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56Y1 - 엔진용 공기 과급기 - Google Patents

엔진용 공기 과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56Y1
KR200147456Y1 KR2019940010998U KR19940010998U KR200147456Y1 KR 200147456 Y1 KR200147456 Y1 KR 200147456Y1 KR 2019940010998 U KR2019940010998 U KR 2019940010998U KR 19940010998 U KR19940010998 U KR 19940010998U KR 200147456 Y1 KR200147456 Y1 KR 200147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take
engine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581U (ko
Inventor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10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56Y1/ko
Publication of KR950033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6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charg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엔진 회전수에 따라 공기저항이 증가될 때 제2흡, 배기로가 개도되어 엔진의 구동에 적당하고도 충분한 흡기와 증가된 만큼 많은 양의 연소가스가 배기될 수 있도록하고, 따라서 흡,배기시의 저항을 감소토록 함과 아울러, 과부하로 인한 터어빈의 파손 우려를 배제토록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린더 헤드의 흡기포트와 배기포트에 연통 형성되며, 동축 형성되는 임펠러와 터어빈이 설치된 흡, 배기라인과; 이 흡,배기라인에 각각 형성되어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제2흡,배기라인과: 상기 제2흡, 배기라인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을 개폐토록 하는 흡,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것.

Description

엔진용 공기 과급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린더 헤드 4 : 흡기포트
6 : 배기포트 8,10 : 흡,배기라인
14 : 임펠러 16 : 터어빈
18,20 : 제2흡,배기라인 22, 23 : 바이패스 흡,배기 제어뱉브
24, 25 : 흡,배기 에어실린더 26 :호오스
28 : 공기탱크 30 : 솔레노이드 제어밸브
32 : 제IRPM센서 34 :제2RPM센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엔진용 공기 과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제2흡, 배기로가 개폐되어 엔진의 구동에 적당하고도 충분한 흡기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따라서 흡, 배기시의 저항이 감소되도록 함과 아울러, 과부하로 인한 터어빈의 파손 우려를 배제토록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엔진이 연소실에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분사장치에 의해 연소실에 흡기된 공기에 분사되어 혼합기를 형성함으로써, 혼합기가 연소 폭발될 때 구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분사장치에 의해 제어 분사되는 연료와 함께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에 공기를 과급(過給)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과급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상태로 고온의 폐열을 갖는 연소 가스가 과급기의 터어빈(50)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이 터어빈(50)의 회전력으로 터어빈축(52)과 동축 결합된 임펠러(54)를 회전시켜 임펠러(54)의 회전에 따라 다량의 공기를 연소실(56)에 강제 공급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엔진의 공기 과급기는 엔진의 RPM이 증가될 때 공기의 유입량과 연소가스의 배출량이 중가됨에 따라 배기라인에 공기저항이 유발되며,이로인해 배기라인에 설치된 터어빈의 파손 우려를 내포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 회전수에 따라 공기저항이 증가될 때 제2흡, 배기로가 개도되어 엔진의 구동에 적당하고도 충분한 흡기와 증가된 만큼 많은 양의 연소가스가 배기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흡, 배기시의 저항을 감소도록 함과 아울러, 과부하로 인한 터어빈의 파손 우려를 배재토록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린더 헤드의 흡기 포트와 배기포트에 연통 형성되며, 동축 형성되는 임펠러와 터어빈이 설치된 흡,배기라인과; 이 흡, 배기라인에 각각 형성되어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제2홉, 배기라인과; 상기 제2흡, 배기라인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을 개폐토록 하는 흡, 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흡,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은 상기 제2흡, 배기라인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을 개폐토록 하는 바이패스 흡, 배기 제어밸브와; 공압으로 작동되어 상기 바이패스 흡, 배기 제어밸브를 개패 작동시키는 흡,배기 에어실런더와; 이 흡,배기 에어실린더와 공기탱크를 연통 연결토록 하는 호오스에 설치됨과 아울러, 엔진 RPM이 1,000이하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1RPM센서 및 엔진RPM이 2,000 이상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2RPM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엔진의 RPM에 따라 공기탱크로 부터의 공압이 상기 흡, 배기 제어밸브에 선택적으로 재공될 수 있도록 제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제어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엔진이 1,000 RPM이하로 구동될 때, 또는 엔진이 2,000 RPM이상으로 구동될 때 이러한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한 제1RPM센서나 제2RPM센서의 시그널에 의해 솔레노이드 제어밸브가 개도 작동되어 공기탱크로 부터의 공압이 흡,배기 에어실린더에 제공되도록 하고, 이 공압에 의해 흡, 배기 에어실린더로 하여금 바이패스 흡, 배기 밸브를 개도 작동시키도록 하여 흡, 배기 라인 및 제2흡, 배기라인을 통해 공기가 연소실 내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흡기 저항 및 연소가스의 배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용 공기 과급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실린더 헤드(2)의 흡기포트(4)와 배기포트(6)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흡,배기 라인(8)(10)에서서로 동축으로 형성되는 임펠러(14)와 터어빈(16)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흡, 배기라인(8)(10)에는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연소 가스가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제2흡, 배기라인(18)(20)이 연통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2흡, 배기라인(18)(20)에는 흡, 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이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제2흡,배기라인(18)(20)을 개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흡, 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은 상기 제2흡, 배기 라인(18)(20)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18)(20)을 개폐토록 하는 바이패스 흡, 배기 제어밸브(2B)(23)와, 공압으로 작동되어 상기 바이패스 흡, 배기 제어밸브(22)(23)를 개폐 작동시키는 흡, 배기 에어실린더(24)(25)를 구비토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흡, 배기 에어실린더(24)(25)는 호오스(26)에 의해 공기탱크 (28)와 연통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호오스(26)의 중간에는 엔진의 RPM에 따라 공기탱크(28)로 부터의 공압이 상기 흡,배기 제어밸브(22)(23)에 선헉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제어밸브(30)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 제어밸브(30)는 엔진 RPM이 1,000 이하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1RPM센서(32) 및 엔진 RPM이 2,000 이상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2RPM센서(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이 시그널에 의해 공압의 유통을 제어토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용 공기 과급기는 엔진이 1,000 RPM이하로 구동될 때, 또는 엔진이 2,000 RPM 이상으로 구동될 때 이러한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한 제1RPM(32)센서나 제2RPM센서(34)의 시그널에 의해 솔레노이드 제어밸브(30)가 개도 작동된다.
이때,공기탱크(28)로 부터의 공압이 호오스(26)를 통해 흡, 배기 에어 실린더(24)(25)에 제공되도록 하고, 이 공압에 의해 흡, 배기 에어실린더(24)(25)로 하여금 바이패스 흡, 배기 밸브(22)(23)를 개도 작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흡, 배기 라인(8)(10) 및 제2흡, 배기라인(18)(20)을 통해 공기가 연소실 내로 흡입되도록 하여 흡입 공기의 흡기 저항 및 연소가스의 배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고안의 효과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엔진용 공기 과급기는 엔진 회전수에 따라 공기저항이 증가될 때 제2흡, 배기로가 개도되어 엔진의 구동에 적당하고도 충분한 흡기와 증가된 만큼 많은 양의 연소가스가 배기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흡, 배기시의 저항을 감소토록 함과 아울러, 과부하로 인한 터어빈의 파손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실린더(24) 혜드(2)의 흡기포트(4)와 배기포트(6)에 연통 형성되며, 동축 형성되는 임펠러(14)와 터어빈(16)이 설치된 흡,배기라인(8)(10)과; 이 흡, 배기라인(8)(10)에 각각 형성되어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제2흡, 배기라인 (18)(20)과; 상기 제2흡,배기라인(18)(20)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18)(20)을 개폐토록 하는 흡, 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흡, 배기 바이패스 제어수단은 상기 제2흡, 배기라인(18)(20)에 설치되어 이 제2흡, 배기라인(18)(20)을 개폐토록 하는 바이패스 흡,배기 제어밸브(22)(23)와; 공압으로 작동되어 상기 바이패스 흡, 배기 제어밸브(22)를 개폐 작동시키는 흡, 배기 에어실린더 (24)(25)와 : 이 흡, 배기 에어실린더(24)(25)와 공기탱크(28)를 연통 연결토록 하는 호오스(26)에 설치됨과 아울러, 엔진 RPM이 1,000 이하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1RPM센서(32) 및 엔진 RPM이 2,000 이상일 때 전기적인 시그널을 내보내는 제2RPM센서(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엔진의 RPM에 따라 공기탱크(28)로 부터의 공압이 상기 흡,배기 제어밸브(22)(23)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제어밸브(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공기 과급기.
KR2019940010998U 1994-05-17 1994-05-17 엔진용 공기 과급기 KR200147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998U KR200147456Y1 (ko) 1994-05-17 1994-05-17 엔진용 공기 과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998U KR200147456Y1 (ko) 1994-05-17 1994-05-17 엔진용 공기 과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81U KR950033581U (ko) 1995-12-16
KR200147456Y1 true KR200147456Y1 (ko) 1999-06-15

Family

ID=1938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998U KR200147456Y1 (ko) 1994-05-17 1994-05-17 엔진용 공기 과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81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456Y1 (ko) 엔진용 공기 과급기
JPH0543240Y2 (ko)
EP0278032B1 (en) High performance exhaus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32827Y2 (ko)
JPS5823245A (ja) 吸気抵抗損失を低減させた内燃機関
JPS5925100B2 (ja) 過給内燃機関
KR0139717Y1 (ko) 디젤엔진의 중간 냉각기
JPS60216030A (ja) タ−ボチヤ−ジヤ付内燃機関
KR200151137Y1 (ko) 터보차저 엔진용 흡기장치
JPH071018B2 (ja) 機械式過給機付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制御装置
JPS5830096Y2 (ja) 内燃機関燃焼室への混合気撹拌装置
KR19980046234A (ko) 터보차저 구조
KR960007387Y1 (ko) 내연기관의 흡기 증대장치
JPH02153226A (ja) エンジンの過給装置
JPS6231628Y2 (ko)
JPS60224934A (ja) タ−ボ過給機付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315805Y2 (ko)
KR970000362Y1 (ko) 자동차의 가변 흡기 밸브 개폐장치
JP2501553Y2 (ja) 過給式2サイクルエンジン
JPH02125920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59200017A (ja) 過給機付エンジン
JPH03194122A (ja) 車両用内燃機関の複合型過給装置
JPH02256830A (ja) 過給機付内燃機関
KR970044605A (ko) 4사이클 기관의 연소 시스템
KR19980055795A (ko) 터보 엔진에서의 배압 감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