (ko) 1996-05-20 1996-05-20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64U KR970064064U (ko) 1997-12-11
KR200147648Y1 true KR200147648Y1 (ko) 1999-06-15

Family

ID=1945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667U KR200147648Y1 (ko) 1996-05-20 1996-05-20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64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107B1 (ko) 다양한 전기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KR20020025685A (ko) 스위치장치
US63296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US5566819A (en) Push button switch with over center bridge
KR100195824B1 (ko) 레버 스위치
KR200147648Y1 (ko) 가압포인트와 가동포인트가 동일한 궤적을 갖는 푸쉬버튼
WO2002037517A1 (fr) Commutateur de dimension reduite
US7111979B2 (en)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xial positions for electronic apparatus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S6233229Y2 (ko)
KR0143520B1 (ko) 푸쉬버튼 스위치
CN109148190B (zh) 用于按钮开关的驱动件及按钮开关
EP2747112B1 (en) Switch
JPH0521794Y2 (ko)
JPS6350740Y2 (ko)
KR930007691Y1 (ko) 접점스위치
JPH0326597Y2 (ko)
JP2924656B2 (ja) 押し釦スイッチ付きロータリースイッチ
KR950008994Y1 (ko) 스위치 버턴 조립체
JPH1021794A (ja) スイッチ装置
JPH0635322Y2 (ja) 薄形スイッチ
JP2000311553A (ja) スイッチ機構
KR820001719Y1 (ko) 스위치의 작동 장치
JPS5941547Y2 (ja) スイツチ
JPH0527931U (ja) 電気機器用スイツ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