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151Y1 -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151Y1
KR200147151Y1 KR2019950025765U KR19950025765U KR200147151Y1 KR 200147151 Y1 KR200147151 Y1 KR 200147151Y1 KR 2019950025765 U KR2019950025765 U KR 2019950025765U KR 19950025765 U KR19950025765 U KR 19950025765U KR 200147151 Y1 KR200147151 Y1 KR 200147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pipe
exhaust
dus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042U (ko
Inventor
김광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25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151Y1/ko
Publication of KR970014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60H1/249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using one-wa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와 배기파이프 사이에 배출구를 연결설치하여 배기파이프을 흐르는 배기가스의 배출압에 의한 실내 먼지배출을 가능하게 한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바닥부에 배기파이프측으로 통하는 먼지배출구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배출압에 의해 실내의 먼지가 배기파이프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특별한 장치구성 없이도 용이하게 실내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먼지배출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제1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먼지배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패널 11 : 배기파이프
12 : 연결통로 13 : 개폐도어
14 : 유도파이프 15 : 스프링
16 : 핀 17 : 지지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와 배기파이프 사이에 배출구를 연결설치하여 배기파이 프을 흐르는 배기가스의 배출압에 의한 실내 먼지배출을 가능하게 한 자동차의 배기파 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특히, 바닥부에는 필연적으로 상당량의 먼지가 쌓여 있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번거롭지만 실내청소를 자주하거나 주행중 수시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 한다.
그러나, 주행중 창문을 열게 되면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바닥부의 먼지가 오히려 날리게 되는 등 별 효과를 거두지 못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접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바 닥부에 배기파이프측으로 통하는 먼지배출구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배출압에 의해 실 내의 먼지가 배기파이프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특별한 장치구 성 없이도 용이하게 실내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먼지배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바닥패널(10)과 배기파이프(11) 사이에는 연결통로(12)가 설치되어 실내측과 배기파이프측이 서로 연통되게 되고, 상기 연결통로(12)의 내부에는 하단 개폐도어(13)를 갖는 유도파이프(14)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13)는 스프링(15)에 의한 탄성을 받아 항상 닫혀 있으면서 배기가스의 배출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려질 수 있게 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유도파이프(14)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축관부가 배기 파이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배출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2는 연결통로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통로(12)는 원통형의 파이프를 의미하며, 이러한 파이프의 양단은 바닥 패널(10)의 터널부와 그 안쪽을 따라 배치되는 배기파이프(11) 사이에 관통설치된다. 이에 따라 차 실내와 배기파이프 내부는 이 연결통로(12)에 의해 하나로 통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연결통로(12)는 됫쪽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곳을 통해 흐르는 공기가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빨려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4는 유도파이프를 나타낸다.
상기 유도파이프(14)는 원뿔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통로 (12)의 내부에 이것과 동심위치되면서 상단 확관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이용 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플랜지가 바닥패널(10)과 연결통로(12)간의 접합부에 함께 삽입접합 되므로서, 마치 상단 확관부를 이용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유도파이프(14)의 하단축관부는 배기파이프(11)쪽을 향하게 되므로서 실내의 먼지가 확관부에서 축관부로 손쉽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도파이프(14)의 하단축관부에는 스프링(15)에 의해 열림을 단속받는 개 폐도어(13)가 장착된다.
즉, 개폐도어(13)의 일단에는 핀(16)이 일체형성되고, 이것이 한쪽방향으로만 탄 성을 발휘하는 스프링(15)과 함께 상기 하단축관부상의 지지편(17)에 힌지결합되면서 하 단축관부의 바깥쪽으로 개폐도어(13)가 장착될 수 있게 되며, 이곳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게 된다. 이때의 개폐도어(13)는 외력 예를 들면, 배기가스가 배출될때 발생되는 배가부압 등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15)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항상 하단 축관부를 닫고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개폐도어(13)의 회전중심축이 되는 힌지결합부위는 하단축관부의 됫 쪽으로 형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 배기부압에 의해 열려지는 도어의 열림방향 이 바깥쪽 즉,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쪽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도어 열림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 운전시 배기파이프(1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압 즉, 파이프 내 압은 차 실내압보다 낮게된다.
따라서, 연결통로(12)의 배기파이프측 연결부위에는 일정부압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유도파이프(14)의 하단축관부를 막고 있던 개페도어(13)가 스프링(15)의 탄성반 력을 이기면서 첨부도면의(B)와 같이 열려지게 되므로, 차 실내의 바닥부에 쌓여 있던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도파이프(14)를 거쳐 배기파이프 및 머플러를 통하여 외부로 배 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진 정지시 차 실내압과 배기파이프 내압은 칼은 대기압 조건을 갖게 되 고, 따라서 개폐도어(13)는 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을 받아 첨부도면(A)와 같이 재차 닫혀지게 되므로, 이곳을 통한 차 실내로의 먼지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 실내와 배기파이프 사이에 먼지배출구를 형성하여 배기가스가 갖는 배출압에 의해 차 실내의 먼지 등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차량운행중에도 차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바닥패널(10)과 배기파이프(11) 사이에는 연결통로(12)가 설치되어 실 내측과 배기파이프측이 서로 연통되게 되고, 상기 연결통로(12)의 내부에는 하단 개폐도어(13)를 갖는 유도파이프(14)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13)는 스프링(15)에 의한 탄성을 받아 항상 닫혀 있으면서 배기가스의 배출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파이프(14)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축관부가 배기파이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파 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KR2019950025765U 1995-09-22 1995-09-22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KR200147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765U KR200147151Y1 (ko) 1995-09-22 1995-09-22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765U KR200147151Y1 (ko) 1995-09-22 1995-09-22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2U KR970014042U (ko) 1997-04-28
KR200147151Y1 true KR200147151Y1 (ko) 1999-06-15

Family

ID=1942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765U KR200147151Y1 (ko) 1995-09-22 1995-09-22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1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2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834B1 (en) Site-of-use installed venting apparatus
KR200147151Y1 (ko) 자동차의 배기파이프에 연결설치되는 먼지배출구
US4214729A (en) Connecting valve
EP0774742A3 (de) Branddetektor
SE9800688L (sv) Regler- och rensningsanordning för ugnsluftportar
KR0131021B1 (ko) 자동차용 보조 에어클리너
JPH07158954A (ja) ダンパ装置
CN205338834U (zh) 吸尘器的电机组件
KR200376803Y1 (ko) 흡·배기용 덕트의 댐퍼구조
CN215566488U (zh) 一种气阀总成
KR102267486B1 (ko) 환풍기
KR101946438B1 (ko) 밀폐 역풍 방지 댐퍼
CN105455729A (zh) 吸尘器的电机组件
KR200310054Y1 (ko) 저소음 환풍 장치
KR200155844Y1 (ko) 진공청소기의 정음연장관 구조
KR970035202A (ko) 웨더 스트립
KR200286203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구조
KR840002224Y1 (ko) 덕트의 송풍 장치
KR200393247Y1 (ko) 개폐도어가 구비된 송풍실 구조
KR960007773Y1 (ko) 자동차용 통풍 매트
JP2001105834A (ja) インテーク装置
KR970062357A (ko) 송풍기 조립체
JPS6350458Y2 (ko)
CN116025422A (zh) 进风装置和动力系统
JPH0719546Y2 (ja) 集塵機用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の取付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