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299Y1 -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 Google Patents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299Y1
KR200146299Y1 KR2019940031511U KR19940031511U KR200146299Y1 KR 200146299 Y1 KR200146299 Y1 KR 200146299Y1 KR 2019940031511 U KR2019940031511 U KR 2019940031511U KR 19940031511 U KR19940031511 U KR 19940031511U KR 200146299 Y1 KR200146299 Y1 KR 200146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ld air
storage compartment
leakage
show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232U (ko
Inventor
설승원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40031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299Y1/ko
Publication of KR960016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도어를 열었을 때 발생하는 냉기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장실과 도어사이에 별도의 도어를 설치하여 하부로 유출되는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에 관한 것으로, 저장실전반부 절곡면에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외부도어가 배설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저장실의 절곡면 일부를 절곡하여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에는 냉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직 내단턱에 설치된 브라켓트 상의 힌지를 축으로 외부도어와 동일방향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제1도는 본 고안의 이중도어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쇼케이스 30 : 외부도어
100 : 내부도어 120 : 절곡면
130 : 요입부 131 : 수직 내단턱
132 : 수평 내단턱 15O : 브라켓트
151 : 힌지 160 : 패킹
본 고안은 청량음료 등을 차갑게 진열 저장함은 물론,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유리도어가 배설된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개방할 때 대류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고내의 냉기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내 전면 하부에 이중도어를 설치토록 하여 냉기유출 차단 및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잇도록 하는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배설된 쇼케이스는 제1도와 같이 쇼케이스(10)의 저장실(10) 전반부에 유리도어(30; 이하 외부도어라 칭함)를 배설하여 외부에서 상품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진열효과 및 냉기유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품을 유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를 닫아놓도록 되어 있으며, 상품을 꺼낼 때만 도어를 열게 되어있다.
그리고 외부도어(30)는 쇼케이스(10)의 외장 케이스가 수납실(20)전면부 측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면에 도어(30)의 단부에 설치된 자석이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외부도어(3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기열을 차단하여 냉기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는 적합하지만 도어를 열었을 때는 수납실(20)이 외부에 전체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냉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기유출은 진열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실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도어를 열었을 때 발생하는 냉기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장실과 도어사이에 별도의 도어를 설치하여 하부로 유출되는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실의 하부에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도어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저장실 전반부 절곡면에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외부도어가 배설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수납실의 절곡면 일부를 절곡하여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에는 냉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직내단턱에 설치된 브라켓트 상의 힌지를 축으로 외부도어와 동일 방향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내부도어의 개폐측 단부에는 기존의 외부도어의 개폐와 동일하게 자석이 수납된 패킹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도어를 개방할 때 저장실의 하부가 내부도어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급속한 냉기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실 내에 온도변화율이 적어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냉기유출 손실이 감소하므로 소비전력이 줄어들어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측단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 10은 도어가 배설된 쇼케이스를 보인 것으로, 이의 쇼케이스(10)는 통상적으로 상품의 진열 및 냉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실(20) 전반부에 외부도어(30)를 배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외부도어(30)와 저장실(20) 사이에 별도의 내부도어(100)를 설치하여 하부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시키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즉,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측면 외장케이스가 전면으로 절곡되어 발포수지(110)가 배설된 두께를 갖는 절곡면(120)에 저장실(20) 내측으로 상기 절곡면(120)을 절곡하여 수직내단턱(131)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20) 전면부 하부에도 상기 수직내단턱(131)이 연장되도록 수평내단턱(13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입부(130)에 내부도어(100)가 외부도어(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어(100)의 회전축은 수직내단턱(13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150)에 설치된 힌지(151)를 축으로 외부도어(30)와 같은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며, 내부도어(100)의 타측 및 하부는 통상적으로 외부도어(30)와 동일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석(161)이 수납되는 갖는 패킹(1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킹(160)은 내부도어(100)의 상부를 제외한 3면 즉, 회전축에도 패킹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쇼케이스에 배설된 외부도어(30)는 냉기유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전시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내부도어(100)는 외부에서 상품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갖는 유리나 또는 투명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 상기 내부도어(100)는 상품의 색깔 및 색도를 감안하여 상품의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색체를 갖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도어(30) 내측으로 내부도어(100)가 별도로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을 꺼낼 경우 외부도어(30)를 열게 되면 쇼케이스(10)의 저장실(20)은 외부로 개방되어 냉기가 유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냉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차가운 공기가 하부로 가라앉게 되어 저장실(20) 하부에 배설된 내부도어(100)에 의해 차단되므로 순간적인 냉기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부도어(100)에 의해 저장실(20)의 개방부분이 외부공기와 접할 수 있는 면이 최소화되어 급속한 냉기 유출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저장실(20) 하부에 깔려있는 냉기는 내부도어(100)에 의해 차단되어 최소한 냉기가 차단된 곳의 상품의 신선도는 상부에 진열된 상품보다 그 신선도면에서 좀더 오래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증발기를 통해 열 교환된 냉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지만, 진열된 상품에 의해 그 흐름에 제한받아 수납실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는 미세하나마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는 수납실이 개방될 경우 하부에 잔류하는 냉기가 급속히 유출되어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내부도어는 이러한 냉기유출을 방지하여 상, 하부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냉기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는 효과 또한 크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기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도어와 수납실 사이에 별도의 내부도어를 배설함으로써 냉기유출을 방지하여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유출방지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감하여 쇼케이스의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납실(20) 전반부 절곡면(120)에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외부도어(30)가 배설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절곡면(120) 일부를 절곡하여 요입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에는 냉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직내단턱(131)에 설치된 브라켓트(150)상의 힌지(151)를 축으로 외부도어와 동일 방향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10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의 테두리 내측으로 자석이 구비된 패킹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KR2019940031511U 1994-11-28 1994-11-28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KR200146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511U KR200146299Y1 (ko) 1994-11-28 1994-11-28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511U KR200146299Y1 (ko) 1994-11-28 1994-11-28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232U KR960016232U (ko) 1996-06-17
KR200146299Y1 true KR200146299Y1 (ko) 1999-06-15

Family

ID=193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511U KR200146299Y1 (ko) 1994-11-28 1994-11-28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2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27B1 (ko) 2009-10-20 2012-04-12 동화시스템(주) 스팀오븐기의 도어 장치
KR20130086465A (ko) * 2012-01-25 201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토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27B1 (ko) 2009-10-20 2012-04-12 동화시스템(주) 스팀오븐기의 도어 장치
KR20130086465A (ko) * 2012-01-25 201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토출장치
KR101888689B1 (ko) 2012-01-25 2018-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232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307B2 (en) Refrigerator
US3680329A (en) Pressure equalizing valve
US8424985B2 (en) Refrigerator with a door-in-door
JP3387333B2 (ja) 冷蔵庫の断熱機構
KR200146299Y1 (ko) 쇼케이스의 냉기유출방지 이중도어
US3382618A (en) Closure sealing means for refrigerator cabinet
JP3857802B2 (ja) 冷却貯蔵庫
KR200474628Y1 (ko) 냉장고
KR100796293B1 (ko) 단열유리도어의 이슬 맺힘 방지구조
KR101052784B1 (ko) 냉장고
KR200343460Y1 (ko) 가변 테두리 구조를 갖는 쇼케이스 도어
MXPA02005063A (es) Una instalacion de empaque para la puerta del gabinete de un aparato ekectrodomestico de refrigeracion.
KR20050103722A (ko) 냉장실의 이중도어구조
KR19990028661U (ko) 냉장고의 홈바
KR200340303Y1 (ko) 냉장고의도어가스켓
KR19980015537U (ko) 쇼케이스의 도어안내상부레일
KR200158135Y1 (ko) 미닫이 쇼케이스의 도어 가스켓
KR200269978Y1 (ko) 이중 개스킷 구조를 갖는 김치저장고
KR20240071500A (ko) 냉장고
KR20040046245A (ko)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JP3831515B2 (ja) 冷却貯蔵庫
KR100261815B1 (ko) 냉장고의 냉장실 구조
KR19980066053U (ko) 냉장고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KR20040064626A (ko) 냉장고
CN116481233A (zh) 具有密封结构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