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690Y1 -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 Google Patents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690Y1
KR200146690Y1 KR2019950000402U KR19950000402U KR200146690Y1 KR 200146690 Y1 KR200146690 Y1 KR 200146690Y1 KR 2019950000402 U KR2019950000402 U KR 2019950000402U KR 19950000402 U KR19950000402 U KR 19950000402U KR 200146690 Y1 KR200146690 Y1 KR 20014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rect
tank
injection
sen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80U (ko
Inventor
민재운
Original Assignee
민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운 filed Critical 민재운
Priority to KR2019950000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690Y1/ko
Publication of KR950023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수 및 분사식 겸용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전 하단으로 장착된 감지봉에 물체가 닿으면 감지봉이 젖혀지면서 배수구를 개방시켜서 직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도전 외주연으로는 분사탱크가 장착되어 외주연으로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직수저장탱크, 압력탱크 및 공기혼합탱크를 갖는 수도전에 감지봉을 공기혼합탱크의 하단에 융삽시켜서 그 상단으로 작동간에 안착하고 작동간에 연결된 상부의 밸브는 배수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하고 직수저장탱크 외주연으로 분사 탱크 및 자석을 장착하여 분사가 가능함과 동시에 자화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원터치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물의 낭비를 줄임은 물론 기계핸들 조작이 필요없이 위생적인 것이고, 또한 사용이 아주 간편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제1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을 상향 고정시켜서 직수만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을 분리시켜 분사만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사탱크에 개폐 밸브가 장착된 또다른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분사탱크에 장착된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고 감지봉을 분리하여 분사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분사 탱크를 회전시켜 분사되도록한 또다른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수 저장탱크 2 : 압력탱크
3 : 공기 혼합탱크 4 : 분사탱크
5 : 감지봉 6 : 작동간
7 : 개폐밸브 8 : 볼
11 : 배수구 12 : 배수공
13 : 걸림돌기 14 : 나사홈
16 : 배수공 41 : 분사공
17 : 통공 21 : 유삽구
22 : 배수공 31 : 공기 흡입구
32 : 배수공 33 : 유삽공
51 : 고정돌기 52 : 요철부
53 : 손잡이부 54 : 협지구
55 : 협지공 61 : 밸브
71 : 손잡이 101 : 밸브안착판
본 고안은 직수 및 분사식 겸용 수도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전 하단으로 장착된 감지봉에 물체가 닿으면 감지봉이 젖혀지면서 배수구를 개방시켜 직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분사탱크에서는 물이 분사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급수 파이프에 핸들이 장착된 수도전을 연결시켜서 핸들의 조작으로 직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수를 사용할 때나 사용이 다 끝났을 때 일일이 핸들을 회전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음은 물론 요리시나 세면시에는 음식물이나 비눗물이 묻은 상태의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핸들에 음식물이나 비눗물이 묻게 되므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다시 핸들에 묻은 음식물 또는 비눗물을 다시 세척해야 하는 폐단으로 물의 낭비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센서를 이용한 수도전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전원을 이용해야 하므로 그 부피가 커서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음은 물론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잦은 고장이 발생되므로 이용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고, 고가이어서 일반 가정에 설치하기란 그리 쉬운것이 아니므로 경제성이 없었던 것이다.
또한 직수, 분사겸용 수도전도 있으나 단순히 직수, 분사 변환만 가능하므로 물의 개폐나 수량조절은 일일이 핸들을 돌려서 조절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수도전의 하부 중앙으로 감지봉을 장착함으로서 직수 사용시 감지봉에 물체에 가볍게 닿으면 감지봉이 젖혀지면서 배수구를 막고 있던 밸브가 이동하면서 배수구를 개방시켜주므로 직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봉에 의해서 수도전이 개폐되므로 핸들조작이 필요없어 사용이 아주 간편하고 요리할 때의 음식물, 또한 비눗물이 수도전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봉에 물체가 닿아 좌, 우 사방으로 움직일때마다 직수가 나오게 되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봉에 물체가 닿는 감지력에 의해서 감지봉이 젖혀지는 각도로 직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급수를 계속하게 할 경우나, 수도전의 감지봉 하단이 물을 받는 용기보다 높이 설치 되어 있을 경우엔, 감지봉에 용기가 닿지 않으므로 물이 용기에 찰때까지 계속 용기를 감지봉에 대고 있어야 급수가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직수 저장탱크 외주연으로 분사탱크를 장착함으로서(감지봉 작동없이 계속 물을 받고자 할경우엔) 분사탱크나 손잡이를 작동하여 직수 저장 탱크에서 분사탱크로 물을 나오게 하여 분사탱크 하단으로 분사되는 물을 연속 급수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개의 수도전으로 직수, 분사와 급수의 자동개폐를 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수도전 하단에 장착된 감지봉을 공기 혼합탱크 내부로 상승시켜 고정하면 작동간에 의해 밸브가 배수구를 개방시켜 주게 되므로 직수만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감지봉을 공기 혼합탱크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사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작동간을 고정구가 상승 고정시켜 주므로서 직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봉 자체가 분리 결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봉을 투명하게 하였기 때문에 사용시 시작적인 거부감을 없애 주도록 함은 물론 탄성을 갖도록 하여 줌으로써 유연성이 있어, 좌, 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굴곡되므로 사용상에 편리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5)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로서, 급수파이프타 수도전 끝에 나사홈(14) 이나 고정볼트(15)에 의해 고정되게 한 직수 저장탱크(1)와, 그 저면으로는 밸브안착판(101)에 배수구(11)를 천공하고 그외주연으로는 다수의 배수공(112)을 천공하여 준다.
상기 직수저장탱크(1)의 저부로는 유삽구(21)와 다수의 배수공(22)이 천공된 압력탱크(2)를 장착하여 상기 유삽구(21)로 작동간(6)을 유삽시키고 작동간(6)의 상단부에 밸브(61)를 장착하여서 배수구(11)의 개폐를 조절한다.
상기 압력탱크(2)의 저부로는 공기혼합탱크(3)를 장착하여 공기흡입구(31)로 흡입되는 공기와 급수가 혼합되면서 물거품을 형성하게 하여 저면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32)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또 저면에 천공된 유삽공(33)으로 감지봉(5)을 유삽시켜서 감지봉(5)이 좌, 우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지봉(5)의 상단으로 안착된 작동간(6)을 상ㆍ하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으로는 분사탱크(4)를 장착하여 상, 하부로 작동되게 하여 급수를 분사공(41)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급수파이프 또는 수도전 끝에 나사홈(14)이나 고정볼트(15)에 의해서 수도전을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급수를 사용하고 싶을 때 즉, 세면이나 요리시 손이나 주방기구를 감지봉(5)에 갖다 대면 감지봉(5)은 닿은 힘에 의해서 좌, 우 사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감지봉(5)이 젖혀지면서 감지봉(5)의 상단은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그러면 그 경사각 만큼 감지봉(5)의 상단에 안착된 작동간(6)을 상승시켜 주게되므로 작동간(6)의 상단에 장착된 밸브(61)가 상승 하면서 배수구(11)를 개방시켜 주므로 직수저장탱크(1)에 채워진 급수는 배수구(11)를 통해서 압력탱크(2)로 흐르고 압력탱크(2)의 저부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22)을 통해서 배수된다.
이때 배수되는 급수에 의해서 공기 혼합탱크(3)의 상단 외주연에 다수 천공된 공기 흡입구(31)로 공기는 흡입되어 공기 혼합탱크(3)에서는 급수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물거품을 만들어 공기혼합탱크(3)의 저면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32)으로 배수되어 사용자는 급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감지봉(5)이 닿은 힘(압)에 의해서 감지봉(5)이 젖혀지는 경사각으로 작동간(6)의 상단에 일체로 장착된 밸브(61)가 배수구(11)의 개폐 높이를 조절해줌으로 인해서 물의 양도 조절이 되는 것이다.
또한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으로 상, 하 작동되도록 장착된 분사탱크(4)는 사용자가 분사되는 물을 필요로 할때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으로 다수 장착된 배수공(12)을 막고 있는 분사탱크(4)를 하향시켜 주면 배수공(12)은 개폐가 되므로 직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물은 배수공(12)을 통해서 분사탱크(4)로 이동하고 다시 분사탱크(4) 하단에 다수 천공된 분사공(41)을 통해서 분사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수 혹은 분사 어느 한가지만 사용할 때 즉, 분사식일때는 감지봉(5)을 사용하지 않고 분사탱크(4)를 하향시켜 사용하면 되고, 직수일때는 분사탱크(4)를 상승시켜 놓고 감지봉(5)만을 작동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 직수, 분사 다 사용하고자 할때믄 분사탱크(4)를 하향시켜 놓고 감지봉(5)도, 동시에 작동시켜 사용하게 하면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예로서 직수저장탱크(1)내에 작동간(6)과 분리되어 있는 볼(8)로 배수구(11)를 막을수 있는 구조로써 본 고안의 감지봉(5)을 상향고정시켜서 직수만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속으로 직수를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자는 감지봉(5)의 중앙에 요철부(52)를 형성하고 있는 손잡이부(53)를 잡고 상향시켜주면 고정돌기(51)는 공기 혼합탱크(3)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저면에 안착되어 고정한다.
이때, 감지봉(5)의 상단에 안착된 작동간(6) 역시 상향되면서 배수구(11)를 막고 있던 볼(8)을 밀어 올려주게 되므로 배수구(11)가 개방이 되고 직수저장탱크(1)의 물은 배수구(11)를 통해서 압력탱크(2) 및 공기혼합탱크(3)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22)(32)으로 배수가 되어 직수만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분사탱크(4)를 상향시켜서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으로 천공된 배수공(12)을 폐쇄시켜 주면 된다.
또한 제4도는 본 고안의 감지봉(5)을 공기혼합탱크(3)에서 분리시켜 분사만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사용자가 분사만 연속으로 사용하고 싶을때는 먼저 공기혼합탱크(3)의 저면에 천공된 유삽공(33)으로 유삽되어 있는 감지봉(5)의 상단을 손으로 눌러 주게 되면 감지봉(5)의 선단이 V홈으로 절개되어 벌어져 있기 때문에 감지봉(5)의 선단은 오므라 들게 된다. 따라서 공기혼합탱크(3)의 유삽공(33)에서 감지봉(5)를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봉(5)은 상단이 V홈으로 절개 되어 협지구(54)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감지봉은 V홈에 의하여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감지봉(5)의 선단인 협지구(54)를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손이 압력에 의해 감지봉(5)의 상단에서 벌어져 있던 협지구(54)의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유삽공(33)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감지봉(5)을 공기혼합탱크(3)의 유삽공(33)으로 삽입할때에도 상기 작용을 역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감지봉(5)을 분리시키고 나면 감지봉(5)에 의해서 작동간(6)이 작동할 수 없게 되므로 작동간(6)의 상단에 있는 볼(8)은 수압에 의해 밸브 안착판(101)의 중앙으로 천공된 배수구(11)를 막아주고 있으므로 직수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직수저장탱크(1)에 가득찬 물의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볼(8)이 배수구(11)를 막아주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직수를 사용할 수 없게 한 다음 사용자는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12)을 막아주고 있던 분사탱크(4)를 하향시켜주게 되면 배수공(12)이 개방되어 급수는 분사공(41)을 통해서 분사되므로 사용자는 분사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야채나 식기등을 세척하고자 할때는 분사만 사용하게 되므로 감지봉(5)이 방해가 됨으로서 사용에 불편한 점을 없애기 위해서 감지봉(5)을 상기와 같이 분리시켜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상태의 단면도로서, 직수저장 탱크의 외주연으로 천공된 배수공(12)에 맞추어 분사탱크(4)를 고정시켜서 장착한 후 손잡이(71)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밸브(7)를 분산탱크(4)의 내부로 유삽시켜서 상기 배수공(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도전을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을때 즉, 직수를 사용하고 싶을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감지봉(5)에 물체(손이나 주방기구)를 닿게하여 감지봉(5)을 젖혀주면 감지봉(5)의 경사각에 맞추어 감지봉(5)의 상단에 안착된 작동간(6)이 상승하면서 밸브(61)가 배수구(11)를 개방시켜 주어 직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급수가 배수구(11)를 통과 한 후 압력탱크(2) 및 공기혼합탱크(3)의 배수공(22, 23)을 거쳐서 직수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에 천공된 배수공(12)은 개폐밸브(7)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분사탱크(4)로 급수는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감지봉의 분실 방지를 위해서 감지봉(5)의 고정돌기(51) 내부에만 협지공(55)이 있어 감지봉을 유삽공(3)에서 분리 시킬 수는 없지만 감지봉(5)을 상승 고정시켜 직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분사탱크에 개폐밸브가 장착된 또 다른 작용상태의 단면도로서, 직수를 사용하지 않고 분사되는 급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공기혼합탱크(3)에 장착된 감지봉(5)을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시켜 주면, 작동간(6)에 연결된 밸브(61)는 직수저장탱크(1)에 천공된 배수구(11)를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나서 직수저장탱크(1)의 배수공(12)을 막아주고 있던 개폐밸브(7)의 손잡이(71)를 눌러서 배수공(12)을 개방시키면 직수저장탱크(1)에 가득채워진 급수는 배수공(12)을 통해서 분사탱크(4)내로 가득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탱크(4) 내부로 채워진 급수는 분사공(41)을 통해서 분사되는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작용상태의 단면도로서, 수도 파이프나 밸브끝에 나사가 없을 경우 고정볼트(15)에 의해 고정되게 한 것으로 분사탱크(4)를 좌우로 회전시켜 직수저장탱크(1) 외주연의 배수공(12)과 분사탱크(4) 내주연의 배수공(16)을 일치하게 하여 분사를 하게 한다든지, 반대로 분사탱크(4)를 회전시켜 분사를 정지시킬 수도 있게 하고 분사탱크(4)의 회전에 의해 배수공(12, 16)의 개폐정도에 따라 수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필요시 서로 연결하여 사용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감지봉에 의해서 급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이 간편하고 또한 급수의 개폐작용을 핸들없이도 원터치식으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어떠한 작업상태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위생적임은 물론 자화수를 얻을수 있어 유용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배수구(11)가 천공된 직수저장탱크(1)와, 유삽구(21) 및 배수공(22)이 천공 된 압력탱크(2)와 공기 흡입구(31) 및 배수공(32)이 천공된 공기혼합탱크(3)를 갖는 직수 및 분사겸용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직수저장탱크(1)에 천공된 배수구(11)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도록 압력탱크(2)에 천공된 유삽구(21)로 삽입되어 있는 작동간(6)과 일체인 밸브(61)와, 상기 작동간(6)이 상, 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공기혼합탱크(3)에 천공된 유삽공(33)에 장착된 감지봉(5)과, 상기 감지봉(5)을 공기혼합탱크(3)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V홈을 형성한 협지구(54)와 상기 직수 저장탱크(1)의 배수공(12) 외주연으로 장차괸 분사공(41)이 천공된 분사탱크(4)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탱크(4)는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에 형성한 걸림돌기(13)에 장착되어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탱크(4)는 직수저장탱크(1)의 외주연에 천공된 배수공(12)의 높이에 맞추어 고정되게 장착하고 상기 분사탱크(4) 내부로 손잡이(71)와 일체인 개폐밸브(7)를 삽입하여 배수공(1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5)을 투명으로 형성시키므로서 시각적인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5)은 공기 혼합탱크(3)에 형성된 유삽공(33)에서 분리 및 결합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감지봉(5)의 선단부(50)에서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5)이 공기 혼합탱크(3)의 내부로 상승하면 감지봉(5)에 형성된 내부에만 협지공(55)을 갖는 고정돌기(51)가 공기혼합탱크(3)의 저면에 고정되어 작동간(6)과 일체인 밸브(61)가 배수구(11)를 상기 개방시켜서 계속 급수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저장탱크내에 볼(8)이 있고, 배수구(11)의 하부엔 볼(8)과 분리된 작동간(6)이 상하 동작에 의해 볼(8)을 이동시켜서 배수구(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KR2019950000402U 1994-01-21 1995-01-12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KR20014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02U KR200146690Y1 (ko) 1994-01-21 1995-01-12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1113 1994-01-21
KR1019940001113A KR960015835B1 (ko) 1994-01-21 1994-01-21 티브이의 온스크린 영상 표시 회로 및 그 방법
KR2019950000402U KR200146690Y1 (ko) 1994-01-21 1995-01-12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80U KR950023580U (ko) 1995-08-23
KR200146690Y1 true KR200146690Y1 (ko) 1999-06-15

Family

ID=193760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113A KR960015835B1 (ko) 1994-01-21 1994-01-21 티브이의 온스크린 영상 표시 회로 및 그 방법
KR2019950000402U KR200146690Y1 (ko) 1994-01-21 1995-01-12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113A KR960015835B1 (ko) 1994-01-21 1994-01-21 티브이의 온스크린 영상 표시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60015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80U (ko) 1995-08-23
KR960015835B1 (ko) 1996-11-21
KR950024514A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265Y1 (ko) 저수 장치를 구비한 순간 온수기용 샤워기
US7000266B2 (en) Lavatory with a removable washing platform
KR200146690Y1 (ko)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US2560954A (en) Basin drain spillway
US6581218B1 (en) Water conservation apparatus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KR200165276Y1 (ko) 절수용 세면기
CN2653006Y (zh) 一种节水橱柜
CN221108603U (zh) 一种便于拆卸的花洒
CN210586093U (zh) 一种洗缸器
KR100630901B1 (ko) 기계식 비데
JPH0714449Y2 (ja) 洗髪・洗面用化粧台
KR100433184B1 (ko) 버튼식 샤워기용 절수기
KR100939693B1 (ko) 세면대의 배수마개 세척장치
JPH0520228Y2 (ko)
JPH0312855Y2 (ko)
KR200375463Y1 (ko) 하나의 핸들로 수온조절과 자폐 및 즉시지수가 가능한욕실·주방용 샤워기
KR200362932Y1 (ko) 좌식 샤워기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KR950002634Y1 (ko) 위생 변기
KR200191135Y1 (ko) 구강세척 기능이 있는 수도꼭지
KR200268351Y1 (ko) 버튼식 샤워기용 절수기
KR850003018Y1 (ko) 청소용 솔
KR200257939Y1 (ko) 세면대용 급수관의 분기구조
KR970001601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