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254Y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254Y1
KR200147254Y1 KR2019970014635U KR19970014635U KR200147254Y1 KR 200147254 Y1 KR200147254 Y1 KR 200147254Y1 KR 2019970014635 U KR2019970014635 U KR 2019970014635U KR 19970014635 U KR19970014635 U KR 19970014635U KR 200147254 Y1 KR200147254 Y1 KR 200147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ug
vacuum cleaner
outle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219U (ko
Inventor
김병광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14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2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2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6Hose or pipe couplings with 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결합구와 본체의 내부에 내장시키고,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면 플러그가 돌출되어 플러그가 돌출되어 본체에 내장된 콘센트에 접속되도록 하고, 결합구와 본체가 분리되면 돌출된 플러그가 스프링에 의하여 결합구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에 사용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로써 잔류 전기에 의한 불쾌감 등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와 흡입관의 전선 접속구조에서 전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잔여 전기에 의한 불쾌감 등을 없앤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 등의 부유물을 함께 흡입하여 공기는 배출하고 부유물은 걸러냄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은 임펠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생성되는데, 임펠러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1은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본체(1)와 청소대상면에 밀착되는 흡입체(2)와 본체(1)와 흡입체(2)를 연결하는 흡입관(3) 및 흡입호스(4)로 구성된다. 본체(1)로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5)이 마련되며, 진공청소기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6)는 흡입관(3)의 상측에 마련된 핸들부(7)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치(6)와 본체(1)를 연결하기 위하여 흡입호스(4)의 단부에는 돌출된 플러그(8)가 설치되고, 이에 대면하는 본체(1)에는 플러그(8)가 삽입결합되는 콘센트(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는 핸들부(7)에 설치된 스위치(6)를 조작하여 청소기를 제어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진송청소기는 핸들부에 설치된 스위치들과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구조중 플러그가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됨으로써 플러그에 인체가 접촉하였을 때 잔존하는 전기에 의한 불쾌감이 유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접속을 위한 구조물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단자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결합구조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3과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결합구도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3은 분리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결합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30 : 연결부재
33 : 결합부재 40 : 콘센트
50 : 플러그 51 : 단자
52 :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청소대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본체와 별개로 마련된 흡입체,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콘센트의 일측에는 외향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그 양단이 축을 매개로 시소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에는 타단이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압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단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양단에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단자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반대측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함께 흡입된 공기와 부유물중 부유물은 집진하고 공기는 배출시킴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본체(10)와 청소대상면에 밀착되어 공기와 부유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체(20)와 흡입체(2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연결부재(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된다. 연결부재(30)는 경질로 이루어진 흡입관(31)과 프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된 흡입호스(32)로 이루어지는데, 흡입관(31)은 흡입체(20)에 결합되고, 흡입호스(32)는 본체(10)에 결합된다. 흡입호스(32)의 단부에는 경질의 결합부재(33)가 설치되어 연질의 흡입호스(32)를 본체(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관(31)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잡고 청소할 수 있도록 핸들부(34)가 마련되는데, 핸들부(34)의 상면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61)를 갖는 스위치부(60)가 마련된다.
결합부재(33)와 흡입구(11)의 외측 본체(10)에는 스위치부(60)와 본체(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3)에는 플러그(50)가 설치되고, 본체(10)에는 플러그(50)가 접속되는 콘센트(40)가 설치된다. 이때 플러그(50)와 콘센트(40)는 연결부재(30)와 본체(10)의 내부에 내장 설치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콘센트(40)는 흡입구(11)의 상부 본체(10)에 내장되는데, 콘센트(40)의 외측 본체(10)에는 플러그(50)가 삽입되어 콘센트(4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홀(13)이 형성된다. 그리고 홀의 측방 본체(10)의 외측면에는 외향 돌출된 돌출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50)는 중심부위에 마련된 축(53)을 매개로 양단이 시소 운동하도록 결합부재(33)의 내부에 설치된다. 콘센트(40)의 일단에는 단자(5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돌기(52)가 설치된다. 단자(51)와 돌기(52)에 대응하는 결합부재(33)에는 홀(33a)(33b)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부재(33)가 흡입구(11)에 결합되면, 돌출부(12)가 삽입되어 돌기(52)를 압착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자(51)가 돌출되어 콘센트(40)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돌기의 내측에는 스프링(54)이 설치되어 콘센트(40)의 타단측을 바이어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결합전의 상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50)와 콘센트(40)가 결합부재(33)와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33)가 본체(10)에 결합되면, 본체(10)에 형성된 돌출부(12)가 홀(33b)을 통하여 결합부재(3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돌기(52)를 압착한다. 이로써 돌기(52)의 반대측에 마련된 단자(51)는 결합부재(33)와 본체(10)에 형성된 홀(33a)(13)을 통하여 콘센트(40)에 접속된다.
이후 결합부재(33)가 본체(10)에서 분리되면, 돌출부(12)에 의한 압착력이 사라진 플러그(50)의 타단이 스프링(54)에 의하여 원상 복원됨으로서 돌출되었던 단자(51)도 결합부재(33)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결합구와 본체의 내부에 내장시키고, 결합구와 본체가 결합되면 플러그가 돌출되어 플러그가 돌출되어 본체에 내장된 콘센트에 접속되도록 하고, 결합구와 본체가 분리되면 돌출된 플러그가 스프링에 의하여 결합구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에 사용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로써 잔류 전기에 의한 불쾌감 등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본체, 청소대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본체와 별개로 마련된 흡입체,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콘센트의 일측에는 외향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그 양단이 축을 매개로 시소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에는 타단이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압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양단에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단자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반대측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19970014635U 1997-06-17 1997-06-17 진공청소기 KR200147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635U KR200147254Y1 (ko) 1997-06-17 1997-06-1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635U KR200147254Y1 (ko) 1997-06-17 1997-06-1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19U KR19990001219U (ko) 1999-01-15
KR200147254Y1 true KR200147254Y1 (ko) 1999-06-15

Family

ID=1950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635U KR200147254Y1 (ko) 1997-06-17 1997-06-1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2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37A1 (ko) *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237A1 (ko) *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10213075B2 (en) 2016-05-20 2019-02-2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19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6304A (en) Double disconnect,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fied vacuum hose for wet/dry vacuum cleaner
US4277640A (en) Electric current-carrying hose assembly having end fittings enclosing an electrical switch and/or a circuit-breaking device
US5884358A (en)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rotating connection portion
CA2006633A1 (en) Internal contact for charge unit
KR200147254Y1 (ko) 진공청소기
US5004428A (en) Vacuum system attachment
KR2005006509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KR910000082A (ko) 전기 진공청소기
US6344782B1 (en) Dry type vacuum cleaner/sander switching adapter
JP3086506B2 (ja) 電気掃除機
CN112952437B (zh) 一种电连接器母端及电连接器
CA1333491C (en) Vacuum system attachment
KR0170584B1 (ko)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KR100199930B1 (ko) 진공청소기의 전원 차단장치
JPS63192413A (ja) 電気掃除機のホ−ス
KR100222846B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단자 결합구조
JP2750036B2 (ja) 電気掃除機
EP0079418A1 (en) Double disconnect,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fied vacuum hose for wet/dry vacuum cleaner
GB2308242A (en) Shuttered electrical socket
JPH0334070Y2 (ko)
KR200155814Y1 (ko) 진공청소기용 호스의 연결장치
KR100504469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손잡이 연결구조
KR100403504B1 (ko) 진공청소기용 핸들
JP3222363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0065404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