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210Y1 - 볼륨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볼륨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210Y1
KR200147210Y1 KR2019950038701U KR19950038701U KR200147210Y1 KR 200147210 Y1 KR200147210 Y1 KR 200147210Y1 KR 2019950038701 U KR2019950038701 U KR 2019950038701U KR 19950038701 U KR19950038701 U KR 19950038701U KR 200147210 Y1 KR200147210 Y1 KR 200147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ume
output
sound sour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141U (ko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최석한
주식회사 인 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한, 주식회사 인 켈 filed Critical 최석한
Priority to KR2019950038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210Y1/ko
Publication of KR970046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에 장착되는 음원의 변경으로 조정해 놓았던 볼륨이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음원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볼륨 크기로 출력 음의 레벨이 일정하게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불륨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음원의 선택이 변경됨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레벨의 크기가 기설정되는 볼륨의 허용범위(±△V)와 현재 볼륨의 크기(Vvol)에 따라 구해지는 전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크기로 조정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음원이 절환될 시 그 입력레벨이 다름으로 해서 볼륨이 갑자기 작아지거나 커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입력선택에 따른 음원의 입력레벨 변동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이미 조정한 볼륨레벨로 음이 일정하게 출력되므로 볼륨을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제거되며, 또한 음성라인에서 직접 볼륨을 제어함에 의해 발생하던 접촉 노이즈에 대한 영향도 제거되어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볼륨 자동 제어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볼륨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 볼륨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너 2 : 카세트 데크
3 : 콤팩트 디스크 4 : 음원 절환 스위치
5 : 메인 증폭기 6 : 중앙처리부
7 : 프리앰프 8 . 리모콘 송신기
10 : 연산중폭기 20 : 실효치-직류변환기
30 : 감산기 40 :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
50 : 가산기 SP : 스피커
VR : 가변저항 Q1 : 제1트랜지스터
Q2 : 제2트랜지스터 RDS: 제1트랜지스터 저항
Rl∼R3 : 저항
본 고안은 오디오에 장착되는 음원의 변경으로 조정해 놓았던 볼륨이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음원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볼륨 크기로 출력 음의 레벨이 일정하게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볼륨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볼륨 제어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1)와 카세트 데크(2) 및 콤팩트 디스크(3)의 출력측에 입력단자(a∼c)를 각각 접속시켜 입력 절환한 후 출력단자(d)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음원 절환 스위치(4)와, 상기 음원 절환 스위치(4)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입력레벨을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저항값에 따라 조정하는 가변저항(VR)과,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 조절된 음원을 중폭한 후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메인 중폭기(5)와,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송신기(8)로부터의 제어신호를 프리앰프(7)에서 중폭한 후, 이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중앙처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볼륨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튜너(1)와 카세트 데크(2) 및 콤팩트 디스크(3)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원 절환 스위치(4)의 각각의 입력단자(a∼c)에 입력되고,그 입력단자(a∼c) 각각에 입력된 음원(1∼3)의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절환 스위치(1)의 접점을 통해 가변저항(VR)으로 입력되고 그 입력레벨은 가변저항(VR)의 저항값에 따라 조절된다. 이 조절된 음성신호는 메인 증폭기(5)에서 증폭되어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가변저항(VR)의 저항값 조절이 리모콘 송신기(8)의 음량 증감키에 의해이루어지면 그 제어 신호는 프리앰프(7)에서 중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중앙처리부(6)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이 조절된다.
이때, 입력레벨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가지 음원들이 장착되어 있는 오디오에서 현재 듣고 있던 음원에서 다른 음원으로 절환할시, 상기와 같이 수동조작에 의해 볼륨이 조정되는 볼륨 제어 장치에 의해서는 음원에 대한 각 입력레벨이 다름으로 해서 최종 출력되는 음량이 더 커지거나 더 작아지게 된다.
즉, 입력레벨이 100mV인 콤팩트 디스크를 음원으로 선택하여 음을 듣고 있다가, 입력레벨이 50mV인 튜너로 음원을 절환할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최종 출력레벨이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처음 콤팩트 디스크를 들을 때와 같은 출력레벨로 듣기 위해 볼륨을 재조정해야 한다. 이와 달리, 현재 듣고 있던 음원의 입력레벨 보다 상당히 큰 입력레벨을 가진 음원으로 절환할 경우에는 볼륨이 갑자기 커지게 되어 사용자가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볼륨 제어 장치에서는 볼륨 조정이 음성라인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접촉 노이즈가 발생하여 최종 출력되는 음의 질이 좋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원의 선택이 변경됨에 따라 달라지는 입력레벨의 크기가 기설정되는 볼륨의 허용범위(±△V)와 현재 볼륨의 크기(Vvol)에 따라 구해지는 전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크기로 조정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음원이 절환될 시 그 입력레벨이 다름으로 해서 볼륨이 갑자기 작아지거나 커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볼륨 자동 제어 장치는, 튜너와 카세트 데크 및 콤팩트 디스크의 출력측에 입력단자를 각각 접속시켜 입력 절환한 후 출력단자론 통해 출력되게 하는 음원 절환 스위치와, 상기 음원 절환 스위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입력레벨을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저항값에 따라 조정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가변저항을 통해 조절된 음원을 증폭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메인 증폭기와,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프리앰프에서 증폭한 후, 이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은 조절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륨 제어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gate)-소오스(source) 간에 전압이 흐르도록 드레인(drain)측으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접합부의 저항값을 달리하여 상기 음원 절환 스위치에서 선택된 음원의 입력레벨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제1트랜지스터와; 저항을 통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메인 증폭기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와;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의 실효치(Root Mean Square Value)를 구하여 정확하게 직류로 변환시키는 실효치-직류변환기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가변저항의 조정으로 설정된 볼륨전압과 상기 실효치-직류변환기의 출력전압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을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에 대해 비교하여 그에 따라 출력전압을 구하는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을 그라운드로 스위칭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구동전압을 합하여 제1트랜시스터의 드레인측으로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는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이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 내에 있으면 전출력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그 허용범위 보다 작은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을 뺀 값을 출력하고, 그 허용범위 보다 큰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을 더한 값을 출력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이 '0'일 경우 또는 자동 볼륨 제어에 필요한 최소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를 인식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감산기의 출력전압을 그라운드로 스위칭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볼륨전압이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다른 음원을 선택할 경우 또는 오디오의 파워를 온시킬 경우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인식하게 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정지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볼륨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로서, 그 구성은 제1트랜지스터(Q1)와, 연산증폭기(10)와, 실효치-직류변환기(20)와, 감산기(30)와,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와, 제2트랜지스터(Q2)와, 가산기(5G)를 포함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01)는 상기 가산기(50)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V5)에 따라 그 저항값(RDS)을 달리하여 선택된 음원의 입력레벨의 전압 크기가 조정되도록 하여 상기 연산증폭기(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바람직한 실례로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 FET)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즉, 드레인(drain)을 통해 게이트(gate)-소스(sourse)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접합부가 역바이어스되어 공핍층이 넓어짐으로써 실효적인 채널폭이 좁아겨 흐르는 전류가 컨트롤된다.
여기서는, 입력전압(V5)이 작을수록 저항값(RDS)이 더 커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상기 연산증폭기(10)는 저항(Rl)을 통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01)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여 메인 증폭기(5)(제1도에 도시)와 상기 실효치-직류변환기(20)로 출력한다. 도시된 부호 (R2)는 상기 연산증폭기(10)의 피드백(Feed-Back) 저항이다.
상기 실효치-직류변GHKS기(20)는 상기 연산증폭기(10)의 출력전압의 실효치(Root Mean Square Value)를 구하여 정확하게 직류로 변환시켜 상기 감산기(3e)로 출력한다. 이때, 실효치는 '교류신호의 순시치의 제곱의 평균치의 평방근'으로 정의된다.
상기 감산기(30)는 사용자에 의한 가변저항(VR)의 조정으로 기준전압(Vref)을 분배하여 설정된 볼륨전압(Vvol)과 상기 실효치-직류변판기(20)의 출력전압(Vl)의 차이(V2 = Vvol - Vl)를 구하여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같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는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을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V)에 대해 비교하여 그에 따라 출력전압(V3)을 구하여 상기 가산기(50)로 출력한다. 즉,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이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V) 내에 있으면 전출력상태(V3=V3')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그 허용범위(±△V) 보다 작은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V3')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값(RDS)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VR)을 뺀 값(V3=V3'-VR)을 출력하고, 그 허용범위(±△V) 보다큰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값(RDS)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VR)을 더한 값(V3=V3'+VR)을 출력 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이 '0'일 경우 또는 자동 볼륨 제어에 필요한 최소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를 인식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을 그라운드로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는 최종 출력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볼륨전압(Vvol)이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다른 음원을 선택할 경우 또는 오디오의 파워를 온시킬 경우를 중앙처리부(6)에 의해 인식하게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동작은 정지한다.
상기 가산기(50)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의 출력전압(V3)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71)의 구동전압(V4)을 합하여 제1트랜시스터(01)의 드레인측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선택된 음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입력레벨(Vin)이 제1트랜지스터(Q1)로 입력되면 미리 정해져 있는 제1트랜지스터(Q1)의 구동전압(V4)에 의해 지정되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RDS)과, 저항(Rl)과,연산증폭기(10)의 피드백 저항(R2)과, 연산증폭기(10)에 의해 최종 출력되는 전압(Vout)의 크기는 하기 식(1)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1)식에 따라 구해진 최종 출력전압(Vout)은 메인 증폭기(5)(제1도에 도시)로 출력됨과 동시에 실효치-직류변환기(20)에 의해 실효값으로 변환되어 감산기(30)로 입력된다. 이 감산기(30)에서는 사용자가 가변저항(VR)에 의해 기준전압(Vref)을 분배하여 설정한 볼륨전압(Vvol)과 상기 실효치-직류변환기(20)의 출력전압(Vl)과의 차이(V2=Vvol-Vl)를 구하여 이 값(V2)을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로 출력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을 비교하여 출력한다.
-△VV2△V 이면 전출력전압(V3') 유지 ‥‥‥‥ V3 = V3'
V2-△V 이면 전출력전압(V3')에 VR을 뺀값‥‥ V3 = V3'-VR
V2△V 이면 전출력전압(V3')에 VR을 더한값‥‥ V3 = V3'+VR
여기서, 상기 VR은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간(Rus)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을 나타낸다.
이렇게 해서 출력된 전압(V3)은 가산기(50)로 입력되어 제1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압(V4)과 더해진다. 그리고, 이는 제1트랜지스터(01)의 드레인측으로 입력되어 제1트랜지스터(Q1)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입력레벨(Vin)이 제어되도록 한다. 즉,가산기(5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V5)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같(RDS)이 커적 제1트랜지스터(Q1)를 통해 출력되는 입력레벨(Vin)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즉, 상기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원에서 입력레벨(Vin)이 더 큰 음원으로 절환하여 들을 경우에는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이 볼륨의 허용범위(±△V) 보다 작게 출력되므로 제1트랜지스터(Q1)로 입력되던 전상태의 전압 크기 보다 작게 된다 이로써, 바뀐 음원의 입력레벨(Vin)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상태의 출력레벨(Vout)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듣고 있던 음원에서 볼륨을 더 크게 하면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은 볼륨의 허용범위(±△V) 보다 크게 출력되므로 제1트랜지스터(Q1)로 업혁되던 전상태의 전압 크기 보다 크게 된다. 이로써, 더 크게 조절된 볼륨에 의해 제1트랜지스터(Q1)를 통해 스위칭되는 입력레벨(Vin)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볼륨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설정한 볼륨전압(Vvol)의 크기와 실효치-직류변환기(20)에서 출력되는 전압(Vl)의 크기가 일치할 때까지 계속 반복 수팽되다가, 감산기(37)의 출력전압(V2)이 '0'이 되거나 자동볼륨제어에 필요한 최소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의 제어를 받아 제2트랜지스터(Q2)가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제2트랜지스터(Q1)는 감산기(30)의 출력전압이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로 입력되지 않도록 그라운드로 스위칭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로 입력되는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은 항상 '0'이 되어 그 출력상태는 계속적으로 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일정시간의 경과후 사용자가 원하는 볼륨에서 음을 듣고 있다가 간헐적으로 사응자가 원하는 볼륨의 허용범위를 넘는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순간적인 볼륨의 변화에 의한 음의 변질을 없애고 안정화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로 일정한 볼륨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가 다시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을 입력하여 볼륨을 재조정하는 경우는 볼륨전압(Vvol)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와, 사용자가 다른 음원을 선택했을 경우와, 오디오로의 파워공급이 이루어졌을 경우가 된다.
즉, 입력레벨(Vin)이 다른 음원으로 절환되는 경우와 볼륨이 갑자기 커지는 경우에 출력음의 안정화를 위해 상기 동작은 반복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선택에 따른 음원의 입력레벨 변동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이미 조정한 볼륨레벨로 음이 일정하게 출력되므로 볼륨을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제거되며, 또한 음성라인에서 직접 볼륨을 제어함에 의해 발생하던 접촉 노이즈에 대한 영향도 제거되어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튜너(1)와 카세트 데크(2) 및 콤팩트 디스크(3)의 출력측에 입력단자(a∼c)를 각각 접속시켜 입력 절환한 후 출력단자(d)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음원 절환 스위치(4)와, 상기 음원 절환 스위치(4)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입력레벨을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저항값에 따라 조정하는 가변저항(VR)과,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 조절된 음원을 증폭한 후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는 메인 증폭기(5)와,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송신기(8)로부터의 제어신호를 프리앰프(7)에서 중폭한 후, 이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중앙처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륨 제어 장치에 있어서,게이트-소오스 간에 전압이 흐르도록 드레인측으로 공급되는 전압(V5)의 크기에 따라 접합부의 저항값(RDS)을 달리하여 상기 음원 절환 스위치(4)에서 선택된 음원의 입력레벨(Vin)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저항(R1)을 통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메인 증폭기(5)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10)와, 상기 연산증폭기(10)의 출력전압의 실효치를 구하여 정확하게 직류로 변환시키는 실효치-직류변환기(20)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가변저항(VR)의 조정으로 설정된 볼륨전압(Vvol)과 상기 실효치-직류변환기(20)의 출력전압(V1)의 차이를 구하는 감산기(30)와;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을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V)에 대해 비교하여 그에 따라 출력전압(V3)을 구하는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을 그라운드로 스위칭하는 제2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의 출력전압(V3)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구동전압(V4)을 합하여 제1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측으로 출력하는 가산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 자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는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이 기설정되어 있는 볼륨의 허용범위(±△V) 내에 있으면 전출력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그 허용범위(±△V) 보다 작은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값(RDS)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VR)을 뺀 값을 출력하고, 그 허용범위(±△V) 보다 큰 범위에 있으면 전출력상태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저항값(RDS)을 변화시키기 위한 미소변화량(VR)을 더한 값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 자동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상기 감산기(30)의 출력전압(V2)이 '0'일경우 또는 자동 볼륨 제어에 필요한 최소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를 인식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에 의해 상기 감산기(20)의 출력전압(V2)을 그라운드로 스위칭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볼륨전압(Vvol)이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다른 음원을 선택할경우 또는 오디오의 파워를 온시킬 경우를 상기 중앙처리부(6)에 의해 인식하게 된 상기 제1트랜지스터 저항값 제어부(40)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정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 자동 제어 장치.
KR2019950038701U 1995-12-06 1995-12-06 볼륨 자동 제어장치 KR200147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701U KR200147210Y1 (ko) 1995-12-06 1995-12-06 볼륨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701U KR200147210Y1 (ko) 1995-12-06 1995-12-06 볼륨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41U KR970046141U (ko) 1997-07-31
KR200147210Y1 true KR200147210Y1 (ko) 1999-06-15

Family

ID=1943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701U KR200147210Y1 (ko) 1995-12-06 1995-12-06 볼륨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2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206B1 (ko) 2005-07-1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파일의 볼륨 조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35A (ko) * 1998-12-29 2000-07-15 전주범 브이 씨 알의 오디오 증폭이득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490409B1 (ko) * 2002-08-31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206B1 (ko) 2005-07-1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파일의 볼륨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4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7568A (en) Analog/digital and digital/analog converting apparatus
US20140340147A1 (en) Amplifier circuit and amplification method
KR19990029635A (ko) 가변 요소로서 전압 제어형 저항기를 가진 선형 리미터 회로를 이용한 자동 이득 제어용 방법 및 장치
EP0545536A1 (en) Voltage-controlled amplifier using operational amplifier
KR200147210Y1 (ko) 볼륨 자동 제어장치
US4320534A (en) Loudness control circuit
JPH05206771A (ja) 自動出力電力制御回路
JP6269423B2 (ja) 電力増幅装置および電力増幅方法
US7733174B2 (en) Feedback controlled power limiting for signal amplifiers
JP6229628B2 (ja) 電力増幅装置および電力増幅方法
EP0638997B1 (en) Servo circuit
US4710962A (en) Signal control apparatus
WO2004019485A1 (en) Power feedback apparatus
EP0567134B1 (en) Frequency control system in an audio device
JPH08317497A (ja) 音声案内装置
CN102158187A (zh) 信号处理电路
GB2102225A (e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acoustic apparatus mounted in vehicle
US6317502B1 (en) Electronic volume control circuit with controlled output characteristic
US5894522A (en) Distortion reduction system
KR0174909B1 (ko) 음량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A202435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electrical signals
KR100284188B1 (ko) 음성신호 증폭장치
KR940003350B1 (ko) 볼륨 자동 제어장치
Leach Jr An FET Audio Peak Limiter
KR20080056572A (ko)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볼륨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