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15Y1 - 전기 접속기용 클립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15Y1
KR200146715Y1 KR2019960007501U KR19960007501U KR200146715Y1 KR 200146715 Y1 KR200146715 Y1 KR 200146715Y1 KR 2019960007501 U KR2019960007501 U KR 2019960007501U KR 19960007501 U KR19960007501 U KR 19960007501U KR 200146715 Y1 KR200146715 Y1 KR 200146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lip
connection
exter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909U (ko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201996000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15Y1/ko
Publication of KR970059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9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속단자의 절곡에 의한 자체탄성과 탄성링에 의한 탄성을 동시에 받으면서 외부단자와 긴밀한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속기와 단자와의 이탈을 방지하였으며 또 접속단자 내부로 별개의 금속을 삽입하여 절곡시킨 것과 접속단자 자체에서 감아붙인 고정편으로 인하여 외부케이블과 접속단자 고정부와의 결합을 견고히 체결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로 인해 시간과 인력을 들여 재차 땜(납땜, 용접등)질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줄인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접속기용 클립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접속단자 2,12 : 삽입부
3,13 : 탄성링 4,4a,14,14a : 경사면
5 : 구멍 6,16 : 고정부
7,17 : 고정편 8 : 절곡단부
본 고안은 고정 접속단자에 탄성 클립형 접속단자를 삽입 또는 이탈시킴으로써 전기를 접속 또는 단락시키게 된 전기 접속기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클립형 접속단자에 탄성링을 부착 설치하여 클립의 접촉 탄성을 증대시키고, 접속단자에 케이블을 접합시킬때 땜질에 의하지 아니하고서 별개의 금속편으로 된 고정편을 사용하여 접속단자의 케이블 고정부에 부착 고정시켜서 케이블 접속이 용이하고 확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단자가 접속단자의 삽입부에 삽입될때 삽입되는 외부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수직의 방향으로 외부단자를 누르도록 접속단자에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탄성 접촉시켜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외부단자를 접속단자의 삽입부에 자주삽입 또는 인출시 판 스프링이 늘어나 벌어지게 되어 외부단자와의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또, 외부단자가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외부의 미약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해제될 뿐만아니라 연결된 회로의 단락 또는 접속불량등의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었으며 이로인해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 손실이 생기는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종래에는 접속단자의 케이블 고정부에 외부케이블을 결합시킬때 통상땜(납땝, 용접등)질에 의하여 외부케이블과 케이블 고정부가 접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합시킬 경우 상기 땜(납땜 용접등)질 부위가 장기간 사용이나 고온에 의해 마모되거나 녹게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접속단자와 해체되어 전기회로의 단락 또는 접속 불량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시간과 인력을 들어 재차 땜(납땜, 용접등)질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속단자 삽입부의 벌어짐을 절곡에 의한 자체탄성력과 탄성링에 의한 탄성력을 동시에 받게하여 외부단자와의 긴밀하고도 완벽한 접속을 유지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접속단자의 케이블 고정부와 외부케이블과의 결합을 종래의 땜(납땜, 용접등)질에서 탈피하여 별개의 금속으로된 고정편과 접속단자 자체에서 감아붙인 고정편을 사용하여 접속단자의 케이블 고정부에 고정시켜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는 이탈을 방지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자체탄성을 갖는 접속단자(1)에 삽입부(2)와 케이블 고정부(6)가 구비되도록 절곡 형성하되, 삽입부(2)는 구멍(5)이 천공된 경사면(4)(4a)에 의해 자체 탄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삽입부(2)의 구멍(5)을 통하여는 탄성링(3)이 양끝이 양쪽 절곡단부(8)을 내측으로 밀어주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케이블 고정부(6)는 별개의 금속으로 형성한 고정편(7)의 양끝이 접속단자(1)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양끝을 절곡시켜 사이에 끼워진 케이블(9)이 긴밀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는 외부단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접속단자(1)의 삽입부(2)에 외부단자를 삽입시키면 삽입부(2)이 경사면(4)(4a)에 의한 자체탄성력과 탄성링에 의한 탄성력(3)이 동시에 외부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누르도록 하고, 상기 접속단자(1) 삽입부(2) 반대편 케이블 고정부(6)에 접합된 외부케이블(9)은 꺽쇠형의 고정편(7)으로 견고히 결합되어 있어서 외부충격이나 과전류에도 쉽게 단락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속단자(11)에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12)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탄성링(13)이 삽입부(12) 양측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지만 특히 이번 변형예는 과다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방지부(15)와 별개의 금속이 아닌 접속단자(11) 자체의 금속으로 감아붙인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케이블(19) 결합을 견고하면서도 간단히 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형예는 접속단자(11) 삽입부(2)의 경사면(4)(4a)에 의한 자체탄성력과 탄성링(13)에 의한 탄성력이 동시에 외부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누르도록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지만 별개의 금속이 아닌 고정부(16) 자체에서 감아붙인 고정편(17)으로 인해 별개의 금속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접속단자의 경사면에 의한 자체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탄성링을 설치하여 외부단자의 삽입시 접속단자의 자체 탄성력과 탄성링에 의한 탄성력을 동시에 받게하여 외부단자와 긴밀한 접속이 유지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에 의한 단자와 접속기의 이탈을 방지하였으며 이로 인한 전력손실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접속단자의 고정부와 외부케이블과의 결합은 별개의 금속을 접속단자 내부로 삽입하여 절곡시킨 고정편과 접속단자 자체에서 감아붙인 고정편으로써 외부케이블과 접속단자 케이블 고정부와의 결합을 견고히 체결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케이블이 접속단자와의 이탈로 인해 시간과 인력을 들여 재차 땜(납땜, 용접등)질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사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접속단자(1),(11)에 삽입부(2),(12)와 고정부(6),(16)가 구비되도록 경사면(4),(4a),(14),(14a)에 의해 절곡 형성하여 고정부(6),(16)에 외부케이블(9),(19)을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것에 있어서, 양측경사면(4),(4a),(14),(14a)사이에 탄성링(3),(13)의 양끝을 탄력 설치하고 고정부(6),(16)에 고정편(7),(17)으로 외부케이블(9),(19)을 접합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탄성링(3)은 양끝이 구멍(5)을 통하여 양측 경사면(4),(4a) 사이에 탄력설치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고정편(7)은 별개의 꺽쇠형 금속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
  4. 청부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고정편(17)은 고정부(16)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감아 붙이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클립.
KR2019960007501U 1996-04-08 1996-04-08 전기 접속기용 클립 KR200146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501U KR200146715Y1 (ko) 1996-04-08 1996-04-08 전기 접속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501U KR200146715Y1 (ko) 1996-04-08 1996-04-08 전기 접속기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09U KR970059909U (ko) 1997-11-10
KR200146715Y1 true KR200146715Y1 (ko) 1999-06-15

Family

ID=1945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501U KR200146715Y1 (ko) 1996-04-08 1996-04-08 전기 접속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22B1 (ko) * 2019-04-02 2020-05-18 주식회사 비씨엠 착탈식 의료용 스네어 전류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네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22B1 (ko) * 2019-04-02 2020-05-18 주식회사 비씨엠 착탈식 의료용 스네어 전류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네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09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722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flexible connecting strips of a film circuitry and a main circuit board
JPH08339861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CN116031686B (zh) 连接器
US4793059A (en) Automatic grounding clip
KR100985777B1 (ko) 케이블 연결 장치
KR200146715Y1 (ko) 전기 접속기용 클립
EP1215758A3 (en) A device for joining cables to an appliance connection
CN219040818U (zh) 连接器
KR20040014338A (ko) 리셉터클
EP1177471A1 (en) A spring clip
US5890923A (en) Connector alignment guide
WO1997017711A3 (de) Anschlussvorrichtung
US4745523A (en) Automatic grounding clip
KR100441442B1 (ko) 전기, 전자제품의 접지단자 및 접지장치
CN218867599U (zh) 可拆卸的通用型碳刷端模块
KR0125533Y1 (ko) 휴즈용 터미널
CN219163300U (zh) 一种断路器
US6034327A (en) Grommet and structure for taking out electric power from electric connection box by using grommet
KR200160700Y1 (ko) 밧데리접속용 케이블홀더
CN212659679U (zh) 一种卡夹式弹片连接器
KR200162009Y1 (ko) 원형전기터미널고정가능커넥터하우징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KR0136944Y1 (ko) 축전지 케이블 접속구
KR200156246Y1 (ko) 안테나잭체결구조
KR200223476Y1 (ko) 전선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